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도 국어학의 주요 일지
국어 정책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 교육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한국어 교육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음성학·음운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형태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통사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어휘론·의미론·
사전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사·국어학사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사회언어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방언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정보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문자·표기 논저 목록
사전학  논저 목록
정기 간행물 목록 논저 목록
1. 전국 대학 국어 관련 학과
-국어국문학
-국어교육학
-언어학
-한국어교육학
2. 국어 관련 학회 및 단체
  III. 국어학 관계 문헌

1. 분야별 논저 목록                         

 국어사 · 국어학사
<단행본>

강신항, 『오늘날의 국어생활』, 박이정 
강용택, 『중세조선어 문체 연구』, 보고사 
고태규, 『훈민정음과 작가들』, 널개출판사 
국립국어원, 『柳僖의 『諺文志』 譯註』, (연구 책임자: 김언종),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한국학중앙연구원, 『‘남북 고문헌자료 조사·연구사업’을 위한 기초연구』, (연구 책임자: 최진옥), 국립국어원 
김동소, 『한국어의 역사』, 정림사 
김선기, 『한국어의 어원』, 한울 
김슬옹,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아이세움 
김영욱, 『한글: 세종이 발명한 최고의 알파벳』, 루덴스 
김유범, 『국어 문법형태소의 역사적 이해』, 박이정 
김정빈, 『韓國漢字音 小考』, 책사랑 
나찬연, 『언어와 국어』, 제이앤씨 
박병천, 『조선시대 한글 서간체 연구』, 다운샘 
박종국, 『훈민정음종합연구』, 세종학연구원 
반재원·허정윤,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과제』, 역락 
솔재 최기호 박사 정년퇴임기념 논총간행위원회 엮음, 『한국어의 역사와 문화: 솔재 최기호 박사 정년퇴임 기념 논총』, 박이정 
송철의 외·서울대학교 출판부 편, 『일제 식민지 시기의 어휘: 어휘를 통해 본 문물의 수용 양상』, 서울대학교 출판부 
신중진, 『개화기국어의 명사 어휘 연구』, 태학사 
안병희,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윤용선, 『우리의 옛말과 글』, 명지대학교 출판부 
윤형두, 『옛 책의 한글판본, 2』, 범우사 
이병근 외·서울대학교 출판부 편, 『일제 식민지 시기 한국의 언어와 문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승희, 『국어 청자높임법의 역사적 변화』, 태학사 
이영경, 『중세국어 형용사 구문 연구』, 태학사 
장경준, 『‘瑜伽師地論’ 點土釋讀口訣의 解讀 方法 硏究』, 태학사 
전형식 엮음, 『일본인의 한국어연구 자료집: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보고사 
정호완, 『가야의 언어와 문화』, 보고사 
조은주, 『전기 중세국어의 부정법 연구』, 시간의 물레 
황경수, 『한국어 구조의 이해』, 청운 
Sang Oak Lee, 『Middle Korean tonology』, Hankook Publishing Co 

<학위 논문>

강지영, <20세기 초기 국어 상대경어법의 등급과 실현 양상 연구>, 울산대 교육대학원(석사)
권영, <‘-이 하-’ 구문에 대한 통시적 연구>, 한국외국어대 대학원(석사)
金善姬, <연변 지역어의 친척어 연구>, 경상대 대학원(박사)
김규정, <중세국어 매인이름씨의 분류와 의미기능 연구>, 상명대 대학원(석사)
김마리나, <카자흐스탄 고려말에 대한 연구>, 연세대 대학원(석사)
김소연, <개화기 문헌의 외국어 표기 연구: 자음 표기를 중심으로>, 서강대 대학원(석사)
김엘레나, <17세기 한국어 수사의 특성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석사)
김윤진, <개화기 국어 교과서의 어휘․표기법 연구: 『녀자독본』을 중심으로>, 아주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은선, <파생접미사 ‘-적/쩍-’에 대한 통시적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석사)
김훈태, <17세기 국어의 첩용부사에 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박사)
김희선, <「번역노걸대」와 「노걸대언해」의 연결어미 비교 연구>, 제주대 교육대학원(석사)
도정업, <어간말 ‘ㄹ’ 탈락에 대한 통시적 고찰>, 서울대 대학원(석사)
소병문, <15세기 국어 수사의문문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석사)
손미숙, <조선 초기 한글 자형의 변천 연구>, 경기대 전통예술대학원(석사)
이덕희, <근대 국어 물명 어휘집 연구: 사전적 분류와 어휘 체계를 중심으로>, 부경대 대학원(박사)
이성순, <15세기 국어 모음체계와 모음조화에 대한 연구>, 원광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은지, <개화기 청자존대법 연구: 이인직의 신소설에 나타난 대화양상을 중심으로>, 수원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주나, <「소년」지의 문체적 특성과 어휘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석사)
이형미, <『인어대방』의 이본에 나타난 한국어의 변화>, 서울대 대학원(석사)
임상석, <근대계몽기 잡지의 국한문체 연구>, 고려대 대학원(박사)
장충덕, <국어 식물 어휘의 통시적 연구>, 충북대 대학원(박사)
정경재, <{-겠-}의 발달에 따른 {-것-}의 역사적 변화>, 고려대 대학원(석사)
정연주, <형용사 형성 접미사의 통시적 변화: ‘-되-’, ‘-롭-’, ‘-스럽-’, ‘-답-’을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석사)
정은균, <15세기와 18, 19세기 국문 서사 문체의 비교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박사)
정호성, <국어 파생접미사의 통시적 연구>, 성균관대 대학원(박사)
조영인, <천로역정 이본 간의 표기양상 연구>, 서경대 대학원(석사)
조지원, <1920년대 중등학교 조선어 독본 분석: ≪신편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과 ≪여자고등조선어독본≫을 중심으로>, 고려대 교육대학원(석사)
최계영, <15세기 국어 용언 활용형의 성조>, 서울대 대학원(석사)
최영선, <국어 음절 관련 제약에 대한 통시적 고찰>, 전남대 대학원(석사)
황은영, <어두 합용병서의 표기 변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박사)

<일반 논문>

강범모, “인문학, 언어학, 언어학 교육”, 언어학 49, 한국언어학회 
고광모, “방언들의 미정법 어미 ‘-겄-, -갔-’의 형성에 대하여”, 언어학 49, 한국언어학회 
고영근, “국어학의 창의적 연구 방향”, 어문학 97, 한국어문학회 
고은숙, “근대국어 명사형 어미의 세력 확장에 관한 일고찰 -의사 타진 구문을 대상으로-”, 한국어학 34, 한국어학회 
곽충구, “중앙아시아 고려말의 자료와 연구”, 인문논총 58,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구본관, “접미사 의 이형태에 대한 통시적 고찰”, 우리말연구 21, 우리말학회 
구본관, “한국어에 나타나는 언어적 상상력”, 국어국문학 146, 국어국문학회 
권인한, “정창원장(正倉院藏) ‘제이신라문서(第二新羅文書)’의 정해(正解)를 위하여”, 구결연구 18, 구결학회 
김건희, “1910-1930년대 활자본 고소설의 몇 가지 문법적 특징 연구”, 한국어학 35, 한국어학회 
김남경, “구급방류 의서의 구문 연구”, 어문연구 53, 어문연구학회 
김무림, “高句麗 地名 表記의 馬, 買에 대한 解釋”, 국어학 50, 국어학회 
김무식, “16·7세기 국어 한자어의 비중과 그 특징 -순천김씨 및 현풍곽씨 한글편지를 대상으로-”, 어문론총 47, 한국문학언어학회 
김무식, “동래정씨 소장『편지급제문집(便紙及祭文集)』에 반영된 음운과 방언”, 우리말글 40, 우리말글학회 
김성규, “음운론과 형태론의 접면: 중세국어의 형태 분석과 성조”, 한국어학 37, 한국어학회 
김슬옹, “‘훈민정음’ 문자 만든 원리와 속성의 중층 담론”, 한민족문화연구 21, 한민족문화학회 
김슬옹, “‘훈민정음’ 영인본과 연구 문헌 목록 구성”, 한글 278, 한글학회 
김슬옹, “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대한 중층 담론”, 사회언어학 15-1, 한국사회언어학회 
김연주, “영건의궤류 차자표기의 형태론적 고찰”, 언어과학연구 41, 언어과학회 
김영국, “『鷄林類事』의 어휘항목 산정에 대하여”, 한국어문학연구 49, 한국어문학연구학회 
김영만, “영일냉수리신라비문(迎日冷水里新羅碑文)의 문장분석(文章分析) 시고(試考) -이두적(吏讀的) 요소(要素)는 얼마나 되는가-”, 구결연구 18, 구결학회 
김영선, “j계 하향이중모음 ‘의’의 단모음화 연구”, 동남어문논집 23, 동남어문학회 
김영욱, “고대(古代) 한국목간(韓國木簡)에 보이는 석독표기(釋讀表記) -향가(鄕歌) 표기법의 기원(起源)을 찾아서-”, 구결연구 19, 구결학회 
김영욱, “중원(中原) 고구려비(高句麗碑)의 국어학적(國語學的) 연구(硏究)”, 구결연구 18, 구결학회 
김영일, “어형 ‘믈[水]’의 형태변화와 비교”, 어문학 95, 한국어문학회 
김영환, “한글 사랑 운동의 역사적 성격과 그 앞날”, 한글 276, 한글학회 
김옥화, “가람本 春香歌의 方言 資料的 性格”, 어문연구 136, 한국어문교육연구회 
김유범, “15세기 문헌자료의 특수 분철 표기에 대한 형태음운론적 연구”, 한말연구 20, 한말연구학회 
김유범, “문헌어의 음성적 구현을 위한 연구(1) -15세기 문헌자료 언해본 『훈민정음』의 ‘어제서문’을 대상으로-”, 한국어학 34, 한국어학회 
김유범, “언해본 『삼강행실도』의 텍스트에 나타난 문법적 특징의 활용 가치 분석(1) -「효자도」를 대상으로-”, 민족문화논총 37,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김정빈, “『일본서기(日本書紀)』에 보이는 백제 한자음 연구 -그 자료성과 음운체계를 중심으로-”, 구결연구 19, 구결학회 
김주필, “≪됴야긔문(朝野記聞)≫의 모음 관련 음운현상과 그 통시적 특성”, 어문학논총 26,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김태곤, “國語語彙의 유형별 變遷 연구”, 어문논집 37, 중앙어문학회 
김태엽, “선어말어미 ‘-삽-’의 통시적 기능 변화”, 어문연구 54, 어문연구학회 
김현주, “전기 근대국어 {--}의 이형태 분포와 빈도효과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한국어학 35, 한국어학회 
김홍석, “국어사전에 실린 궁중어 연구”, 새국어교육 76, 한국국어교육학회 
남경란, “고려본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의 구결 연구 -개인 소장본 〈권1~권5〉를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 51, 한민족어문학회 
남미정, “근대국어 청자경어법의 형태원리와 체계”, 시학과 언어학 14, 시학과 언어학회 
남풍현, “자토석독구결(字吐釋讀口訣)에 나타난 부독자(不讀字)에 대한 고찰(考察)”, 구결연구 18, 구결학회 
도수희, “고구려어로 착각한 전기 백제어에 대하여”, 한글 276, 한글학회 
민현식, “개화기 한글본 ≪이언(易言)≫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국어학 49, 국어학회 
박부자, “선어말어미 통합순서 변화의 저지(沮止) 요인 -다른 선어말어미와의 결합을 중심으로-”, 배달말 41, 배달말학회 
박성종, “이독자(吏讀字) ‘내(內)’의 독법(讀法)”, 구결연구 19, 구결학회 
박숙희, “피·사동사 형성의 공시성과 통시성”, 한글 277, 한글학회 
박종희, “학진등재후보선정기념특집호: 근대 국어 ‘스, 즈(츠>시, 지(치))’의 음운 변화”, 인문과학 39, 성균관대 인문과학연구소 
박철주, “『대명률직해』의 주격조사 ‘亦’과 ‘弋只’에 대한 연구”, 한글 276, 한글학회 
박청희, “<박통사>류 문체 연구”, 한말연구 21, 한말연구학회 
방향옥, “「어제내훈(御製內訓)」의 궁중어(宮中語) 연구(硏究)”, 새국어교육 76, 한국국어교육학회 
백낙천, “국어 생활사 자료로서의 언간의 특징”, 한국언어문화 34, 한국언어문화학회 
백두현, “애국지사 김태린이 지은 『동몽수독천자문』(童蒙須讀千字文) 연구”, 어문학 95, 한국어문학회 
상보민, “15세기 한국어의 처격체계”, 구결연구 18, 구결학회 
석주연, “개화기 초기 국어의 형태와 통사”, 우리말글 41, 우리말글학회 
손남익, “1960년대 신문 두자어(頭字語) 연구”, 한국어학 37, 한국어학회 
송재목, “현대한국어 ‘어 있-’과 중세한국어 ‘-어 잇-’, 할하몽골어 ‘-eed baĭ-’에 대한 대조분석”, 이중언어학 33, 이중언어학회 
신승용, “‘X프/쁘-’ 용언어간의 기저형 재고”, 배달말 41, 배달말학회 
신승용, “古代國語 音節構造 再構 方法論과 音節構造”, 어문연구 136,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안대현, “한국어 ㅈ구개음화의 발생 시기와 발생 지역 -15세기와 16세기의 한글 문헌을 중심으로-”, 구결연구 18, 구결학회 
안주호, “연결어미 {-느라고}의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언어문학 62, 한국언어문학회 
안주호, “용언 ‘같-’ 구문의 공시성과 통시성”, 새국어교육 77, 한국국어교육학회 
양영희, “15세기국어 ‘라’ 체 의문문의 격식성과 비격식성”, 언어과학 14-3, 한국언어과학회 
양영희, “15세기국어 ‘라’체 의문어미의 기능 분류”, 한국언어문학 61, 한국언어문학회 
양영희, “15세기국어 대명사 체계 설정 -인칭대명사를 중심으로-”, 배달말 40, 배달말학회 
양영희, “16세기 국어 공손법 등분 설정을 위한 시론”, 사회언어학 15-2, 한국사회언어학회 
양영희, “16세기 청자존대법의 특징 고찰 -15세기에서의 변천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34-3,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양영희, “중세국어 의문보조사의 문법 범주”, 한국언어문학 63, 한국언어문학회 
여찬영, “『正俗諺解』의 번역언어학적 연구”, 우리말글 40, 우리말글학회 
여찬영, “『정속언해』의 스코포스이론적 관점”, 언어과학연구 43, 언어과학회 
여태천, “1930년대 어문운동과 조선문학의 가능성”, 어문논집 56, 민족어문학회 
오창명, “『동여비고(東輿備攷)』 제주(濟州) 지명(地名) 연구(硏究)”, 한민족어문학 50, 한민족어문학회 
오창명, “제주의 봉수 이름 연구”, 어문학 95, 한국어문학회 
유필재, “후기중세국어 부사파생접미사 ‘-이’의 형태음운론”, 국어학 49, 국어학회 
윤혜영, “17세기 국어 인용마디의 통어적 연구 -‘닐다’류 중심으로-”, 한말연구 21, 한말연구학회 
이광정, “해암(海巖) 김형규(金亨奎) 선생의 학문 세계”, 국어교육 124, 한국어교육학회 
이래호, “근대국어 자료 「됴야긔문」에 대한 국어학적 고찰”, 국어문학 42, 국어문학회 
이상금, “중세국어 ‘하다’와 ‘만다’의 문법적 특성”, 인문논총 58,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이상욱, “언해문에서 관찰되는 ‘내’, ‘네의’형에 대한 관견: 15세기 자료를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30-3,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상혁, “이석주교수정년기념특집: 국어학사를 다시 생각함 -정의, 방법, 범위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성어문학 26,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이상혁, “해방 후 초기 북쪽 국어학 연구의 경향 -1945~1950년 초기 국어학 연구자를 중심으로-”, 어문논집 56, 민족어문학회 
이선영, “消滅語 硏究의 한 가지 方法에 대하여”, 어문연구 135,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이용현, “목간으로 본 신라의 문자, 언어 생활”, 구결연구 18, 구결학회 
이용현, “문자자료(文字資料)로 본 삼국시대(三國時代) 언어문자(言語文字)의 전개(展開)”, 구결연구 19, 구결학회 
이유기, “유성기 음반 대중가요의 음운 현상”, 한민족문화연구 23, 한민족문화학회 
이은규, “『경민편(언해)』 이본의 번역 내용 비교 -번역자 시점을 기준으로-”, 언어과학연구 43, 언어과학회 
이장희, “고구려어 어말모음의 교체 원인”, 어문학 95, 한국어문학회 
이장희, “고구려어의 어말모음 교체와 속격조사”, 국어국문학 145, 국어국문학회 
이장희, “영남지역 고문서의 국어학적 특징 -경북대학교 중앙 도서관 소장 고문서를 대상으로-”, 영남학 12, 경북대 영남문화연구원 
이정택, “피동의 범주 확정과 범주 구조 -복합 표현의 범주 합류를 중심으로-”, 한말연구 21, 한말연구학회 
이지영, “연결어미 ‘-지만’의 형성 과정에 대한 재고찰”, 대동문화연구 57,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이혁화, “‘애아’ 모음 연쇄의 통시적 변화와 공시적 기술”, 국어국문학 146, 국어국문학회 
이현희, “19세기 초기부터 20세기 초기까지의 한국어는 어떤 모습이었나”, 우리말글 41, 우리말글학회 
이현희, “강세접두사의 변화 양상 -후기 근대국어 문헌을 중심으로-”, 동양학 41,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이혜령 (Hye Ryoung Lee), “동아시아 근대 어문 질서의 형성과 재편: 언어 법제화의 내셔널리즘 -1950년대 한글간소화파동 일고(一考)-”, 대동문화연구 58,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이희두, “중세국어 담화표지 ‘이’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학 63, 한국언어문학회 
임홍빈, “‘한글’ 命名者와 史料 檢證의 問題”, 어문연구 135,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임홍빈, “국어국문학과 인문학적 상상력: 국어학과 인문학적 상상력”, 국어국문학 146, 국어국문학회 
장경준, “경리잡설(經俚雜說)의 이두와 독음”, 구결연구 18, 구결학회 
장수경, “1920년대 아동문학에서 ‘-습니다’체의 형성과 구술성”, 비교한국학 15-2, 국제비교한국학회 
장요한, “중세국어 접속문에서의 부정 범위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146, 국어국문학회 
장충덕, “‘엉겅퀴’ 관련 어휘의 통시적 고찰”, 새국어교육 77, 한국국어교육학회 
정광, “한어(漢語) 교재(敎材) ≪노걸대≫의 장면 분석 -가정본(嘉靖本) ≪노걸대≫의 꺾쇠 표시를 중심으로-”, 국어학 49, 국어학회 
鄭光, “山氣文庫 소장 {刪改} <老乞大>에 대하여”, 어문연구 13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정달영, “세종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 한민족문화연구 22, 한민족문화학회 
鄭承喆, “被動詞와 被動接尾辭”, 진단학보 104, 진단학회 
정언학, “‘-어 잇다’ 構成의 분포와 意味의 역사적 變化”, 어문연구 136,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정언학, “보조용언 구성의 문법화와 역사적 변화”, 한국어학 35, 한국어학회 
정영호, “국어의〔+전설성〕자질과 모음의 변화”, 반교어문연구 23, 반교어문학회 
정우영, “경기체가(景幾體歌) <관동별곡(關東別曲)>의 국어사적(國語史的) 검토(檢討)”, 구결연구 18, 구결학회 
정재영, “청주고인쇄박물관 소장(所藏) 원흥사본(元興社本) 『금강경(金剛經)』에 대한 연구 -육조구결후서(六祖口訣後序)에 기입된 구결(口訣)을 중심으로-”, 구결연구 19, 구결학회 
조규태, “전국학술대회 발표논문: 배달말이란 무엇인가”, 배달말 41, 배달말학회 
차재은, “20세기 초의 한국어 모음 체계 -1930년대의 음성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어학 37, 한국어학회 
최기호, “몽골문화에서 한국어 뿌리를 찾는다(3)”, 말과글 110,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 
최기호, “몽골문화에서 한국어 뿌리를 찾는다(4)”, 말과글 111,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 
최기호, “몽골문화에서 한국어 뿌리를 찾는다(5)”, 말과글 112,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 
최기호, “몽골문화에서 한국어 뿌리를 찾는다(6)”, 말과글 113,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 
최전승, “완판본(전주본) 고문헌의 국어문학적 가치(1): 19세기 후기 국어에서 의존명사로의 문법화 과정과 역사적 연속성”, 국어문학 43, 국어문학회 
崔洪烈, “訓蒙字會 「疾病」部 字訓의 意味 考察”, 어문연구 13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한성우, “개화기 신문의 외래어 표기에 대한 음운론적 연구”, 어문학 95, 한국어문학회 
한영목·김덕신,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 발표에 대한 문인들의 태도와 준용 실태 고찰 -‘한글’ 지(1934-35)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62, 한국언어문학회 
허경무·김인택, “조선 시대 한글 서체의 유형과 명칭”, 한글 275, 한글학회 
허원욱, “중세국어 이음마디의 문법정보 제약”, 한말연구 21, 한말연구학회 
허재영, “「화음방언자의해」의 어휘론적 가치”, 한글 276, 한글학회 
허재영, “일제강점기 조선어 장려 정책과 한국어 교육”, 한말연구 20, 한말연구학회 
허재영, “한국어 보조사의 문법화 -개화기 한국어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22, 한민족문화학회 
홍윤표, “완판본(전주본) 고문헌의 국어문학적 가치(1): 한글의 역사와 완판본 한글 고소설의 문헌적 가치”, 국어문학 43, 국어문학회 
홍현보, “개화기 나랏글 제정과 ‘한글’의 발전 과정 연구”, 한글 277, 한글학회 
황경수, “훈민정음 중성의 역학사상”, 언어학 연구 11, 한국중원언어학회 
<기타>

다니엘 누첼 글·이문옥 옮김, “사라져 가는 언어들: 문화의 변화와 소수언어의 변화”, 새국어생활 17-4, 국립국어원 
라이토안탕 글·이문옥 옮김, “사라져 가는 언어들: 베트남의 소수 민족 언어정책”, 새국어생활 17-4, 국립국어원 
Daniel Nutzel, “사라져 가는 언어들: Chang, death of culture and minority languages”, 새국어생활 17-4, 국립국어원 
Ly Toan Thang, “사라져 가는 언어들: The language policy of minority languages in Vietnam”, 새국어생활 17-4, 국립국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