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도 국어학의 주요 일지
음성학·음운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형태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통사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어휘론·의미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정보학·사전학

연구 동향

국어(학)사·계통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 정책 논저 목록
국어 교육  논저 목록
한국어 교육 논저 목록
문자·표기 논저 목록
사회언어학 논저 목록
방언 논저 목록
사전학 논저 목록
국어정보학 논저 목록
정기 간행물 목록 논저 목록
국어정책·사회언어학
국어 교육
한국어 교육
여론과 쟁점
남북의 규범어와
≪겨레말큰사전≫
국립국어원 동향
  Ⅲ. 국어학 관계 문헌

1. 분야별 논저 목록                         

 어휘론․의미론
<단행본>

고창운, 『신문 문장 이해』, 박이정 
관정이종환교육재단 편, 『남북 통일말사전』, 두산동아 
국립국어원 지역어조사추진위원회, 『지역어 조사 질문지, 1』, 태학사 
국립국어원 지역어조사추진위원회, 『지역어 조사 질문지, 2』, 태학사 
국립국어원 지역어조사추진위원회, 『지역어 조사 질문지, 3』, 태학사 
국립국어원 지역어조사추진위원회, 『지역어 조사 질문지, 4』, 태학사 
국립국어원·MBC, 『보도 가치를 높이는 TV 뉴스 문장 쓰기』, 시대의창 
권오운, 『작가들이 결딴낸 우리말: 우리말 분류 소사전』, 문학수첩 
金公七, 『韓日共通語彙硏究』, 한국문화사 
김규철 외, 『어문학 연구의 넓이와 깊이』, 역락 
김다은, 『발칙한 신조어와 문화 현상』, 작가 
김대행 외, 『하이퍼텍스트의 언어문화 이해교육』, 서울대학교 출판부 
김미령, 『의사소통 속의 대응 발화』, 세종출판사 
김수업, 『말꽃 타령: 김수업의 우리말 사랑 이야기』, 지식산업사 
김윤옥,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어휘획득 전략: 학습전략 교육과정, 지식획득』, 교육과학사 
김응모, 『한국어 농업어휘 낱말밭, 1: 겸업, 경작, 논밭, 담배, 인삼, 방적농업』, 박이정 
김응모, 『한국어 농업어휘 낱말밭, 2: 농작물, 거름, 농지, 땅임자』, 박이정 
김응모, 『한국어 농업어휘 낱말밭, 3: 농민, 농기구, 병충해, 농업정책』, 박이정 
김응모, 『한국어 농업어휘 낱말밭, 4: 목축업, 양잠업, 양봉업』, 박이정 
김응모, 『한국어 농업어휘 낱말밭, 5: 삼림업, 과수업』, 박이정 
김의수, 『한국어의 격과 의미역: 명사구의 문법기능 획득론』, 태학사 
김일성종합대학 교수진 외, 『우리말글쓰기 연관어대사전, 상: 자음 편』, 황토출판사 
김일성종합대학 교수진 외, 『우리말글쓰기 연관어대사전, 하: 모음 편』, 황토출판사 
김준영, 『입에 익은 우리 익은말: 글쓰기에 좋은 말글 사전』, 학고재 
김진호, 『재미있는 한국어 이야기』, 박이정 
김태엽, 『국어학개요』, 대구대학교 출판부 
김한배, 『우리말을 좀먹는 우리말 속의 일본말: 일본어 오·남용사전』, 동언미디어 
남성우, 『16세기 국어의 동의어 연구』, 박이정 
박영준 외, 『광고언어론: 언어학의 눈으로 본 광고』, 커뮤니케이션북스 
배성훈, 『현대국어의 내용 이해:〈길〉명칭을 중심으로』, 푸른사상사 
백문식, 『우리말 부사 사전』, 박이정 
백문식, 『우리말의 뿌리를 찾아서: 한국어 어원 사전』, 삼광출판사 
백봉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사전(개정판)』, 하우출판사 
상생화용연구소(김국태 외), 『내 말에 상처받았니?』,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상규·백봉자·강현화·김홍범·남길임·유현경·정희정·한송화, 『(외국인을 위한)한국어 학습 사전』, 신원프라임 
유은종 저·연변노교수협회 편찬, 『조선어의미론 연구』, 한국학술정보 
이경자, 『우리말 신체어 형성, 2』, 충남대학교 출판부 
이브 스윗처 저·김주식·나익주·박정운 역, 『어원론에서 화용론까지: 의미 구조의 은유적·문화적 양상』, 박이정 
이상억, 『서울말 진경 구어 연구: 구어/문어 목록들 간의 비교, 음변화 규칙 및 ‘가지구, 말이야’ 등의 분석』, 박이정 
이석주·이주행, 『한국어학 개론』, 보고사 
이수련, 『한국어 소유 표현 연구』, 박이정 
이은규, 『고대 한국어 차자표기 용자 사전』, 제이앤씨 
이희자·이종희, 『(풍부한 관용구를 수록한)어미·조사 사전: 한국어 학습 학습자용』, 한국문화사 
임지룡, 『말하는 몸: 감정 표현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한국문화사 
정언학, 『상 이론과 보조 용언의 역사적 연구』, 태학사 
정연일, 『통번역사의 한국어』, 이지북스 
丁泰鎭·金炳濟 저·정태진선생기념사업회 엮음, 『朝鮮 古語 方言 辭典』, 민지사 
지현숙, 『한국어 구어문법과 평가, 1, 이론편』, 하우 
진제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수업 대화 분석』, 커뮤니케이션북스 
진제희,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문제 연구: 영어권 학습자의 화용적 실패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북스 
최남희·최중호·이근영·송창선·박동근·허원욱·허재영·권재일·윤혜영·이석규·이수련·정동환·방운규·김준희·김용경·이만식·최용기·서은아, 『우리말 연구의 이론과 실제』, 경진문화사 
최재희, 『한국어 교육 문법론』, 태학사 
최창렬, 『어원산책』, 한국학술정보 
태학사 편집위원회, 『國語學論叢: 李秉根先生退任紀念』, 태학사 
한국색채연구소 편, 『우리말 색이름 사전』, 칼라뱅크커뮤니케이션 
한국어내용학회 편, 『한국인과 한국어문학』, 푸른사상사 
홍병호, 『상황과 표현: ‘Style’과 ‘Politeness’상의 영어와 한국어 비교』, 강남대학교출판부 
Kang Hyoun-hwa 저·Peter Schroepfer·Piao Wenzi·Ogoshi Naoki 역, 『Korean picture dictionary』 Darakwon 

<학위 논문>

강상일, <유머재의 시대적 수용 양상 연구: 언어 사회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건국대 교육대학원(석사) 
강아름, <한국어 물질 명사의 의미 분석>, 고려대 대학원(석사) 
강인선, <동시확장활동 프로그램 적용이 어휘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 교육대학원(석사) 
강혜숙, <경남 하동군 북천면 땅이름 연구>, 진주교육대 교육대학원(석사) 
경종호, <백석 시에 나타난 토속어 연구>, 전주교육대 교육대학원(석사) 
고광도, <한국어의 다의어 교수․학습 방안>, 부산외국어대 교육대학원(석사) 
高野麻衣, <현대 한일 친족어의 대조 연구>, 한국외국어대 대학원(석사) 
고정현, <한일 웹 게시판언어 비교연구>, 동국대 교육대학원(석사) 
고혜원, <중등학생 어휘 지도 방안 연구>, 중앙대 교육대학원(석사) 
곽숙영, <한국어의 어휘 대조 초점과 음소 대조 초점의 실현 양상>, 고려대 대학원(석사) 
권영근, <한국어와 영어에 나타난 문화모형 비교: 속담을 중심으로>, 금오공과대 교육대학원(석사) 
권은영, <광고 은유에 대한 의미론적 연구: 미백 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희다'의 의미 중심으로>, 숭실대 대학원(석사) 
권익호, <한일 양국 신체어휘관련 관용어의 비교․대조연구>, 충남대 대학원(박사) 
권태진, <영풍군 지명의 의미론적 연구>, 충북대 교육대학원(석사) 
권혜선, <우리말 거절 표현의 공손성 연구>, 강릉대 교육대학원(석사) 
길본일, <시간표현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부산대 대학원(박사) 
김경하, <7차 중학교 『국어』의 어휘 연구>, 울산대 교육대학원(석사) 
김대희, <한․일 신조어의 비교연구>, 한남대 교육대학원(석사) 
김미라, <한일 양 언어의 완곡표현 대조․비교>, 경상대 교육대학원(석사) 
김미림, <효과적인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화법교육 연구>, 선문대 대학원(석사) 
김미숙, <한․일 양언어의 식감각 표현연구: 상징어 표현을 중심으로>, 중앙대 교육대학원(석사) 
김민영, <우리말 신체어의 의미 확장을 통한 어휘 지도 방안 연구>, 전북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선옥, <문말생략표현에 관한 한․일 대조연구>, 한국외국어대 대학원(석사) 
김선희, <거절표현에 대한 한․일 대조연구: 유도발화의 관점에서>, 한국외국어대 대학원(석사) 
김수경,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 연구: 초등학교 교과서와 초등학생 작문을 중심으로>, 연세대 대학원(석사) 
김용식, <국어 매체 언어의 음성 연기 연구>, 경희대 대학원(박사) 
김윤희, <학문적 구두발표에서의 메타언어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어 모어화자와 외국인 유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대학원(석사) 
김은숙, <토의 상황에서 말차례 가지기에 관한 연구: ‘이주노동자 세상'을 중심으로>, 연세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은정, <의생활 어휘의 지역방언 연구>, 단국대 대학원(석사) 
김정하, <‘1990년대'와 ‘2000년대'의 중․고등학생 은어의 비교 연구>, 단국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종호, <영주 지역 지명어 연구>, 안동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지영, <한․일 신체어휘의 관용구에 관한 고찰: ‘가슴'․「胸」과 ‘배'․「腹」을 중심으로>, 경상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지현, <현대국어 다의성 연구: 우리말 동사를 중심으로>, 인천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지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관용표현 연구>, 대진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춘호, <한국어와 일본어의 색채표현 「녹․청」에 관한 대조 연구>, 한국외국어대 대학원(석사) 
김현지, <한국어 접속문에서의 양보 표현 연구>,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석사) 
김혜원, <중․한 관용표현 대조연구>, 한국외국어대 대학원(박사) 
김호정, <한국어 교육 문법의 시간 표현 연구>, 서울대 대학원(박사) 
김화진,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거절 화행 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석사) 
끄라포바 마리아, <한국어 부사의 수식 위치에 관한 연구: 통사․의미를 중심으로>, 우석대 대학원(석사) 
노희진, <전화 담화 분석을 통한 맞장구 고찰: 한국어 모어화자와 일본어권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화여대 대학원(석사) 
譚麗麗, <한국어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표현 교육 연구>, 서울대 대학원(석사) 
도브라노바 밀레나, <한국어와 불가리아어 격 체계 비교 연구>, 경희대 대학원(석사) 
류정아, <영어 외래어의 형태․의미론적 특성 연구>, 영남대 교육대학원(석사) 
모우리 미나, <전자 메일 텍스트 구조 연구: 한․일 전자메일의 비교를 중심으로>, 연세대 교육대학원(석사) 
문규원, <TV 뉴스의 담화분석: 의도성을 중심으로>, 서울대 대학원(석사) 
문덕찬, <제주 지명어의 형태․음운론적 연구>, 제주대 대학원(박사) 
박경, <한․일․중 친족 호칭 비교 고찰>, 경상대 대학원(석사) 
박경옥, <담화분석을 통한 칭찬화행 연구: 한국어 회화교재와 T.V 드라마 대본을 중심으로>, 한양대 교육대학원(석사) 
박근배, <창원지역어와 고성지역어의 대비 연구>, 경남대 대학원(석사) 
박서향, <한국어 교재의 의미 분석을 토대로 한 다의어 교육 연구>, 연세대 대학원(석사) 
박선용,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 맞장구 어사 기능 분석>, 경희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선주, <영동군 자연마을 이름 연구>, 충북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재현, <설득 담화의 내용 조직 교육 연구>, 서울대 대학원(박사) 
박정은, <한․일 양국어의 추량표현에 관한 대조 연구: 드라마 “겨울연가"를 대상으로>, 단국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주화,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어휘 분석 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지순, <학술 논문 텍스트의 표지 분석: 국어학 학술 논문을 중심으로>, 연세대 교육대학원(석사) 
方香玉, <「어제내훈」의 어휘론과 형태론>, 조선대 대학원(석사) 
변선영, <진주 지역의 지명 연구: 형태․음운을 중심으로>, 동국대 교육대학원(석사) 
서광진, <한국어 의존용언 연구: 분류 기준을 중심으로>, 전북대 대학원(석사) 
서정애, <일반 작문과 컴퓨터 작문 텍스트의 비교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석사) 
송신지, <자토석독구결 자료의 어휘 연구>, 서울시립대 대학원(석사) 
송정인, <천안지역 간판어의 어종별 고찰-1995년과 2005년의 간판어를 중심으로->, 인하대 교육대학원(석사) 
송호기, <전북 금마 지역 지명 연구>, 원광대 교육대학원(석사) 
신혜경, <구약성서 『룻기』의 텍스트 언어학적 연구: 결속 구조와 결속성을 중심으로>, 전남대 대학원(석사) 
오순례, <청주시 지명 연구>, 충북대 교육대학원(석사) 
오유경, <한일양언어의 행위요구표현연구>, 경상대 교육대학원(석사) 
王麗芳, <기쁨과 슬픔의 표현 양상 한․중 대조 연구>, 부산대 대학원(석사) 
王寶霞, <여성에 관한 한․중 속담의 비교 연구>, 경원대 대학원(석사) 
위옥선, <『한․일 양국의 음상징어 비교』: 초등학교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단국대 교육대학원(석사) 
유경, <한국어 의문문의 의미론적 연구>, 군산대 대학원(석사) 
유현대, <한국어와 영어의 은유표현 비교연구>, 충남대 대학원(석사) 
유효려, <한국어와 중국어의 지시어 비교 연구>, 목포대 대학원(석사) 
윤기한, <현대국어 색채어의 의미 확장 고찰>, 전남대 대학원(석사) 
윤보은, <국어 높임표현 사용요인과 그 적용양상에 관한 연구: 학교언어공동체를 중심으로>, 국민대 교육대학원(석사) 
이경화, <≪금강경삼가해언해≫ 연구: 국어 표기법과 어휘를 중심으로>, 동국대 교육대학원(석사) 
이경희, <<부모은중경언해> 이본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영남대 교육대학원(석사) 
이규환, <현대국어의 <돌> 명칭에 대한 연구>, 고려대 인문정보대학원(석사) 
이기연, <어휘 교육 내용 설계를 위한 낯선 어휘의 의미 처리 양상 연구>, 서울대 대학원(석사) 
이리나, <현대 국어의 새말 형성에 대한 연구>, 충남대 대학원(석사) 
이상연, <한․일 양국의 외래어 비교 분석: 조선일보 한국어판․일본어판을 중심으로>, 경희대 대학원(석사) 
이숙의, <한국어 동사 의미망 구축 연구>, 충남대 대학원(박사) 
이순애, <한국어 교재의 식생활 어휘 연구>, 가톨릭대 대학원(석사) 
이엘레나,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은유 표현 비교 연구: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정치 은유 표현>, 경희대 대학원(석사) 
이영주, <유의어 지도 방법 연구: 중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남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유미, <국어 담화상의 중의 현상 연구>, 중앙대 대학원(박사) 
이은영, <《법집별행록절요언해》 연구>, 동국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주경, <인터넷 통신 대화자명 연구>, 홍익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지혜, <심리형용사 유의어의 의미 변별과 사전 기술 연구: 연어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 대학원(석사) 
이진병, <국어 장형 사동문의 의미 연구: 사동주와 피사동주의 힘 관계를 중심으로>, 전북대 대학원(석사) 
이철웅, <충주시 간판어 연구>, 충북대 교육대학원(석사) 
이하나, <영어권 한국어 고급학습자의 칭찬 응답 화행 연구>, 이화여대 교육대학원(석사) 
이혜영, <한․일 양언어의 젠더표현의 대조연구>, 상명대 대학원(박사) 
이회환, <국어 추측법 연구>, 경상대 대학원(석사) 
임지아, <한국어 교육용 어휘에 관한 연구>, 동아대 대학원(석사) 
장미희, <놀이 담화의 교육적 효용에 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석사) 
장수정, <국제이주여성을 위한 어휘교재 개발 연구>, 상명대 교육대학원(석사) 
장인옥, <의존명사의 형태 의미론적 연구>, 원광대 교육대학원(석사) 
장주화, <한․중 이형동의 한자어의 비교 연구>, 중앙대 대학원(석사) 
장혜주, <현대 국어 신어 연구>, 안동대 교육대학원(석사) 
전락, <한국어와 중국어의 외국어 수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 대학원(석사) 
전은진, <이동 전화를 통한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한양대 대학원(박사) 
전지원, <한국어 교육을 위한 칭찬 화행 연구: 칭찬 반응을 중심으로>, 연세대 교육대학원(석사) 
정선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담화표지 연구: {글쎄}, {뭐}, {좀}을 중심으로>, 상명대 교육대학원(석사) 
정유남, <현대 국어 추측의 양태 의미 연구>, 고려대 대학원(석사) 
정지영, <의미 관계를 이용한 어휘력 확대 방안: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교육대학원(석사) 
정태경, <현대국어 <음식물> 명칭의 분절구조 연구: <식사 음식>을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박사) 
조상진, <인터넷 통신 언어의 연구>, 상지대 교육대학원(석사) 
조선경, <한국어 신체 관련 다의어 교육 방법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석사) 
조은아, <‘EBS 수능특강 언어영역' 동영상 강의의 교수발화 분석>, 한양대 교육대학원(석사) 
조은호, <한국어 외래어 교육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석사) 
조은희, <이메일 제목에 나타난 언어 양상 연구>, 홍익대 교육대학원(석사) 
조현아, <광고언어의 국어 교육적 활용 방안>, 연세대 교육대학원(석사) 
주빈, <한국어와 중국어의 수량사 구성 비교 연구>, 광운대 대학원(석사) 
진정은, <한국어의 대립 접속부사 문법 기술 연구: ‘그러나, 그렇지만, 하지만, 그래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데'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석사) 
진정희, <중․고등학생의 어휘학습전략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충북대 교육대학원(석사) 
차윤정, <텔레비전 출연자의 말과 자막의 대응 양상>, 대구대 교육대학원(석사) 
최남순, <나로도 방언 어류 명칭어 연구>, 순천대 교육대학원(석사) 
최미향, <고양시 간판어 연구>, 충북대 교육대학원(석사) 
최성규, <구역 ≪신약젼셔≫의 국어학적 연구>, 서울대 대학원(석사) 
최세원, <한국어 교재의 명사 은유 표현 교육에 관한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석사) 
최영란, <순천지역의 농기구 어휘 연구>, 순천대 교육대학원(석사) 
최윤선, <곤충 이름 연구>, 충북대 교육대학원(석사) 
최정혜, <국어 명사구 구성 요소의 의미 관계 연구: ‘N의 N' 구조를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박사) 
최지현, <담화표지 ‘막'의 기능 연구>, 목포대 교육대학원(석사) 
타카스카요코, <한국어 학습자의 전화 대화 종결부 연구: 일본어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이화여대 대학원(석사) 
하지선, <한국어교육을 위한 종결기능 연결어미 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석사) 
하진희, <우리말 관용표현의 관용성 척도 설정 연구>, 동아대 대학원(석사) 
홍수진, <독일광고와 한국광고에 사용된 어휘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인쇄광고의 헤드라인과 슬로건에 사용된 어휘의 품사를 중심으로>, 숙명여대 대학원(석사) 
홍승혜, <한․일 양국 속담에 나타나는 표현상의 특징에 관한 고찰: 일본어의 명사적표현과 한국어의 동사적표현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 대학원(석사) 
황림화, <한국어와 조선어 속담의 비교 연구>, 인하대 대학원(석사) 
황미연, <한국어와 중국어의 관용표현 대조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석사) 
황선영, <현대 국어 어휘의 텍스트 유형별 사용 양상과 특징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석사) 
황은혜, <국어의 통사적 중의성 연구>, 충북대 교육대학원(석사) 
John Mark D. Minguillan, <한국과 영․미 문화권 동물 속담의 문화언어학적 비교>, 전남대 대학원(석사) 

<일반 논문>

강소영, “구어 담화에 나타난 수정 양상 연구 -수업내용을 화제로 한 대학 강사들의 대화 중심으로-”, 한국어학 32, 한국어학회 
강소영, “우측 어순 변동 구문의 실현양상과 의미기능 연구”, 한국어의미학 20, 한국어의미학회 
강연임, “광고 문구에 나타난 ‘화용적 대립어’ 연구”, 한국어의미학 20, 한국어의미학회 
강우순, “온라인 채팅에 나타난 구어적 특성과 차이점”, 언어연구 23-1, 경희대 언어연구소 
강정희, “제주방언의 인식양태 표현 -형용사 구문의 부사어 “잘도"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59, 한국언어문학회 
강지혜, “자막 번역과 언어 사용의 경제성”, 텍스트언어학 21, 한국텍스트언어학회 
강희숙, “소설 『태백산맥』의 화용론 -담화 표지 “와, 웨, 잉"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57, 한국언어문학회 
고창운, “변이의미의 생성과 한국인”, 우리말글 36, 우리말글학회 
고창운, “우리말 맛 그림씨의 어휘장 연구 -“달다"류와 “시다"류 어휘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56, 한국언어문학회 
구현정·이성하, “Cognitive-Semantic Network: the Case of Korean Instrumental”, 언어과학연구 38, 언어과학회 
권순구, “보조용언 ‘버리다’의 양태 의미”, 어문연구 51, 어문연구학회 
권정현, “의미역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한성어문학 25, 한성대 한성어문학회 
吉本一, “시간의 자원화 양상”, 담화와 인지 13-3, 담화인지언어학회 
吉本一, “은유 연구의 회고와 전망: 시선의 은유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연구”, 한국어의미학 20, 한국어의미학회 
김갑년, “코제리우(E. Coseriu) 텍스트개념의 응용 가능성”, 텍스트언어학 21, 한국텍스트언어학회 
김건희, “형용사문의 주어와 의미역 설정에 관하여”, 언어학 44, 한국언어학회 
김경아, “‘햇빛’과 ‘햇볕’에 대한 단상”, 태릉어문연구 14, 서울여대 국어국문학과 
김경열, “비교구문의 범위와 특성에 대하여”, 개신어문연구 24, 개신어문학회 
김기택, “시어의 어원분석 시론”, 고황논집 38, 경희대 대학원 
김기혁, “국어 지정문과 존재문의 상관성”, 한글 271, 한글학회 
김동성·최재웅, “저빈도어를 고려한 개념학습 기반 의미 중의성 해소”, 언어와 정보 10-1, 한국언어정보학회 
김명희, “국어 의문사 “무슨"의 담화표지 기능”, 담화와 인지 13-2, 담화인지언어학회 
김문기, “우리말 매인풀이씨의 은유적 의미 확장 연구를 위한 유형 설정”, 문창어문논집 43, 문창어문학회 
김문기, “은유 연구의 회고와 전망: 같은꼴 매인풀이씨의 은유적 의미 확장”, 한국어의미학 20, 한국어의미학회 
김미경, “한국 아동의 정보교환 능력 발달 양상”, 담화와 인지 13-2, 담화인지언어학회 
김미령, “반응요구 화행의 유형 설정”, 한민족어문학 49, 한민족어문학회 
김미숙, “Korean Children’s Acquisition of Novel Compound Nouns”, 담화와 인지 13-2, 담화인지언어학회 
김미자, “한국어 “것"에 대한 검토”, 언어연구 23-1, 경희대 언어연구소 
김병균, “全北 鎭安地方의 風水地名 硏究(1)”, 어문논집 35, 중앙어문학회 
김상태, “대학생들의 어휘 사용 연구 -청주대 박물관 답사기를 통하여”, 새국어교육 73, 한국국어교육학회 
김상태, “음운적 단어 설정에 대한 연구 -띄어쓰기 오류 분석을 통하여-”, 한국어학 32, 한국어학회 
김선정·강현자, “한국어 관용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및 단원 제시”, 이중언어학 32, 이중언어학회 
김소영, “건의문 쓰기의 지도 방안 연구”, 우리말연구 19, 우리말학회 
김소영, “연설의 담화 유형적 특성과 평가의 방향”, 화법연구 9, 한국화법학회 
김순자, “제주의 떡 이름”, 영주어문 12, 영주어문학회 
김영순·김정은, “신체 특성과 신체 접촉의 기호화용론적 구조 -봉산탈춤의 노장과장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 29, 한국언어문화학회 
김영순·오영훈, “급진적 구성주의의 이해 모델에 관한 인지적 해석”, 언어과학연구 36, 언어과학회 
김영순·이미정, “여성잡지 텍스트에 나타난 여성 몸의 기술 양상과 구조적 메커니즘”, 텍스트언어학 20, 한국텍스트언어학회 
김영일, “동물 명칭 관련 지명의 새로운 인식”, 어문학 92, 한국어문학회 
김영철, “국어 담화표지 “어”의 고찰”, 국어문학 41, 국어문학회 
김용범, “On Saliency in Multiple Nominative Constructions”, 언어연구 21-3, 한국현대언어학회 
김윤신, “사동·피동 동형동사의 논항교체 양상과 의미해석”, 한국어의미학 21, 한국어의미학회 
김윤신, “한국어 동사의 사건구조와 어휘상(語彙相)”, 한국어학 30, 한국어학회 
김윤옥, “상호주관적 화법의 특성 연구”, 청람어문교육 34, 청람어문교육학회 
김일곤, “Agentivity and Case Markings on the Causative Pivot in Korean Analytic Causative Constructions”, 담화와 인지 13-1, 담화인지언어학회 
김정선·장경희, “일상 대화에 나타난 진술의 평균 확장 발화 수”, 텍스트언어학 21, 한국텍스트언어학회 
김정우, “2006년 동계 학술대회 발표논문: 인쇄광고언어의 텍스트성 구현 양상 -표제부와 부제부 간의 응집성을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26, 우리어문학회 
김정우, “라디오 광고언어에서 2인칭 대명사의 사용 양상”, 우리어문연구 27, 우리어문학회 
김정우, “초기 라디오 광고언어에서 대명사 “여러분"의 사용양상 -1959~1964년의 라디오 광고언어를 중심으로-”, 한성어문학 25, 한성대 한성어문학회 
김정태, ““마을"(동(洞), 촌(村))을 지시하는 전래지명어의 한자어화에 대하여 -천안 지역의 지명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33-3, 충남대 인문과학연구소 
김종국·신동일·박성원, “인터뷰평가의 담화분석 연구 -상호작용 담화모형 관점에서-”, 한국어교육 17-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종영, “정치연설 텍스트에 나타난 민족공동체 담론 분석 -국가사회주의를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21, 한국텍스트언어학회 
김지홍, “국어 통사, 의미론에서의 “방법론" 검토”, 배달말 39, 배달말학회 
김진해, “사건의미론 관점에서 본 상징부사의 서술성 해석”, 담화와 인지 13-3, 담화인지언어학회 
김진해, “코퍼스언어학적 관점에서 본 의미의 본질”, 한국어의미학 21, 한국어의미학회 
김천학, “국어의 동작상과 동작류”, 국어교육 120, 한국어교육학회 
김태엽, “2006년 봄 중점학술발표 대회: 문학과 방언; 현진건 소설의 방언 연구”, 국어국문학 142, 국어국문학회 
김태엽, “국어 대우법 체계에 낮춤 등급을 설정할 수 없는 이유”, 한국언어문학 59, 한국언어문학회 
김태엽, “이병각 작품에 나타난 경북 방언”, 어문연구 51, 어문연구학회 
김태자·김혜숙,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읽기 교육의 화용론적 인식지도”, 인문과학연구 11, 전주대 인문과학종합연구소 
김한샘, “말뭉치에 기반한 공간 명사의 의미 변화 연구”, 반교어문연구 21, 반교어문학회 
김해연, “문어담화 의문문의 대화분석적 접근 -[토지]에 나타난 의문문의 분석을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21, 한국텍스트언어학회 
김해연·유경애·Roland Sussex, “A Cross-Cultural Study of E-mail Discourse between Koreans and Australians”, 담화와 인지 13-2, 담화인지언어학회 
김혜경·윤애선, “동사 어휘의미망의 반자동 구축을 위한 사전정의문의 중심어 추출”, 언어와 정보 10-1, 한국언어정보학회 
김혜숙, “총장 연설 화법의 텍스트담화적 전략”, 사회언어학 14-2, 한국사회언어학회 
김호정, “담화 차원의 문법 교육 내용 연구”, 텍스트언어학 21, 한국텍스트언어학회 
김호정, “한국어 교사에게 필요한 교육 문법 지식 내용 연구 -관용 표현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32, 이중언어학회 
김흥수, “개교 60주년 기념 특별호: 신동엽 시의 상호텍스트성”, 어문학논총 특별호, 국민대 어문학연구소 
김희경, “관용어구의 대조언어학적 연구”, 한말연구 18, 한말연구학회 
김희경, “속담을 통한 언어와 문화의 이해”, 한국어문학연구 24, 한국외대 한국어문학연구회 
나은미, “2006년 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 텍스트의 내용과 접속의 표지의 상관관계 연구 -소설 익명의 섬을 대상으로-”, 우리어문연구 27, 우리어문학회 
나은미, “어휘부의 존재 방식과 단어 형성”, 한국어의 미학 20, 한국어의미학회 
나은미, “접미사 “-음, -기"의 범주와 의미에 대한 연구”, 한성어문학 25, 한성대 한성어문학회 
나익주, “은유 연구의 회고와 전망: ‘정’과 ‘한’의 은유적 개념화”, 한국어의미학 20, 한국어의미학회 
남경란, “『사서언해』의 국어학적 고찰 -『논어언해』의 어휘를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34,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남경완·최정혜, “중의 어절의 문법 범주별 유형 연구”, 민족문화연구 4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남길임, ““아니다"의 패턴 연구 -말뭉치의 문맥색인(concordance)을 활용하여-”, 어문론총 44, 한국문학언어학회 
남길임,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에서의 어휘 기술 방법론 연구”, 한글 271, 한글학회 
남길임, “텍스트 장르에 따른 문장 확대 양상 연구 -학술개론서와 학술강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21, 한국텍스트언어학회 
남지순, “한국어 명사구성비자립어(NXF) 전자사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논의”, 한국어학 31, 한국어학회 
남지순, “한국어 의존명사 전자사전 어휘부 구성을 위한 연구”, 언어학 44, 한국언어학회 
노명희, “국어 한자어와 고유어의 동의중복 현상”, 국어학 48, 국어학회 
노은희, “일상 대화에 나타난 발화의 “예고 표현"에 관한 연구 -드라마 자료를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20, 한국텍스트언어학회 
마쯔자키마히루, “실제적인 대화 자료 작성에 관한 연구 -대화분석으로 본 청취교재-”, 한국어교육 17-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문금현, “한국어 명사 ‘눈’의 교육 방안”, 한국어의미학 21, 한국어의미학회 
문금현,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다의어 학습 방안 -동사 “보다"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30, 이중언어학회 
문순덕, “제주방언 ‘불다’의 문법화 과정”, 영주어문 12, 영주어문학회 
민현식, “국어교육에서의 지도력(리더십) 교육 시론”, 화법연구 9, 한국화법학회 
박건숙, “자연언어처리를 위한 구문, 의미 정보 구축 -날씨어휘장의 {비}를 대상으로-”, 한국어의미학 19, 한국어의미학회 
박근영, “{네}의 재고찰”, 한국어문학연구 23, 한국외대 한국어문학연구회 
박근영, “‘이’, ‘그’, ‘저(뎌)’의 의미 기능 변화”, 언어와 문화 2-1,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박기선, “개화기 한자 어휘의 변천에 관한 小考 -‘텬로력뎡’의 異本을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2-1,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박기선, “한국어 대화에서 나타나는 응답의 유형 분석”, 한국어문학연구 23, 한국외대 한국어문학연구회 
박문자, “한국어 원어민 화자의 표현 형태 양상 조사 연구”, 한국어교육 17-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朴仙玉, “補助動詞 ‘버리다’와 ‘치우다’가 쓰인 구문에 대한 統辭論的·意味論的 연구”, 어문연구 131,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박선옥, “인터넷 토론글 사례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인터넷 토론 의사소통 방식에 관한 연구”, 화법연구 9, 한국화법학회 
박성철, ““패틱 커뮤니온"의 전통적 개념규정과 그 소통기능 및 역할에 대하여”, 텍스트언어학 20, 한국텍스트언어학회 
박수연, “한국어 학습 사전의 연구 동향 분석”, 이중언어학 31, 이중언어학회 
박숙영, “의지 표현들의 의지 정도성 비교 -‘­겠어요’, ‘­(으)ㄹ거예요’, ‘­(으)ㄹ래요’, ‘­(으)ㄹ게요’를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2-2,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박영순, “은유 연구의 회고와 전망: 은유 연구의 성과와 방법론”, 한국어의미학 20, 한국어의미학회 
박영준·이동혁, “텔레비전 뉴스꼭지의 연결구조”, 한국어학 32, 한국어학회 
박용식, “땅이름 “덤"의 분포와 의미”, 국어학 48, 국어학회 
박용익, “의사-환자 대화의 제도적 특징과 유형학”, 텍스트언어학 21, 한국텍스트언어학회 
박유현, “현대 국어 조사 “-가"의 구어에서의 비실현 양상 연구”, 어문론총 45, 한국문학언어학회 
박재양, “추녀와 처마의 어원”, 인문과학 38, 성균관대 인문과학연구소 
박재현, “설득 화법 교육을 위한 텍스트 연결 표현의 의미기능 연구”, 텍스트언어학 21, 한국텍스트언어학회 
박정운, “한국어 조건문의 인식태도”, 담화와 인지 13-2, 담화인지언어학회 
박정진, “수업 담화에서의 질문활동 구조”, 한국어학 32, 한국어학회 
박종갑, “언어와 사고의 상관 관계 연구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다의어 비교를 통해-”, 우리말연구 19, 우리말학회 
박지현, “한국어와 영어 차용어의 동의어 연구”, 한국어문학연구 23, 한국외대 한국어문학연구회 
박진호, “자연언어처리와 국어 연구”, 국어국문학 143, 국어국문학회 
박찬식, “유해류 역학서 “인품(人品)"부 어휘의 고찰”, 겨레어문학 36, 겨레어문학회 
박찬식, “유해류 역학서의 “궁실"(宮室)부 어휘의 고찰”, 한말연구 18, 한말연구학회 
박철우, ““이다" 구문의 통사구조와 {이}의 문법적 지위”, 한국어학 33, 한국어학회 
박철주, “『대명률직해』와 현대국어의 구문상 표현차이 연구”, 한국어의미학 21, 한국어의미학회 
박철주, “먹을거리 합성어의 내면 의미에 대한 연구”, 우리말글 36, 우리말글학회 
박철주, “신조 감탄사 및 의성어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 121, 한국어교육학회 
박철주, “함축구문 형성규칙에 대한 연구 -주제구문에 의하여-”, 텍스트언어학 20, 한국텍스트언어학회 
박형익, “「언문 주 보통문집(諺文 註解 普通文字集)」의 사전학적 분석”, 한국어학 33, 한국어학회 
박희문, “한국어 이중주어구문의 제약기반적 분석”, 언어연구 21-1, 한국현대언어학회 
방경원, “주주들에게 보내는 편지 분석을 위한 텍스트종류 서술모델 -전문언어 텍스트종류 연구”, 텍스트언어학 21, 한국텍스트언어학회 
방향옥, “『어제내훈』의 어휘 연구”, 새국어교육 74, 한국국어교육학회 
배도용, “우리말 ‘코’의 의미 확장과 개념망”, 비교문화연구 18, 부산외대 비교문화연구소 
배현숙,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 교수법 연구”, 이중언어학 31, 이중언어학회 
백낙천, “국어 조사의 범주와 의미”, 한국언어문화 30, 한국언어문화학회 
백승국, “광고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전략 -국순당 광고의 기호학적 분석-”, 텍스트언어학 20, 한국텍스트언어학회 
범금희, “대구 토박이말의 {어 가지고} 관련 어형별 실현양상”, 한민족어문학 49, 한민족어문학회 
서덕현, “화법 교육의 문제: 수업 현장의 교사 화계에 대한 연구”, 화법연구 9, 한국화법학회 
서은아, “일제 시대 광고 언어의 특징 연구”, 한말연구 19, 한말연구학회 
서정민·조학행, “현재완료와 중의성”, 언어연구 21-2, 한국현대언어학회 
서희정, “한국어 교육에서 부사 ‘좀’의 담화 기능”, 고황논집 39, 경희대 대학원 
석주연, ““-도록"의 의미와 문법에 대한 통시적 고찰”, 한국어의미학 19, 한국어의미학회 
성귀복,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의 이메일에 나타난 언어전환의 형식과 기능”, 이중언어학 30, 이중언어학회 
성희제, “대전 서남부 지명어의 음운과 형태 연구”, 어문연구 52, 어문연구학회 
손남익, “국어 반의어의 존재 양상 -“무-" 접두어를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 19, 한국어의미학회 
손범규, “남북한 월드컵 중계방송 언어 비교 연구 -2002년과 2006년 월드컵 중계방송을 중심으로-”, 화법연구 9, 한국화법학회 
손은남·강수균, “청년기와 노년기의 이야기 담화 능력 특성 연구”, 언어치료연구 15-1, 한국언어치료학회 
손현정, ““동안" 부사어의 의미 기능 연구”, 언어학 14-3, 대한언어학회 
송도규, “한국어 부정표현의 형식화와 온톨로지 변환”, 한국어의미학 19, 한국어의미학회 
송도규, “한국어 양화표현의 형식화와 온톨로지 변환”, 언어과학 13-1, 언어과학회 
송민, “2005-1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정례학술대회: 우리말의 발자취: 단어의 의미와 어원”, 어문학논총 25, 국민대 어문학연구소 
송부선, “은유 연구의 회고와 전망: 영어와 한국어에서의 ‘화’와 ‘행복’ 은유”, 한국어의미학 20, 한국어의미학회 
송지혜, “‘덥-’의 의미 변화 연구”, 어문학 94, 한국어문학회 
시정곤, “사이버 언어의 조어법 연구”, 한국어학 31, 한국어학회 
신명선, “국어 학술텍스트에 드러난 헤지(Hedge) 표현에 대한 연구”, 배달말 38, 배달말학회 
신명선,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의 내용 연구”, 한국어교육 17-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신선경, “은유 연구의 회고와 전망: 설득의 수단으로서의 은유”, 한국어의미학 20, 한국어의미학회 
신선경, “자연과학적 글쓰기의 수사적 전통과 방향(Ⅰ) -1900년대 학회지에 실린 과학 텍스트를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21,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신언호, “한국어 현재 시제의 다의적 현상에 대한 고찰”, 한국어의미학 21, 한국어의미학회 
신중진, ““고드름"의 방언(方言) 분화(分化)와 어원(語源)”, 국어학 48, 국어학회 
신중진, “국어국문학과 지역의 문제: 한국 근대 초기의 ‘洋’ 관련 서구 문명 어휘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144, 국어국문학회 
신지연, ““우리에게 담화(discourse)란 무엇인가": 국어 텍스트의 거시구조 접속”, 시학과 언어학 11, 시학과 언어학회 
申智姸, “論證텍스트의 段落間 의미구조”, 텍스트언어학 21,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신희삼, “한용운 시의 언어적 분석 연구”, 한국어의미학 20, 한국어의미학회 
심재기, “2005-1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정례학술대회: 우리말의 발자취: 국어어휘의 출생과 성장”, 어문학논총 25, 국민대 어문학연구소 
심혜령, “한자어 명사의 공기 관계와 중국어와의 비교 -1등급 기초어휘 중 일부 한자어 명사를 중심으로-”, 한말연구 19, 한말연구학회 
안경화, “신문 수업용 어휘 목록의 작성 방향”, 한국어교육 17-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안인숙, “象徵語의 通時的 硏究”, 어문논집 34, 중앙어문학회 
안주호, “인용동사의 문법적 고찰”, 우리말글 37, 우리말글학회 
안주호, “현대국어 ‘싶다’ 구문의 문법적 특징과 형성과정”, 한국어의미학 20, 한국어의미학회 
안희돈·조성은, “On Form-function Mismatch Puzzles in Frag- ments: An Ellipsis Approach”, 담화와 인지 13-1, 담화인지언어학회 
안희돈·조성은, “Wh-Topics and Unpronounced Cases on Wh- phrases”, 생성문법연구 16-1, 한국생성문법학회 
양명희, “비지시 대용어의 대용성”, 한국어의미학 19, 한국어의미학회 
양명희, “텔레비전 뉴스 기사의 특징과 텍스트성 -메인 뉴스를 대상으로-”, 텍스트언어학 20,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양영희, “15세기 호칭어 체계 구축을 위한 시론”, 한국언어문학 57, 한국언어문학회 
양태영, “[젊음]에 대한 개념적 은유”, 담화와 인지 13-1, 담화인지언어학회 
양태영·이정화, “시사만화의 개념적 환유, 은유 분석”, 언어과학연구 38, 언어과학회 
양태종, “기호통사론 기반의 무늬모형 -플렛의 무늬모형이 나오기까지-”, 텍스트언어학 20,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엄용남, “음성상징어의 어휘적 구조와 특징”, 인문과학연구 11, 가톨릭대 인문과학연구소 
오명기,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Compliment Behavior between Koreans and Americans”, 현대문법연구 43, 현대문법학회 
오문경, “한·일 指示詞의 대조 분석 연구”, 한국어문학연구 23, 한국외대 한국어문학연구회 
오장근, “문화콘텐츠 분석을 위한 인문학적 분석 도구 -텍스트-기호학에 기반한 문화연구를 위하여-”, 언어과학연구 38, 언어과학회 
오장근, “여가문화 분석을 위한 텍스트-기호학 기반의 비교 문화론적 연구 -여가콘텐츠를 이용한 국내 3개 카드사 광고의 문화브랜딩 전략 분석-”, 텍스트언어학 20,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오창명, “추자면(楸子面)과 지명”, 영주어문 12, 영주어문학회 
위혜경, “Definiteness of Wh-Phrases Extractable from Weak Islands”, 언어 31-3, 한국언어학회 
유동엽, “판별함수를 활용한 화법능력의 평가에 관한 연구 -자기소개대화를 매개로-”, 국어교육학연구 25, 국어교육학회 
유동엽, “화법교육 연구방법의 내용분석”, 국어교육 119, 한국어교육학회 
유혜원·남경완·홍종선, “한국어의 형태론적 중의 어절 사전 구축과 표제어 선정”, 한국어학 31, 한국어학회 
윤석민, “2006년 봄 중점학술발표 대회: 문학과 방언; 소설과 방언 그리고 텍스트언어학”, 국어국문학 142, 국어국문학회 
윤은경, “한국어 양태 표현 연구 -종결어미 ‘­(으)ㄹ래, ­(으)ㄹ게’를 대상으로”, 언어와 문화 2-2,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윤은경, “한국어 종결어미 양태 표현 연구”, 한국어문학연구 24, 한국외대 한국어문학연구회 
이경자, “우리말 연구 -『돌출(突出)』 개념 낱말 중심-”, 인문학연구 33-1, 충남대 인문과학연구소 
이광호, “‘낯’과 ‘얼굴’의 의미 고찰”, 어문학 93, 한국어문학회 
이금희, ““-느라고, -느라면, -느라니까"의 통사, 의미적 특징”, 반교어문연구 21, 반교어문학회 
이기갑, “국어 담화의 연결 표지 - 완형 표현의 반복”, 담화와 인지 13-2, 담화인지언어학회 
이다미, “유표성과 L2 수량 분류사 습득”, 이중언어학 31, 이중언어학회 
이덕희, “물명어휘집의 의미적 체계”, 우리말연구 19, 우리말학회 
이덕희, “물보와 청관물명고의 사전적 특성 -사전의 체제와 정의항의 유형”, 새국어교육 73, 한국국어교육학회 
이동석, “우리말 관련 신문 연재 기사의 오류에 대하여”, 우리어문연구 26, 우리어문학회 
이동석, “중세국어 “짛다"의 의미 및 변화 연구”, 한국어학 32, 한국어학회 
이동혁, “‘셀프+N’의 의미 합성”, 한국어의미학 20, 한국어의미학회 
이동혁, “한영 기계번역 시스템의 다의 정보 처리에 대하여”, 한글 274, 한글학회 
이동혁·오장근, “다국어 어휘의미망에 한국어 관용표현을 연결하는 방법”, 언어과학연구 36, 언어과학회 
이병기, ““-겟-"의 문법화와 확정성”, 진단학보 102, 진단학회 
이상혁, “재일교포 이중언어 사용자 및 일본인들의 우리말 명칭 인식 태도에 대한 고찰 -한국어와 조선어 명칭의 인식 태도를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27, 우리어문학회 
이상희, “청각장애아동의 어휘발달에 관한 연구의 동향”,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17, 순천향대 인문과학연구소 
이선영, “후기 중세국어 색채어의 어휘적 특징과 의미”, 국어학 47, 국어학회 
이성만, “「날씨예보」의 텍스트유형학적 연구”, 텍스트언어학 20,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이성만, “미디어 텍스트의 상호텍스트적 특성 연구”, 언어과학연구 37, 언어과학회 
이성범, “대격 조사 생략의 화용적 분석”, 담화와 인지 13-3, 담화인지언어학회 
이성연·정옥란, “북한 고등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의 어휘 연구”, 새국어교육 74, 한국국어교육학회 
이성하, “A Cognitive Comparative Analysis of Spatial Concepts in English and Korean”, 담화와 인지 13-1, 담화인지언어학회 
이성하, “Body, Cognition and Language”, 언어과학연구 36, 언어과학회 
이성하, “Formal Variation and Colloquiality in Korean: Implications on the Grammaticalization Theory”, 현대문법연구 45, 현대문법학회 
이성하, “Stratified Complex Postpositional System in Korean: A Contact Linguistics Perspective”, 담화와 인지 13-2, 담화인지언어학회 
이수련, “은유와 환유의 상호 작용성 연구”, 한글 271, 한글학회 
이수련, “은유와 환유의 인지언어학적 관련성 연구”, 새얼어문논집 18, 새얼어문학회 
이숙, ““다가"의 용법에 대하여”, 한국어학 32, 한국어학회 
이영옥, “한국어와 영어간 발화행위 표현방식의 차이”, 담화와 인지 13-3, 담화인지언어학회 
이영이, “초등학생 말하기의 대화 분석론적 연구”, 어문학교육 32, 한국어문교육학회 
이영헌, “부사어와 기능적 핵어”, 언어학 14-3, 대한언어학회 
이원경, “감정동사의 분류와 특성분석”, 담화와 인지 13-1, 담화인지언어학회 
이원표, “북한 신문 사설의 비평적 담화분석: ‘주체사상’ 이념의 표현방법을 중심으로”, 담화와 인지 13-3, 담화인지언어학회 
이원표, “청문회 신문 상황에서의 행위성 표현: 동사 선택, 의미적 역할, 타동성의 담화, 화용적 측면”, 담화와 인지 13-1, 담화인지언어학회 
이유미, “은유 연구의 회고와 전망: 한국어 은유의 근원영역 특징”, 한국어의미학 20, 한국어의미학회 
이윤진, “한국어 호칭어 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 17-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윤하, “부사형(副詞形) 어미(語尾) “-게" 구성(構成)의 통사(統辭), 의미(意味) 기능(機能)에 대하여”, 국어교육 121, 한국어교육학회 
이은섭, “KS규격으로 완성된 ‘우리말 표준 색이름 체계’에 대한 일고찰”, 정신문화연구 29-1,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재원, “한국상업광고사 -언어기능을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20,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이정복, ““힘"과 “거리" 요인에 따른 탈춤 대사의 경어법 연구”, 우리말연구 18, 우리말학회 
이정애, “한국어의 메타언어적 의미분석을 위한 소론 -동사 "깨다, 부수다, 쪼개다, 나누다"를 중심으로-”, 담화와 인지 13-1, 담화인지언어학회 
이정찬, “신문 기사문 형식의 발전과정 연구”, 선청어문 34, 서울대 국어교육과 
이정택, “필수성과 수의성의 본질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한국어학 30, 한국어학회 
이정화·Kaori Kabata, “A Comparative Cognitive-Semantic Analysis of Spatial Postpositions in Korean and Japanese”, 담화와 인지 13-2, 담화인지언어학회 
이정훈,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리고’에 대한 고찰”, 우리말글 36, 우리말글학회 
이종열, “유아용 동화책에 나타난 은유표현의 특성 연구”, 문학과 언어 28, 문학과언어학회 
이종열, “유아의 은유 이해도 측정을 위한 은유 목록화 연구 -동화책에 나타난 은유표현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어문론총 44, 한국문학언어학회 
이종열, “은유 연구의 회고와 전망: 신체적 경험에 의한 ‘마음’의 개념화 양상”, 한국어의미학 20, 한국어의미학회 
이종열·배기조, “은유 이해 능력의 습득과 발달 양상”, 담화와 인지 13-3, 담화인지언어학회 
이준희, “영아의 어휘 사용에 나타난 몇 가지 특징”, 겨레어문학 37, 겨레어문학회 
李知英, “中世國語 ‘아직, 안, 안즉, 안직’의 意味와 통사적 특징”, 어문연구 13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이지영,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담화 능력 배양을 위한 담화 정보 활용”, 한국어교육 17-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찬규·조재형, “‘-겠-’의 原形 意味 考察”, 어문논집 35, 중앙어문학회 
이창덕, “한국 가족의 의사소통 문제와 개선 방안”, 화법연구 9, 한국화법학회 
이한정, “Effects of Focus and Markedness Hierarchies on Object Case Ellipsis in Korean”, 담화와 인지 13-2, 담화인지언어학회 
이해영, “현지에서의 한국어 교육이 화행 실현에 미치는 영향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중언어학 32, 이중언어학회 
이혜란, “A Study on Scrambling in Korean”, 생성문법연구 16-3, 한국생성문법학회 
이호승, “국어주제어와 담화 주제”, 개신어문연구 24, 개신어문학회 
이홍식, “교착소의 의미 분석에 대하여”, 언어과학연구 39, 언어과학회 
이희두, “움라우트 불투명성의 통시적 고찰”, 언어학 14-3, 대한언어학회 
임규홍, “한국어 첫소리 [ㅁ]과 [ㅂ] 낱말의 의미특성”, 우리말글 37, 우리말글학회 
임은하, “‘-므로’의 의미”, 태릉어문연구 14, 서울여대 국어국문학과 
임지룡, “감정의 인지작용 양상”, 국어교육연구 39, 국어교육학회 
임지룡, “은유 연구의 회고와 전망: 개념적 은유에 대하여”, 한국어의미학 20, 한국어의미학회 
임지룡, “의미교육의 학습 내용에 대하여 -제7차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어학 33, 한국어학회 
임지룡,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본 의미의 본질”, 한국어의미학 21, 한국어의미학회 
임지룡, “환유 표현의 의미특성”, 인문논총 55,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임지원, “광고어에 나타난 환유의 유형과 작용 원리”, 인문학연구 33-1, 충남대 인문과학연구소 
임채훈, “문장 의미와 사건”, 한국어의미학 21, 한국어의미학회 
임혜원, “국어 사물 개념의 은유적 확장 연구 -대화 말뭉치를 바탕으로-”, 한국어의미학 19, 한국어의미학회 
장경현, “인터넷 블로그에 나타나는 종결 어미 "-지(요)의 용법과 의미”, 한국어의미학 19, 한국어의미학회 
장미라, “한국어 보조 용언의 상적, 양태적 의미 기능과 통사적 특징 -“놓다, 두다, 버리다, 내다, 말다, 치우다"를 중심으로-”, 배달말 38, 배달말학회 
장영길, “『언해랍약증치방(諺解臘藥症治方)』의 희귀어휘 연구”, 반교어문연구 21, 반교어문학회 
장영희, “비언어적 행위 표현에 대한 연구”, 국어문학 41, 국어문학회 
장영희, “화법 교육의 문제: 침묵의 유형과 교육적 의의”, 화법연구 9, 한국화법학회 
장지은, “신문광고에 사용된 외래어 -어휘와 표기를 중심으로-”, 강남어문 16, 강남대 국어국문학과 
전성용, “한국어와 일본어의 可能表現의 比較硏究”, 인문과학논집 34, 청주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전영옥, “구어의 단위 연구”, 한말연구 19, 한말연구학회 
전은진, “이동 전화를 통한 대화와 메시지 연구”, 우리말글 38, 우리말글학회 
전정례, “20세기 언어 연구에서의 주요 쟁점에 대하여”, 국어교육 121, 한국어교육학회 
전정미, “거절 화행의 실현 양상”, 한말연구 19, 한말연구학회 
전정미, “사과행위의 표현 양상”, 담화와 인지 13-3, 담화인지언어학회 
전혜영, “언어 사용자의 성별과 발화 특성”, 한국어학 31, 한국어학회 
정민영, “仁谷里의 지명”, 언어학 10, 중원언어학회 
정병철, “지각동사 ‘보다’의 의미망”, 문학과 언어 28, 문학과언어학회 
정상섭, “공감적 의사소통의 본질 고찰”, 새국어교육 72, 한국국어교육학회 
정상섭, “초등학생 일상대화의 문제점 고찰”, 청람어문교육 33, 청람어문교육학회 
정선주, “한국어 감탄 표현의 유형 연구”, 한국어문학연구 23, 한국외대 한국어문학연구회 
정성미, “‘實體性 名詞+하-’의 構成에 관한 硏究”, 강원인문논총 15,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 
정여훈, “신문 제목의 유형 및 그 실현 양상”, 사회언어학 14-1, 한국사회언어학회 
정윤희, “TV 공익광고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새얼어문논집 18, 새얼어문학회 
정종수, “이름의 유사성으로 생성된 별명에 관한 연구”, 언어연구 21-2, 한국현대언어학회 
정주리, ““-음", “-기"의 의미와 제약”, 한국어학 30, 한국어학회 
정주리, ““-주다" 형식의 구문과 의미”, 한국어의미학 19, 한국어의미학회 
정진원, “춘원 이광수의 소설 <사랑>의 불교적 상호텍스트성 -불교 시 <인과>, <애인>, <법화경>을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20,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정현선, “한국어교육학회 제260회 학술대회 특집: 국어 생활과 국어 문화; 미디어 소통의 관점에서 본 인터넷 공론장의 언어문화”, 국어교육 119, 한국어교육학회 
정혜승, “화법 교육의 문제: 교실 소통의 양상과 문제”, 화법연구 9, 한국화법학회 
정호완, “지명소 ‘고마’의 의미와 분포”, 우리말글 36, 우리말글학회 
정희창, “준말의 단어 형성 문제”, 반교어문연구 21, 반교어문학회 
조경순, “현대 국어 상호동사 구문 연구”, 한국언어문학 57, 한국언어문학회 
조규태, “용비어천가 주해 속의 우리말 어휘에 대하여”, 어문학 92, 한국어문학회 
조규태, “중세 국어의 선어말 어미 “-으니-"에 대하여”, 배달말 39, 배달말학회 
조규태, “한국어 수사의 어원과 어형 변화에 대하여”, 어문학 94, 한국어문학회 
조남호, “국어 대우법의 종합적 검토: 국어 대우법의 어휘론적 이해”, 국어학 47, 국어학회 
조원형, “신문 기사 중간제목의 유형과 기능에 관한 연구 -<한겨레> 2006년 2월 치 기사를 대상으로-”, 텍스트언어학 20,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조은경·서상규·서정연, “지시 해석을 위한 “그것"의 쓰임에 관한 연구”, 언어 31-1, 한국언어학회 
조은경·이민행, “지시 해석을 위한 “것"의 식별과 쓰임에 관한 연구”, 한국어학 31, 한국어학회 
조재윤, “화법 교육의 문제: 국어과 말하기, 듣기 평가 실태 조사 연구”, 화법연구 9, 한국화법학회 
조창규, “국어교과서의 관용표현에 대한 연구 -7차 국어교과서 관용표현의 빈도와 교과 내용 분석을 주로 하여-”, 배달말 38, 배달말학회 
조태린, ““국어"라는 용어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학 48, 국어학회 
조항범, ““밤고개" 관련 지명의 형성과 변형”, 한국언어문학 59, 한국언어문학회 
조항범, ““앚" 계열 어휘의 형성(形成)과 의미(意味)”, 한국어의미학 19, 한국어의미학회 
조항범, ““앛-[小]" 계열 어휘의 어원(語源)과 의미”, 국어학 47, 국어학회 
조항범, “開化期를 前後한 시기에 생성된 관용 표현”, 한국어학 33, 한국어학회 
조항범, “地名의 同義 重複 현상에 대하여”, 한국어의미학 21, 한국어의미학회 
조형일, “한국어 어휘의 교육용 시소러스 개발 방안 연구”, 선청어문 34, 서울대 국어교육과 
주경미, “신소설에 나타난 신체어 관련 관용 표현 연구 -“손, 눈, 입, 코, 귀"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58, 한국언어문학회 
주경희, “속담 비유성의 의미, 화용론적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25, 국어교육학회 
진대연, “한국어 쓰기능력 구성요소로서의 어휘에 대한 연구”, 이중언어학 30, 이중언어학회 
진정근, “대화관련 실용서에 대한 기초 연구 -언어학적 시각에서-”, 텍스트언어학 20,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진정란, “‘때문’ 구성 이유 표현의 담화 문법”, 언어와 문화 2-2,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채완, “은유 연구의 회고와 전망: 바둑 용어의 은유”, 한국어의미학 20, 한국어의미학회 
채현식, “은유표현의 해석과 유추 -심리과정을 중심으로-”, 한말연구 19, 한말연구학회 
채현식, “합성명사에서의 의미 전이와 관습화”, 한국언어문학 58, 한국언어문학회 
최동권, “국어, 몽골어, 만주어 인용문 비교연구”, 알타이학보 16, 한국알타이학회 
최운호·강범모·차재은, “은유 연구의 회고와 전망: 코퍼스를 이용한 은유 표현의 추출과 어휘데이터베이스의 확장 연구”, 한국어의미학 20, 한국어의미학회 
최원평, “한․중 의성어의 형태적 음운적 특징”, 한국언어문화 31, 한국언어문화학회 
최인자, “상생 화용 교육을 위한 소통의 중층적 기제 연구”, 국어국문학 144, 국어국문학회 
최전승, “국어 지역 방언에서 일어난 의미 변화의 일반적 발달 경향과 환유(metonymy)와의 상관성 -전라방언에서 “도르다/두르다"형의 의미 전이 (기>도)의 경우를 중심으로-”, 배달말 39, 배달말학회 
최형강, ““명사+부리다" 연어 구성에서의 의미 전이”, 한국어학 30, 한국어학회 
최호섭·임지희·옥철영·김정우, “대규모 우리말 어휘지능망 구축 방법”, 한글 273, 한글학회 
최호철, “북한의 국어 의미 연구 60년”, 한글 273, 한글학회 
최호철, “전통 및 구조 언어학에서 본 의미의 본질”, 한국어의미학 21, 한국어의미학회 
최홍열, “훈몽자회 「질병」부 자훈의 고찰 -“내과"를 중심으로-”, 한말연구 19, 한말연구학회 
최홍원, “놀이로서의 언어 교육 내용 연구 -상거래 담화를 중심으로-”, 배달말교육 27, 배달말교육학회 
타이라카오리, “구어체 “-거든"에 관한 일고찰 -시나리오 데이터를 통해서-”, 한국어학 31, 한국어학회 
탐바라 쿠니히로, “한국어 ‘먹다’와 일본어 ‘食べる’의 意味 比較에 관한 小考”, 한국어문학연구 24, 한국외대 한국어문학연구회 
하길종, “중, 근세 국어의 첩어 연구”, 우리어문연구 26, 우리어문학회 
學術調査報告, “南濟州郡 南元邑 新興里 現地學術調査報告 -조사경위·마을개황·방언·민요·설화·신앙-”, 백록어문 22, 백록어문학회 
한성일, “유머 텍스트의 응결성과 응집성”, 겨레어문학 37, 겨레어문학회 
한스 슈바르츠 저·박성철 역, “낱말밭: 용어, 개념, 비유들 -전망”, 한글 273, 한글학회 
한영균, “한국어 어휘 교육·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 계량적 분석의 한 방향”, 어문학 94, 한국어문학회 
허용, “모음교체 현상의 보편성 연구 -영어, 아랍어, 한국어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30, 이중언어학회 
홍사만, “『倭語類解』의 어휘 분석(2) -치음 아래 /j/ 유지 표기-”, 한일언어문화연구 10, 한·일언어문화연구소 
황병순, “‘-었-’ 삭제와 생략에 대한 연구”, 어문학 94, 한국어문학회 
황용주, “연어 구성 변화에 대한 국어정보학적 연구 -신소설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58, 한국언어문학회 
황화상, “우리말 접사의 의미론적 고찰 -단어 구조와 관련하여-”, 우리말연구 19, 우리말학회 
Choong Yon Park, “Discourse in Ceysa: From a worship to a commemorative ceremony”, 언어 31-2, 한국언어학회 
Chung Hoon Lee, “Syntagmatic Relations in Corpus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Focusing on Korean Particles”, 현대문법연구 44, 현대문법학회 
Ha Kyeon Kim, “EF-feature and Wh-Scrambling”, 현대문법연구 44, 현대문법학회 
Hyunoo Lee, “The Syntax and Semantics of Yekan and Its Cousins”, 언어와 정보 10-2, 한국언어정보학회 
Jeong Me Yoon, “Selective Island Effects in Korean Wh-Constructions: A Diachronic Approach”, 언어 31-2, 한국언어학회 
Jeong Suk Kim, “An Inter-typological and Intra-typological Analysis of Metaphorical Motion”, 현대문법연구 46, 현대문법학회 
Ji Ni Noh, “The emergence of intersubjectivity in Korean conversations -A study on the general noun construction, -n-ke-ya”, 선청어문 34, 서울대 국어교육과 
Jong Bok Kim, “Minimal Recursion Semantics: An Application into Korean”, 언어학 14-2, 대한언어학회 
Jong Bok Kim, “Syntax and Semantics of Numeral Classifier Constructions in Korean”, 현대문법연구 44, 현대문법학회 
Jung Min Jo·Seok Keun Kang·Tae Jin Yoon, “A Rendezvous of Focus and Topic in Korean: Morpho-syntactic, Semantic, and Acoustic Evidence”, 언어학 14-2, 대한언어학회 
Keun Won Sohn, “On Scope Freezing and Counter Scope Freezing Effects”, 언어연구 21-1, 한국현대언어학회 
Kwang Sup Kim, “Focal Ellipsis and Echo Questions”, 현대문법연구 46, 현대문법학회 
Park Yun-joo, “Korean Children's Identity Construction while Living in Two Languages”, 사회언어학 14-2, 한국사회언어학회 
Sei Rang Oh, “Distributivity and Pluractionality”, 언어 31-2, 한국언어학회 
Sei-Rang Oh, “On the Semantics of Distance-Distributivity Markers”, 생성문법연구 16-2, 한국생성문법학회 
Seok Hee Song, “A correspondence of the N-V collocations between German and Korean”, 언어학 44, 한국언어학회 
Seungju Yeo, “On the Causee Argument in Japanese and Korean Analytic Causative Construction”, 생성문법연구 16-2, 한국생성문법학회 
Young Jun Jang, “Secondary Predicates, Complex Predicates, and Serial Verb Constructions in Natural Language”, 현대문법연구 44, 현대문법학회 


<기타>

강영봉, “제주어 이야기”, 새국어생활 16-2, 국립국어원 
강인숙, “옛말의 아름다움과 사투리”, 새국어생활 16-4, 국립국어원 
김문오, “어휘 선택의 적절성”, 쉼표, 마침표. 9, 국립국어원 
김영일, “어형 ‘쇠[金, 鐵]’와 ‘새[鳥]’의 고형(古刑)”, 새국어생활 16-2, 국립국어원 
김정대, “경남 방언의 멋과 맛”, 새국어생활 16-1, 국립국어원 
김진해, “신어: 신어와 언어 ‘밖’”, 새국어생활 16-4, 국립국어원 
김한샘, “10년 전 신어의 현재 모습”, 쉼표, 마침표. 7, 국립국어원 
김한샘, “새로운 말 만들기”, 쉼표, 마침표. 8, 국립국어원 
김한샘, “신어로 엿보는 신세대들의 삶”, 쉼표, 마침표. 6, 국립국어원 
김한샘, “인터넷상의 신어”, 쉼표, 마침표. 9, 국립국어원 
김한샘, “제대로 우는 암탉 ‘줌마렐라’”, 쉼표, 마침표. 5, 국립국어원 
김희진, “고뇌 끝에 빛 본 제목들(2)”, 쉼표, 마침표. 13, 국립국어원 
김희진, “고뇌 끝에 피어난 제목(1) -수상작을 중심으로-”, 쉼표, 마침표. 12, 국립국어원 
김희진, “고뇌 끝에 피어난 제목(3) -수사법에서 본 제목(1)”, 쉼표, 마침표. 14, 국립국어원 
김희진, “고뇌 끝에 피어난 제목(4) - 수사법에서 본 제목(2)”, 쉼표, 마침표. 15, 국립국어원 
김희진, “제목에는 ‘울림’이 있어야”, 쉼표, 마침표. 10, 국립국어원 
김희진, “제목은 고뇌 끝에 피어난다”, 쉼표, 마침표. 11, 국립국어원 
노명희, “신어: 최근 신어의 조어적 특징”, 새국어생활 16-4, 국립국어원 
송민, “신어: 20세기 초기의 신어”, 새국어생활 16-4, 국립국어원 
안상순, “‘얼짱’은 사전에 오를 수 있다”, 쉼표, 마침표. 5, 국립국어원 
우형식, “국어 분류사의 의미와 용법”, 새국어생활 16-3, 국립국어원 
이기문, “‘불고기’ 이야기”, 새국어생활 16-4, 국립국어원 
이기황, “신어: 신어의 정착과 낱말 용법의 변화”, 새국어생활 16-4, 국립국어원 
이득춘, “한국어 한자어의 기준에 대한 관견”, 새국어생활 16-1, 국립국어원 
이성근, “‘살사리꽃’ 이름을 찾아”, 한글새소식 412, 한글학회 
이재호, “영한사전과 번역”, 새국어생활 16-1, 국립국어원 
이해영, “구어의 특징과 구조”, 새국어생활 16-2, 국립국어원 
정재도, “‘고집’은 우리말, ‘固執’은 안 쓰여”, 한글새소식 407, 한글학회 
정재도, “‘便紙·片紙’는 ‘편지’가 아니다”, 한글새소식 411, 한글학회 
정재도, “고정하십시오”, 한글새소식 412, 한글학회 
조남호, “‘얼짱’은 사전에 오를 수 없다”, 쉼표, 마침표. 5, 국립국어원 
조재수, “문학과 사전”, 한글새소식 408, 한글학회 
조항범, “잘못 알고 있는 어원 몇 가지(5)”, 새국어생활 16-1, 국립국어원 
조항범, “잘못 알고 있는 어원 몇 가지(6)”, 새국어생활 16-2, 국립국어원 
조항범, “잘못 알고 있는 어원 몇 가지(7)”, 새국어생활 16-3, 국립국어원 
지춘수, “『우리말 큰사전』을 뒤적이면서”, 한글새소식 406, 한글학회 
채완, “의성어와 의태어의 차이”, 새국어생활 16-4, 국립국어원 
한영목, “충남의 언어 이야기”, 새국어생활 16-3, 국립국어원 
홍윤표, “‘가물치’와 ‘붕어’의 어원”, 쉼표, 마침표. 12, 국립국어원 
홍윤표, “‘가이없다’와 ‘가없다’와 ‘가엾다’의 어원”, 쉼표, 마침표. 11, 국립국어원 
홍윤표, “‘곤두박질’의 어원”, 쉼표, 마침표. 10, 국립국어원 
홍윤표, “‘귀이개’의 어원”, 쉼표, 마침표. 5, 국립국어원 
홍윤표, “‘만나다’의 어원”, 쉼표, 마침표. 15, 국립국어원 
홍윤표, “‘부지깽이’의 어원”, 쉼표, 마침표. 13, 국립국어원 
홍윤표, “‘사나이’의 어원”, 쉼표, 마침표. 8, 국립국어원 
홍윤표, “‘숫되다’의 어원”, 쉼표, 마침표. 6, 국립국어원 
홍윤표, “‘지아비’와 ‘지어미’의 어원”, 쉼표, 마침표. 9, 국립국어원 
홍윤표, “‘진달래’의 어원”, 쉼표, 마침표. 7, 국립국어원 
홍윤표, “‘함께’의 어원”, 쉼표, 마침표. 14, 국립국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