2012년도
국어 분야의 주요 일지
국어학 관계 문헌
1. 분야별 논저 목록
국어 정책 논저 목록
국어 교육 논저 목록
한국어 교육 논저 목록
음성학·음운론 논저 목록
형태론 논저 목록
통사론 논저 목록
어휘론·의미론·
화용론
논저 목록
국어사·국어학사 논저 목록
사회 언어학 논저 목록
방언학 논저 목록
국어 정보학·
사전학
논저 목록
그 외 논저 목록
2. 정기 간행물 목록 논저 목록
전국 대학 국어 관련 학과 및 대학원
1. 전국 대학 국어 관련 학과
국어국문학
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학
언어학
2. 전국 대학 국어 관련
   대학원
국어국문학
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학
언어학
3. 전국 한국어 교육 관련
   기관
한국어 교육 기관
한국어 교사 양성 과정
국어 관련 학회 및 단체
  Ⅱ. 국어학 관계 문헌

1. 분야별 논저 목록                         

국어 정책
<단행본>

강기수・조규판・이국환・원미경・이점식, 『비교육적 언어 사용 근절을 통한 바람직한 언어문화생활 제고 방안: 2012년도 교육 현장 지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동아대학교
국립국어원, 『(2012) 디지털 한글 박물관 특별 기획전 사이트 개발』(연구 책임자: ㈜누리미디어),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012) 한글 문화유산 정보 지원 시스템 구축』(연구 책임자: ㈜누리미디어),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012년) 행정기관 공공 언어 진단 1』(연구 책임자: 구본관),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012년) 행정기관 공공 언어 진단 2』(연구 책임자: 구본관),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012 국제 학술 대회) 세계화 시대의 자국어 진흥 정책: Protecting and revitalizing native languages in an era of globalization』(연구 책임자: 김아영),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청소년 수련 시설 및 초중고교용) 청소년 언어문화 개선 프로그램: 청소년 수련 시설 및 초중고교용』(연구 책임자: 김선철・박주화),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토론회 자료집) 청소년 언어문화 개선 연속 토론회: 청소년 언어, 문제인가 문화인가?』(연구 책임자: 김선철・박주화),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토론회 자료집) 청소년 언어문화 개선 연속 토론회: 청소년 언어의 실태와 문제점』(연구 책임자: 김선철・박주화),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토론회 자료집) 청소년 언어문화 개선 연속 토론회: 청소년의 일상화된 욕설, 개선 방안은?(1)』(연구 책임자: 김선철・박주화),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토론회 자료집) 청소년 언어문화 개선 연속 토론회: 청소년의 일상화된 욕설, 그 원인은?』(연구 책임자: 김선철・박주화),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012년 국어 정책 통계 조사』(연구 책임자: 김은성),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012년도 민족생활어 조사 1 [추자도 고기잡이]』(연구 책임자: 강정희・공동연구: 김순자),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012년도 민족생활어 조사 2 [오징어 잡이에서 덕장까지]』(연구 책임자: 강정희・공동연구: 김지숙),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012년도 민족생활어 조사 3 [서해 근해(외연도)의 어로 생활]』(연구 책임자: 강정희・공동연구: 박원호),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012년도 민족생활어 조사 4 [채낚기, 숭어들이]』(연구 책임자: 강정희・공동연구: 홍기옥),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012년도 민족생활어 조사 5 [어촌 생활어 기초 어휘 조사]』(연구 책임자: 강정희・공동연구: 김순자),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012 국제 학술 대회』(연구 책임자: 박희중),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홍보책자)』(연구 책임자: 이정희),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기자를 위한 신문 언어 길잡이』(연구 책임자: 남영신),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문장부호 개선 공청회』(연구 책임자: 김한샘),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미국의 공공 언어 관련 법령 및 지침 자료집』(연구 책임자: 황용주),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바르고 쉬운 공공 언어: 공공 언어 향상을 위한 공무원 특별 과정 교재』(연구 책임자: 정호성・박미영),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오염된 청소년 언어 이렇게 개선했어요: 2012 청소년 언어문화 개선 수기 공모전 수상작 모음』(연구 책임자: 김선철・박주화),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일본어 투 어휘자료 구축』(연구 책임자: 이한섭),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재중 동포 언어 실태 조사』(연구 책임자: 박경래),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지역 언어문화 상품 개발 보고서』(연구 책임자: 김덕호),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지역 언어문화 축제 개최 보고서』(연구 책임자: 이호승),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청소년 언어문화 개선 연속 토론회』(연구 책임자: 김선철・박주화),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표준 발음법 영향 평가』(연구 책임자: 정희진・위진・곽현설),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한글, 함께 누리다』(연구 책임자: 정희진・위진・곽현설),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한국 농아인 협회, 『농인의 국어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 연구』(연구 책임자: 윤석민),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한국 농아인 협회, 『일상생활 수화 표준화 연구 5』(연구 책임자: 김승국),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한국 농아인 협회, 『정치 용어의 수화 표준화 연구』(연구 책임자: 김승국),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유니코드 문자 음성 출력과 점자 표기 방안 현장 적용 연구』(연구 책임자: 김정호),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점역・교정사 양성을 위한 영어 점자 교재 개발 연구』(연구 책임자: 김아영),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한국 점자 규정 개정안 마련을 위한 실증 연구』(연구 책임자: 조성재),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한자 점자 규정 제정에 관한 기초 연구』(연구 책임자: 이태훈), 국립국어원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지도 및 기타 자료 편집자를 위한 지명의 국제적 표기 지침서: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김병운, 『중국 대학 한국어교육 실태 조사 보고서: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창립 10주년 특집』, 한국문화사: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김진규, 『한글 맞춤법 바로 알기』, 다래헌
김진호・정영벽, 『생활 속 글쓰기의 어문 규범』, 박이정
류희림, 『(현장에서 바로 적용하는) 방송 보도 기사 쓰기』, 글로세움
문화체육관광부, 『(2012년 국어 책임관・국어문화원) 공동 연수회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정책과
문화체육관광부, 『(문화 창조와 상생, 한국어의 도약을 위한) 제2차 국어 발전 기본 계획: 2012∼2016』, 문화체육관광부・관계부처 합동
문화체육관광부, 『(한눈에 알아보는) 보도 자료 바로 쓰기』,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정책과
문화체육관광부, 『경제 용어의 수화: 표준화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 『한글, 함께 누리다: 결과 보고서: 566돌 한글날』,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 『한글 박물관 종합발전방안』, 문화체육관광부
박창원, 『한국어의 표기와 발음』, 지식과 교양
박홍길, 『우리 말글살이의 앞날을 위하여: 제2 국어 운동 논설집』, 세화
방송통신심의위원회, 『(2012) 방송 언어 조사자료집』,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배상복・오경순, 『한국인도 모르는 한국어: 쉽고 재미있게 익히는 우리말』, 북이십일 21세기북스
엄태수, 『한글 표기법과 글쓰기에 관한 연구』, 지식과 교양
여규병 편, 『(긴가민가할 때 펼쳐 보는) 바른 말 사전』, 한울
이관규・허재영・김유범・주세형・신호철・이영호, 『(차곡차곡 익히는) 우리말 우리글 1』, 박이정
이관규・허재영・김유범・주세형・신호철・이영호, 『(차곡차곡 익히는) 우리말 우리글 2』, 박이정
임성규, 『교사를 위한 국어 맞춤법 길라잡이』, 교육과학사
장경희・이삼형・이필영・김명희・김태경・김정선・전은진, 『(초・중・고등학생의) 구어 어휘 조사』, 지식과 교양
정경일, 『국어 로마자 표기의 오늘과 내일』, 역락
제주대학교 국어문화원 편, 『(공공 언어 개선을 위한) 맞는 말, 틀린 말』,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대학교 국어문화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연구 책임자: 김미경),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국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황경수・박종호, 『어문 규정의 힘으로 향상되는 문장력』, 청운
TBS 교통방송 아나운서 편, 『우리말 고운말』, TBS 아나운서부

<학위 논문>

김경덕, <한글 맞춤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석사)
김보경, <한글 국제화 사례 연구: 찌아찌아어 표기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지영, <고등학생의 어문 규정 인지 실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현민, <韓・中・日의 語文政策에 따른 漢字敎育 比較 硏究: 識字敎育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나경민, <중국어 외래어 한글표기법 언론사용실태 조사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석사)
노용선, <한국 다문화 사회 언어교육 및 지역사회통역지원의 발전을 위한 제언>,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석사)
박영선, <외래어 표기법의 문제점 및 지도 방안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서연희, <청소년 욕설 사용 실태와 순화대책>,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손국희, <공문서에 나타난 어휘・문장 오류 분석을 통해 공무원에게 요구되는 문법 지식 연구>,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손진아, <일본어권 한국어 품사 용어 표준화 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유빅토리아, <방문취업제도 CIS 동포 근로자 대상의 한국어와 생활 문화 통합적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석사)
이상임, <국어 로마자 표기 사례별 조사 연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시다 사키, <다문화 사회의 언어 정책 연구: 한국과 일본의 언어 정책 비교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석사)
임형욱, <영어와 관련한 국어 로마자 표기 실태>, 부경대학교 대학원(석사)
최두열, <다문화 가족 한국어 교육 정책에 관한 연구>, 건양대학교 대학원(석사)
홍연정, <원리 중심의 한글 맞춤법 교육 방안 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홍지혜, <패션・의류 분야의 외래어 사용 실태 분석>,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황성희, <베트남 결혼 이주 여성의 언어 실태 연구>,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일반 논문>

강남욱・김순우・지성녀, “대외 언어 보급 정책 비교를 통한 세종학당 활성화 방안 연구: 중국 공자학원 운영 정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90, 한국국어교육학회
김도경, “표준어의 이념과 ‘사투리’의 탄생”, 어문학 117, 한국어문학회
김선철,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과 관련된 몇 가지 쟁점”, 한국어학 56, 한국어학회
김재원, “한국어의 언어 확산 정책에 관한 연구”, KBS 한국어 연구논문 62,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회
김진호, “한국어교육 정책에 대한 연구: 정부 부처의 한국어교육 현황 및 개선책을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 25,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김평원, “청소년 욕설 문화 개선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화법연구 20, 한국화법학회
김한샘, “외국 지명 표기의 원칙과 실제”, 사회언어학 20-2, 한국사회언어학회
김현진, 이은주, “다문화시대, 언어정책의 현주소”, 인문과학연구 39,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노형남, “청소년의 욕설 진단 및 행정적 개선 방안”, 화법연구 20, 한국화법학회
민현식, “국어 정책과 어문 규범의 개선 방향”, 어문학보 32, 강원대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박성렬, “공영(公營) 방송(放送) KBS “차칸 남자”에 내재(內在)된 “참을 수 없는 국어(國語) 표기(表記)의 가벼움””, 한글한자문화 159,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손국희, “공문서에 나타난 어휘・문장 오류 분석을 통해 공무원에게 요구되는 문법 지식 연구”, 교육과학연구 18, 신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송대헌, “한글 맞춤법 고찰”, 우암논총 34, 청주대학교 대학원
신호철,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 문장 부호 교육 방안 연구: 대학생의 문장 부호 사용과 인식 실태 조사를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43, 우리어문학회
심재기, “헌법소원특집(憲法訴願特輯): 한글전용(專用)은 위헌(違憲)?!”, 한글한자문화 161,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양순임, “‘ㅎ’ 불규칙용언의 표기 규정에 대한 고찰”, 한민족어문학 62, 한민족어문학회
오현아, “띄어쓰기 개념의 재정립에 대한 고찰: 음독에서 묵독으로의 개인적・사회적 이행 과정을 중심으로”, 어문학보 32, 강원대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유학영, “헌법소원특집(憲法訴願特輯): “국어기본법(國語基本法) 헌법소원(憲法訴願)” 유감(有感)”, 한글한자문화 161,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윤재숙, “국정교과서의 서양지명표기교육의 파급 효과에 관한 연구: 잡지 『태양』의 서양지명표기의 변천을 중심으로”, 언어정보 14,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윤천탁, “교과용 도서의 문장 부호 사용 실태와 문제점 해결 방안”, 청람어문교육 45, 청람어문교육학회
이관규, “한글 맞춤법의 성격과 원리”, 한말연구 30, 한말연구학회
이동민, “청소년 욕설 사용 실태와 개선 방안”, 화법연구 20, 한국화법학회
이동석, “2010 개정 민원 서식에 대한 국어학적 검토”, 새국어교육 91, 한국국어교육학회
이동철, “중국 조선족의 언어사용 실태에 대한 고찰과 전망: 연변조선족자치주를 중심으로”, 언어정보 14,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이선영, “청소년 말문화 개선을 위한 캠페인 유형 분석”, 화법연구 20, 한국화법학회
이인제, “교과서 정책의 집행 시스템 발전 방안”, 청람어문교육 46, 청람어문교육학회
이정택, “베트남 진출 한인 기업의 한국어 및 한국어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기업 주도 한국어교육의 진흥을 위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37,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이한동, “국어기본법에 대한 헌법소원(憲法訴願)을 제기하면서”, 한글한자문화 157,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임보선, “남북 문장부호 규정의 비교와 통일 방안: 내용적 측면 중 기능에 대해서”, 반교어문연구 33, 반교어문학회
장충덕, “충청북도 자치단체 홈페이지의 언어 실태”, 언어학연구 22, 한국중원언어학회
장현덕, “기획투고(企劃投稿): 한글 전용(專用)이 한글을 망치는 결과를 가져온다”, 한글한자문화 154,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전태현, “찌아찌아족 한글 교육의 실태에 관한 연구”, 외국어교육연구 26-2,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전홍식, “국어 로마자 표기의 사용상 혼란 원인에 관한 고찰”, 언어과학 19-2, 한국언어과학회
정희창, “‘국어 규범’과 ‘글쓰기’”, 작문연구 14, 한국작문학회
최대권, “우리 나라 국어 어문정책에 대한 헌법학적 조명”, 한글한자문화 150,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최대권, “우리 나라 국어 어문정책에 대한 헌법학적 조명 (2)”, 한글한자문화 151,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최형용, “순화어의 형태의미론적 고찰: 국민 참여형 순화어 299개를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 36, 한중인문학회
황경수・윤정아, “띄어쓰기 오류 실태 고찰: 대학교 1학년생을 중심으로”, 인문과학논집 45, 청주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황용주, “행정 용어 사용에 대한 정책적 개입 현황과 과제”, 어문론총 57, 한국문학언어학회

<기타>

강휘원, “세계의 언어 정책: 스위스의 언어 정책”, 새국어생활 22-3, 국립국어원
고영회, “한글날, 공휴일 아닌 국경일”, 한글새소식 479, 한글학회
곽시열, “울산에 ‘한글마을’ 만든다”, 한글새소식 481, 한글학회
구법회, “한글, 온 누리와 함께하려면”, 한글새소식 484, 한글학회
권태목, “한글마을 추진해 볼 만하다”, 한글새소식 478, 한글학회
김경수, “성적 표기는 ‘가나다라마’로”, 한글새소식 480, 한글학회
김광, “한자와 우리 민족”, 한글새소식 476, 한글학회
김미경, “네 번째 한글 혁명을 준비하며”, 한글새소식 475, 한글학회
김미경, “한국어, 영원한 소수언어로 머물 텐가”, 한글새소식 479, 한글학회
김미경, “한국어의 힘”, 한글새소식 476, 한글학회
김상준, “아름다운 한국어 힘 있는 한국어 (26)”, 말과 글 131, 한국어문기자협회
김상준, “아름다운 한국어 힘 있는 한국어 (27)”, 말과 글 132, 한국어문기자협회
김상준, “아름다운 한국어 힘 있는 한국어 (28)”, 말과 글 133, 한국어문기자협회
김석득, “외솔 최현배의 사상 형성과 그 실천: 학문과 우리 말글 문화 정책”, 새국어생활 22-3, 국립국어원
김영환, “작은 중화를 넘어서: 우리말과 한글에 자긍심을 갖자”, 한글새소식 478, 한글학회
김정섭, “새 복수 표준어를 보고”, 한글새소식 481, 한글학회
김정섭, “우리말과 한문글자”, 한글새소식 477, 한글학회
김종택, “국, 한 혼용 국어교육을 위한 헌법 소원 심판 청구가 부당한 이유”, 한글새소식 484, 한글학회
김종택, “김미경 교수 지은 “영어학자의 눈에 비친 한국어의 힘””, 한글새소식 473, 한글학회
김준영, “우리말을 다듬어야 한다”, 한글새소식 478, 한글학회
김진규, “우리 말글이 과연 우리나라의 주인인가?”, 한글새소식 484, 한글학회
노회찬, “한글은 살아 있는 생명체이다”, 한글새소식 481, 한글학회
루슬리 빈 압둘 가니, “세계의 언어 정책: 말레이시아의 영어”, 새국어생활 22-4, 국립국어원
박홍길, “우리 말글 빛나고 있다”, 한글새소식 480, 한글학회
방석순, “우리말 추방에 앞장선 공공 기관”, 한글새소식 480, 한글학회
성낙수, “한글 3제”, 나라사랑 121, 외솔회
손진호, “복수표준어 폭넓게 허용하자”, 말과 글 130, 한국어문기자협회
송현, “미래 사회와 글자 전쟁”, 한글새소식 482, 한글학회
송현, “세종대왕이 행정 중심 복합 신도시 세종시에서 부활하고 있다”, 한글새소식 473, 한글학회
신부용, “한글의 쓰임새를 높이자”, 한글새소식 484, 한글학회
엄경천, “‘국어기본법 헌법 소원’, 유감”, 한글새소식 484, 한글학회
옥현진, “세계의 언어 정책: 미국의 대학 작문 교육”, 새국어생활 22-2, 국립국어원
유동삼, “한글로 써야 더 빛난다”, 한글새소식 482, 한글학회
응우옌 반 히에우, “세계의 언어 정책: 베트남의 소수 민족 언어 정책에 관한 주요 이론적 쟁점들”, 새국어생활 22-1, 국립국어원
이건범, “노는 날이 많다고요?”, 한글새소식 479, 한글학회
이건범, “스크린도어를 ‘안전문’으로 바꾼 젊은이들”, 한글새소식 482, 한글학회
이근영, “말과 글은 나라를 이루는 근간이다”, 한글새소식 482, 한글학회
이대로, “광화문 현판을 한글로 해야 하는 이유”, 한글새소식 477, 한글학회
이대로, “국회 건물 문패 ‘允中齋’가 아닌 한글 ‘사랑재’로”, 한글새소식 474, 한글학회
이대로, “한글로 힘센 나라를 만듭시다”, 한글새소식 480, 한글학회
이동석, “‘나’와 ‘우리’”, 말과 글 132, 한국어문기자협회
이동석, “‘내노라’와 ‘내로라’”, 말과 글 133, 한국어문기자협회
이동석, “‘몇 일’과 ‘며칠’”, 말과 글 131, 한국어문기자협회
이병갑, “우리말 잉여적 표현의 유형들”, 말과 글 131, 한국어문기자협회
이상규, “신지식 자본, 언어와 문자”, 한글새소식 473, 한글학회
이승백, “역사 드라마에서는 한글을 써야 한다”, 말과 글 132, 한국어문기자협회
이주희, “‘딱따구리’와 ‘딱다구리’”, 말과 글 132, 한국어문기자협회
임지룡, “말의 힘”, 한글새소식 483, 한글학회
전봉희, “광화문 현판 글씨 선정에 대한 의견”, 한글새소식 477, 한글학회
정환영, “‘한자 문맹’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고?”, 한글새소식 480, 한글학회
최성우, “‘형만 하다’와 ‘형만 못하다’의 띄어쓰기”, 말과 글 132, 한국어문기자협회
황동열, “광화문 현판은 ‘지금 여기’의 ‘우리’ 한글로 써야 한다”, 한글새소식 477, 한글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