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도 국어학의 주요 일지
음성학·음운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형태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통사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어휘론·의미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정보학·사전학

연구 동향

국어(학)사·계통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 정책 논저 목록
국어 교육  논저 목록
한국어 교육 논저 목록
문자·표기 논저 목록
사회언어학 논저 목록
방언 논저 목록
사전학 논저 목록
국어정보학 논저 목록
정기 간행물 목록 논저 목록
국어정책·사회언어학
국어 교육
한국어 교육
여론과 쟁점
남북의 규범어와
≪겨레말큰사전≫
국립국어원 동향
  Ⅲ. 국어학 관계 문헌

1. 분야별 논저 목록                         

 사회언어학
<단행본>

고창운, 『신문 문장 이해』, 박이정 
국립국어원, 『공공기관 누리집의 언어 사용 실태』, (연구 책임자: 조태린),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방송 언어 경어법 개선을 위한 연구(SBS 공동)』, (연구 책임자: 정희창),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방송 언어 교육 프로그램의 교수법과 교재 개발』, (연구 책임자: 정희창),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방송 언어 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 (연구 책임자: 한글문화연대),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새터민 언어실태 조사 연구』, (연구 책임자: 문금현),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신문 언어 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 (연구 책임자: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연령별·계층별 언어 사용 실태 조사 연구, 1』, (연구 책임자: 김덕호),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외래어 및 외국어 인지도 조사 보고서』, (연구 책임자: 양명희),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지역어조사추진위원회, 『지역어 조사 질문지』, 태학사 
국립국어원 지역어조사추진위원회, 『지역어 조사 질문지, 1』, 태학사 
국립국어원 지역어조사추진위원회, 『지역어 조사 질문지, 2』, 태학사 
국립국어원 지역어조사추진위원회, 『지역어 조사 질문지, 3』, 태학사 
국립국어원 지역어조사추진위원회, 『지역어 조사 질문지, 4』, 태학사 
국립국어원 지역어조사추진위원회, 『지역어 조사 질문지, 5』, 태학사 
국립국어원 편, 『말하기 능력 측정도구 개발, 1』, 국립국어원 
김다은, 『발칙한 신조어와 문화 현상』, 작가 
김응모, 『하늘이 맡겨준 지게꾼의 사명: 김응모 교수 회고록; 국어학 연구에 바친 나의 반세기』, 박이정 
김진호, 『재미있는 한국어 이야기』, 박이정 
문창덕 저·연변동서방문화연구회 편찬, 『현대조선어연구: 격의 수효와 격형태를 한정함에 있어서 나서는 문제에 대하여』, 한국학술정보 
민형배 외, 『재외한인의 언론수용구조와 한국어 매체의 내용: 미국 LA와 중국 연변지역을 중심으로』, 북코리아 
백두현, 『국수는 밀가루로 만들고 국시는 밀가리로 맹근다: 경상도 사투리의 말맛』, 커뮤니케이션북스 
신혜경, 『한국인과 일본인의 언어행동과 문화의 차이』, 보고사 
우리말겨루기작가진, 『(KBS 1TV) 우리말 겨루기』, 넥서스 
이상규·김덕호·강병주 편저, 『언어지도의 미래』, 한국문화사 
이석주·이주행, 『한국어학 개론』, 보고사 
이익섭, 『방언학』, 민음사 
이정복·양명희·박호관, 『인터넷 통신 언어와 청소년 언어문화』, 한국문화사 
정길남, 『국어 표현 연구』, 한국문화사 
정연일, 『통번역사의 한국어』, 이지북스 
태학사 편집위원회, 『國語學論叢: 李秉根先生退任紀念』, 태학사 
한류전략연구소 편, 『아름다운 우리한글』, 어문학사 
KBS 상상플러스제작팀, 『(KBS 2TV) 상상플러스: 세대공감 OLD & NEW』, 동아일보사 
KBS 우리말 겨루기 작가진, 『(KBS 한국방송) 우리말 겨루기: 기출문제은행』, 넥서스 

<학위 논문>

강상일, <유머재의 시대적 수용 양상 연구: 언어 사회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건국대 교육대학원(석사) 
강혜숙, <경남 하동군 북천면 땅이름 연구>, 진주교육대 교육대학원(석사) 
고정현, <한일 웹 게시판언어 비교연구>, 동국대 교육대학원(석사) 
곽은하, <독일과 한국의 청소년언어 특성 연구>, 숙명여대 대학원(박사) 
권성란, <매체 언어의 국어과 수용 방향 고찰: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동국대 교육대학원(석사) 
권오성, <잘못 쓰고 있는 언어에 대한 고찰: 언론매체를 중심으로>, 서원대 교육대학원(석사) 
권은숙, <한일 언어행동의 대조사회언어학적 연구>, 중앙대 대학원(박사) 
권은영, <광고 은유에 대한 의미론적 연구: 미백 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희다'의 의미 중심으로>, 숭실대 대학원(석사) 
김대희, <한․일 신조어의 비교연구>, 한남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옥희, <초등학생의 은어와 비속어에 대한 지도방안 연구: 편지글을 중심으로>, 신라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정하, <‘1990년대'와 ‘2000년대'의 중․고등학생 은어의 비교 연구>, 단국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종호, <영주 지역 지명어 연구>, 안동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지연, <신문에서의 띄어쓰기 실태 분석 고찰>, 충남대 교육대학원(석사) 
김현실, <방송 광고 언어의 사회언어학적 고찰>, 인하대 교육대학원(석사) 
김현영, <중․고등학생들의 높임법 사용 실태 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석사) 
문덕찬, <제주 지명어의 형태․음운론적 연구>, 제주대 대학원(박사) 
박근배, <창원지역어와 고성지역어의 대비 연구>, 경남대 대학원(석사) 
박선주, <영동군 자연마을 이름 연구>, 충북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영환, <통신언어의 음운론적 고찰>, 전주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은주, <방송언어의 높임법 오용실태에 대한 연구>, 신라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인환, <초등학생의 통신언어 실태 분석 및 지도 방안 연구: 울산 지역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울산대 교육대학원(석사) 
변선영, <진주 지역의 지명 연구: 형태․음운을 중심으로>, 동국대 교육대학원(석사) 
송호기, <전북 금마 지역 지명 연구>, 원광대 교육대학원(석사) 
여준기, <한일양국의 외래어 사용에 관한 연구: 양국 신문을 중심으로>, 경상대 교육대학원(석사) 
오새내, <현대 국어의 형태음운론적 변이 현상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고려대 대학원(박사) 
유혜진, <청소년의 미니홈피 글쓰기에 관한 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석사) 
윤보은, <국어 높임표현 사용요인과 그 적용양상에 관한 연구: 학교언어공동체를 중심으로>, 국민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상녀, <강원도 영동 방언의 음운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강원대 대학원(박사) 
이윤경, <통신 언어의 특징과 실천적 교육 방안>, 경성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윤희, <간판 언어 분석을 통한 국어사용 실태 조사: 전주시내 간판을 중심으로>, 전북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은영, <통신 언어의 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아주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주경, <인터넷 통신 대화자명 연구>, 홍익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지혜, <인터넷 담화의 구비문학적 특성과 통합적 국어교육으로서의 가능성 연구>, 공주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철웅, <충주시 간판어 연구>, 충북대 교육대학원(석사) 
이혜영, <한․일 양언어의 젠더표현의 대조연구>, 상명대 대학원(박사) 
장혜진, <대구 지역어의 세대 간 단모음 실현 양상 비교 연구>, 고려대 대학원(석사) 
조상진, <인터넷 통신 언어의 연구>, 상지대 교육대학원(석사) 
조은희, <이메일 제목에 나타난 언어 양상 연구>, 홍익대 교육대학원(석사) 
조은희, <중학생의 문장 실태와 교육 방안>, 창원대 교육대학원(석사) 
조향선, <인터넷 언어가 청소년 국어생활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 교육대학원(석사) 
차윤정, <텔레비전 출연자의 말과 자막의 대응 양상>, 대구대 교육대학원(석사) 
최경희, <조선족의 친족 호칭어․지칭어 연구: 연변 훈춘 지역을 중심으로>, 동국대 대학원(석사) 
최미향, <고양시 간판어 연구>, 충북대 교육대학원(석사) 
최영란, <순천지역의 농기구 어휘 연구>, 순천대 교육대학원(석사) 
최혜정, <아파트 이름의 사회언어학적 고찰>, 인하대 교육대학원(석사) 
한영옥, <한․일 호칭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중앙대 대학원(박사) 
한영지, <중학생의 채팅 언어 연구: 대화방과 메신저의 차이를 중심으로>, 경남대 교육대학원(석사) 
홍수진, <독일광고와 한국광고에 사용된 어휘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인쇄광고의 헤드라인과 슬로건에 사용된 어휘의 품사를 중심으로>, 숙명여대 대학원(석사) 
홍승혜, <한․일 양국 속담에 나타나는 표현상의 특징에 관한 고찰: 일본어의 명사적 표현과 한국어의 동사적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 대학원(석사) 
홍지은, <PC 통신 언어의 사용 실태와 교과 지도 방안: 중학생을 대상으로>, 단국대 교육대학원(석사) 

<일반 논문>

강우순, “온라인 채팅에 나타난 구어적 특성과 차이점”, 언어연구 23-1, 경희대 언어연구소 
강지혜, “자막 번역과 언어 사용의 경제성”, 텍스트언어학 21, 한국텍스트언어학회 
강현석·이장희, “천안·아산지역어와 대구지역어에 나타나는 w탈락현상의 비교연구”, 사회언어학 14-2, 한국사회언어학회 
강희숙, “전남방언 택호의 변이와 변화”, 사회언어학 14-2, 한국사회언어학회 
구현정·정수희·김해수, “텔레비전 어린이 만화에 나타난 국어사용의 문제점”, 사회언어학 14-2, 한국사회언어학회 
권재선, “韓·日 ‘親族語’ 비교연구”, 한일언어문화연구 10, 한·일언어문화연구소 
김기선, “한국과 몽골의 금기 비교 연구”, 몽골학 21, 한국몽골학회 
김명운, “어휘사용의 성적변이 현상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방법 시론”, 사회언어학 14-2, 한국사회언어학회 
김상태, “대학생들의 어휘 사용 연구 -청주대 박물관 답사기를 통하여”, 새국어교육 73, 한국국어교육학회 
김정우, “초기 라디오 광고언어에서 대명사 “여러분"의 사용양상 -1959~1964년의 라디오 광고언어를 중심으로-”, 한성어문학 25, 한성대 한성어문학회 
김정우, “통신 이름에 나타난 정체성 표현의 양상”, 사회언어학 14-1, 한국사회언어학회 
김호정, “근현대 민족어문교육 기초 연구(2) 전국학술대회: 국어 사용 실태 연구의 내용과 방법론에 대한 고찰”, 국어교육연구 17,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김희숙, “21세기와 한국의 사회언어학”, 한국어학 31, 한국어학회 
박선옥, “인터넷 토론글 사례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인터넷 토론 의사소통 방식에 관한 연구”, 화법연구 9, 한국화법학회 
박은정, “대구지역 외국인 유학생들의 언어사용에 나타난 통신언어”, 언어와 문화 2-1,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박철주, “PC 통신언어 명사의 음운론적 연구”, 국어교육 119, 한국어교육학회 
박혜경·권순희, “TV시사토론(時事討論)프로그램 참여자의 연령별 경어법 사용 양상”, 국어교육학연구 25, 국어교육학회 
박호관·이정복, “고등학생들의 비규범적 통신 언어 사용과 국어 교육의 과제”, 어문연구 50, 어문연구학회 
박휴용, “‘세계화시대의 영어학습’ 열기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사회언어학 14-2, 한국사회언어학회 
변정민, “언어활동의 사회문화적 고찰 -간판 언어와 광고 언어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72, 한국국어교육학회 
서은아, “일제 시대 광고 언어의 특징 연구”, 한말연구 19, 한말연구학회 
손범규, “남북한 월드컵 중계방송 언어 비교 연구 -2002년과 2006년 월드컵 중계방송을 중심으로-”, 화법연구 9, 한국화법학회 
시정곤, “사이버 언어의 조어법 연구”, 한국어학 31, 한국어학회 
양영희, “중세국어 호칭어와 종결어미의 호응에 대한 재고”, 사회언어학 14-2, 한국사회언어학회 
오고시나오키, “상대방 소유물 사용 시의 무언행위에 대해서 -피행위자측의 의식, 한일 청년 조사 결과로부터-”, 한국어교육 17-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오장근, “여가문화 분석을 위한 텍스트 - 기호학 기반의 비교 문화론적 연구 -여가콘텐츠를 이용한 국내 3개 카드사 광고의 문화브랜딩 전략 분석-”, 텍스트언어학 20,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오현아, “정체성의 또 다른 표현: 전자우편 아이디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선청어문 34, 서울대 국어교육과 
이동석, “뉴스 자막 언어의 오류 실태 연구”, 어문논집 54, 민족어문학회 
이동석, “신문 방송 언어의 실태와 언어 규범”, 한국어학 33, 한국어학회 
이승후, “문장 부호 사용 실태의 조사 분석”, 새국어교육 74, 한국국어교육학회 
이재원, “한국상업광고사 -언어기능을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20,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이정복, ““힘"과 “거리" 요인에 따른 탈춤 대사의 경어법 연구”, 우리말연구 18, 우리말학회 
이정복, “국어 대우법의 종합적 검토: 국어 경어법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접근”, 국어학 47, 국어학회 
이정복, “인터넷 통신 언어 자료에 나타난 대구 지역 고등학생들의 방언 사용 실태”, 우리말글 38, 우리말글학회 
이정복, “청소년들의 경어법 사용 실태 분석 -대구 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학 30, 한국어학회 
이주행, “남한과 북한의 언어 문화에 관한 고찰”, 국어교육 121, 한국어교육학회 
이태영, “2006년 봄 중점학술발표 대회: 문학과 방언; 윤흥길의 <소라단 가는 길>에 나타난 일상어의 특징”, 국어국문학 142, 국어국문학회 
임영철, “이민 커뮤니티의 언어의식”, 사회언어학 14-1, 한국사회언어학회 
임지원·성철재, “한국어 방송 광고 헤드카피에 대한 운율 분석”, 언어학 46, 한국언어학회 
장경현, “인터넷 블로그에 나타나는 종결 어미 “-지(요)의 용법과 의미””, 한국어의미학 19, 한국어의미학회 
장혜진·신지영, “대구 방언 단모음의 세대 간 차이에 대한 음향 음성학적 연구”, 말소리 57, 대한음성학회 
전병철, “채팅 언어에서 보이는 방언 의식 연구”, 언어학 10, 중원언어학회 
전지현·성지현, “조직구성원의 논쟁성, 논쟁 유연성, 언어적 공격성에 대한 연구”, 사회언어학 14-2, 한국사회언어학회 
전혜영, “언어 사용자의 성별과 발화 특성”, 한국어학 31, 한국어학회 
정여훈, “신문 제목의 유형 및 그 실현 양상”, 사회언어학 14-1, 한국사회언어학회 
정현선, “한국어교육학회 제260회 학술대회 특집: 국어 생활과 국어 문화; 미디어 소통의 관점에서 본 인터넷 공론장의 언어문화”, 국어교육 119, 한국어교육학회 
정호완, “지명소 ‘고마’의 의미와 분포”, 우리말글 36, 우리말글학회 
조태린, “사회언어학의 지위와 의미에 대한 입장들”, 사회언어학 14-1, 한국사회언어학회 
진제희, “기능단계별로 나타난 의료면담의 제도 대화적 특징 연구”, 사회언어학 14-1, 한국사회언어학회 
학회자료, “강원도 평창군 방언 조사”, 한성어문학 25, 한성대 한성어문학회 
학회자료, “강원도 평창군 춘계 학술답사”, 한성어문학 25, 한성대 한성어문학회 
허재영, “근대계몽기 여성의 문자 생활”, 사회언어학 14-1, 한국사회언어학회 
홍미주, “일상 발음과 언어규범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사회언어학 14-1, 한국사회언어학회 
홍윤표, “디지털 시대의 국어학”, 국어국문학 143, 국어국문학회 
Jin-sook Choi, “Who Accentuates an Inter-group Dialect in an Inter-dialectal Place?”, 사회언어학 14-1, 한국사회언어학회 
Kyong-ae Yu, “Impact of Culture in Communication: Different Verbal Styles and Miscommunications”, 사회언어학 14-1, 한국사회언어학회 
Kyung-hee Suh·Kyu-hyun Kim, “An Analysis of TV Homeshopping Commercial”, 사회언어학 14-2, 한국사회언어학회 
Park Yun-joo, “Korean Children's Identity Construction while Living in Two Languages”, 사회언어학 14-2, 한국사회언어학회 

<기타>

김근태, “새로운 한글날에 바란다: 새로운 한글날에 바란다”, 새국어생활 16-3, 국립국어원 
김봉국, “강원도 말을 찾아서”, 새국어생활 16-4, 국립국어원 
김영명, “새로운 한글날에 바란다: 한글날 국경일 제정에 즈음하여 몇 가지를 생각하다”, 새국어생활 16-3, 국립국어원 
김진해, “‘선생님’과 ‘교수님’ 사이”, 쉼표, 마침표. 7, 국립국어원 
김진해, “넘치는 친절, 해석된 장면 - 자막”, 쉼표, 마침표. 5, 국립국어원 
김진해, “밀어내는 언어, 끌어당기는 언어 - 안내문”, 쉼표, 마침표. 8, 국립국어원 
김진해, “한자의 귀환”, 쉼표, 마침표. 6, 국립국어원 
김창종, “방송 드라마의 유행어 퍼뜨리기에 대하여”, 한글새소식 405, 한글학회 
김한빛나리, “유행 따라 버릇에 젖은 말글”, 한글새소식 408, 한글학회 
노회찬, “새로운 한글날에 바란다: 말과 글은 생물이다”, 새국어생활 16-3, 국립국어원 
문제안, “신문·방송이 꼭 해야 할 두 가지 일”, 한글새소식 404, 한글학회 
박향순, “언어 식민지”, 한글새소식 408, 한글학회 
배한성, “새로운 한글날에 바란다: 한글날, 우리말을 되돌아보며”, 새국어생활 16-3, 국립국어원 
신기남, “새로운 한글날에 바란다: 사람의 마음을 그대로 나타낼 수 있는 말은 온누리에서 ‘한글’뿐입니다”, 새국어생활 16-3, 국립국어원 
신승일, “홍익 한글과 한류”, 한글새소식 408, 한글학회 
이계진, “새로운 한글날에 바란다: 새로운 한글날에 바란다”, 새국어생활 16-3, 국립국어원 
이규택, “새로운 한글날에 바란다: 새로운 한글날에 바란다”, 새국어생활 16-3, 국립국어원 
이대로, “국경일로 다시 태어난 한글날: 한글날 국경일 제정 과정과 의미”, 새국어생활 16-3, 국립국어원 
임지룡, “국경일로 다시 태어난 한글날: 한글날의 참된 의미를 찾아서”, 새국어생활 16-3, 국립국어원 
정재환, “새로운 한글날에 바란다: 대통령님도 한글날만큼은 하루 쉬셔야죠!”, 새국어생활 16-3, 국립국어원 
정현기, “영어 이념과 한글 말하기와 글쓰기에 대한 단상”, 새국어생활 16-3, 국립국어원 
정호원, “중국에 부는 한글 바람 (1)”, 한글새소식 407, 한글학회 
정호원, “중국에 부는 한글 바람 (2)”, 한글새소식 408, 한글학회 
정호원, “중국에 부는 한글 바람 (3)”, 한글새소식 409, 한글학회 
정호원, “중국에 부는 한글 바람 (4)”, 한글새소식 412, 한글학회 
최상일, “농요에 들어 있는 우리말”, 새국어생활 16-3, 국립국어원 
한상우, “새로운 한글날에 바란다: 쉬운 한글로 친근한 법령을 만들자”, 새국어생활 16-3, 국립국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