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도 국어학의 주요 일지
음성학·음운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형태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통사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어휘론·의미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정보학·사전학

연구 동향

국어(학)사·계통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 정책 논저 목록
국어 교육  논저 목록
한국어 교육 논저 목록
문자·표기 논저 목록
사회언어학 논저 목록
방언 논저 목록
사전학 논저 목록
국어정보학 논저 목록
정기 간행물 목록 논저 목록
국어정책·사회언어학
국어 교육
한국어 교육
여론과 쟁점
남북의 규범어와
≪겨레말큰사전≫
국립국어원 동향
  Ⅲ. 국어학 관계 문헌

1. 분야별 논저 목록                         

 통사론
<단행본>

고창운, 『국어통사론 입문』, 경진문화사 
국립국어원 지역어조사추진위원회, 『지역어 조사 질문지, 5』, 태학사 
권재일, 『남북 언어의 문법 표준화』, 서울대학교출판부 
김규철 외, 『어문학 연구의 넓이와 깊이』, 역락 
김기종·리영순, 『조선어문법론』, 한국문화사 
김성란, 『근대국어의 종결어미 연구: 노걸대류 언해본을 중심으로』, 역락 
김영희, 『한국어 셈숱화 구문의 통사론』, 한국학술정보 
김의수, 『한국어의 격과 의미역: 명사구의 문법기능 획득론』, 태학사 
김진호, 『재미있는 한국어 이야기』, 박이정 
김충실, 『중한문법대조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김태엽, 『국어학개요』, 대구대학교 출판부 
柳時郁, 『朝鮮文典』, 역락 
박덕유, 『한국어와 몽골어의 동사상에 대한 비교 연구: 相 대립의 통사론적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박철주, 『「대명률직해」의 국어학적 연구』, 일지사 
서정수, 『국어문법』, 한세본 
시정곤, 『현대국어 통사론의 탐구』, 月印 
양정석, 『한국어 통사구조론』, 한국문화사 
오충연, 『상과 통사구조』, 태학사 
정언학, 『상 이론과 보조 용언의 역사적 연구』, 태학사 
최남희·최중호·이근영·송창선·박동근·허원욱·허재영·권재일·윤혜영·이석규·이수련·정동환·방운규·김준희·김용경·이만식·최용기·서은아, 『우리말 연구의 이론과 실제』, 경진문화사 
최재희, 『한국어 교육 문법론』, 태학사 
태학사 편집위원회, 『國語學論叢: 李秉根先生退任紀念』, 태학사 
허동진 저·연변노교수협회 편찬, 『한국어 어미의 뜻과 쓰임』, 한국학술정보 
허동진 저·연변노교수협회 편찬, 『한국어 조사의 뜻과 쓰임』, 한국학술정보 
홍병호, 『상황과 표현: ‘Style’과 ‘Politeness’상의 영어와 한국어 비교』, 강남대학교출판부 
홍종선 외, 『후기 근대국어 통사의 연구』, 역락 

<학위 논문>

고대영, <현대국어의 후치사에 대한 연구: ‘없이, 밖에, 말고'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대학원(석사) 
고정현, <한일 웹 게시판언어 비교연구>, 동국대 교육대학원(석사) 
김나영, <국어 의존명사의 통합 양상 분석>, 부산외국어대 교육대학원(석사) 
김남정, <호칭어와 청자 대우 등급의 사용양상에 대한 연구: 충북 제천 명도리를 대상으로>, 세명대 대학원(석사) 
김미령, <국어의 격표지 교체와 의미역 연구: {처격/대격 표지} 교체 동사를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박사) 
김선영, <특수조사 ‘-은/-는' 연구>, 인천대 교육대학원(석사) 
끄라포바 마리아, <한국어 부사의 수식 위치에 관한 연구: 통사․의미를 중심으로>, 우석대 대학원(석사) 
도브라노바 밀레나, <한국어와 불가리아어 격 체계 비교 연구>, 경희대 대학원(석사) 
목지선, <서부경남 방언의 의문문에 대한 연구: 소설 《백정》을 중심으로>, 경상대 대학원(석사) 
미에미에머, <한국어 보조용언 ‘보다'와 미얀마어 보조용언 ‘kkyi'의 대조 연구>, 서울대 대학원(석사) 
박근배, <창원지역어와 고성지역어의 대비 연구>, 경남대 대학원(석사) 
박미연, <한․일 양언어의 수동 표현 대조 연구>, 경상대 교육대학원(석사) 
박부자, <한국어 선어말어미 통합순서의 역사적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박사) 
박선영, <현대 국어의 시제형태소 ‘-었-, -는-, -겠-, -더-'에 관한 연구>, 원광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용찬, <15세기 국어 연결어미와 보조사의 통합형 연구>, 서울대 대학원(박사) 
박현아, <한국어 서술성 명사의 실현 양상 연구>, 고려대 대학원(석사) 
배선미, <Grammaire coreenne에 대한 연구>, 순천대 교육대학원(석사) 
서광진, <한국어 의존용언 연구: 분류 기준을 중심으로>, 전북대 대학원(석사) 
신서인, <구문 분석 말뭉치를 이용한 한국어 문형 연구>, 서울대 대학원(박사) 
안수정, <수 분류사의 유형적 특성 연구: 한국어와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의 비교를 중심으로>, 경희대 대학원(석사) 
안예리, <최근세국어 타동구문 연구: 신소설 자료를 중심으로>, 연세대 대학원(석사) 
엄춘영, <연변지역어 연구>, 충남대 대학원(석사) 
엄홍준, <목적어에 관한 연구: 최소주의 이론에 바탕하여>, 중앙대 대학원(박사) 
오민석, <한국어 보조동사 ‘지다'의 연구>, 서울대 대학원(석사) 
오자키 다쓰지, <접속조사 て와 한국어 연결어미 대조 연구>, 연세대 대학원(석사) 
오정은, <명사의 문장 연결 기능 연구>, 성균관대 대학원(석사) 
왕유, <한국어 보유 보조동사 연구>, 인제대 대학원(석사) 
유하라, <현대국어 조사의 배열 양상>, 성균관대 대학원(박사) 
은상현, <강원 지역어의 사동․피동 연구>, 상지대 교육대학원(석사) 
이경희, <<부모은중경언해> 이본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영남대 교육대학원(석사) 
이금희, <인용문 형식에서 문법화된 어미․조사 연구>, 성균관대 대학원(박사) 
이병기, <한국어 미래성 표현의 역사적 연구>, 서울대 대학원(박사) 
이상금, <중세국어의 다소 표현 형용사에 대한 문법적 연구>, 서울대 대학원(석사) 
이설, <한국어와 중국어 접속문의 표현 방식에 대한 대조 연구>, 연세대 대학원(석사) 
이지연, <한국어 보조사에 대한 연구>, 홍익대 대학원(석사) 
이해진, <학교문법에서의 보어의 범위 연구>, 서남대 교육대학원(석사) 
이현희, <국어 접사 범주에 관한 연구: 접사와 인접 범주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박사) 
이회환, <국어 추측법 연구>, 경상대 대학원(석사) 
임근석, <한국어 연어 연구>, 서울대 대학원(박사) 
장경현, <국어 문장 종결부의 문체 특성 연구>, 서울대 대학원(박사) 
장인옥, <의존명사의 형태 의미론적 연구>, 원광대 교육대학원(석사) 
전세영, <국어 대우법 체계의 연구>, 원광대 교육대학원(석사) 
정성미, <‘-하다' 형용사의 형태 구조와 논항 구조 연구>, 강원대 대학원(박사) 
정수현, <『노걸대』에 나타난 명사구 내포문의 변화>, 건국대 대학원(석사) 
정용구, <현대 국어 상 해석 연구: 상황상과 관점상을 중심으로>, 서강대 대학원(박사) 
정유남, <현대 국어 추측의 양태 의미 연구>, 고려대 대학원(석사) 
정혜선, <19세기 국어의 ‘원인' 통합형 접속어미 연구>, 서강대 대학원(석사) 
정희영,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난 근대국어 시제 연구: 춘향전을 중심으로>, 영남대 교육대학원(석사) 
조민진, <‘-겟-' 의 문법화 과정 연구>, 서강대 대학원(석사) 
조위영, <한국어의 능격성 제약 연구>,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석사) 
조현아, <광고언어의 국어 교육적 활용 방안>, 연세대 교육대학원(석사) 
주빈, <한국어와 중국어의 수량사 구성 비교 연구>, 광운대 대학원(석사) 
지현숙, <한국어 구어 문법 능력의 과제 기반 평가 연구>, 서울대 대학원(박사) 
진정은, <한국어의 대립 접속부사 문법 기술 연구: ‘그러나, 그렇지만, 하지만, 그래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데'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석사) 
최성규, <구역 ≪신약젼셔≫의 국어학적 연구>, 서울대 대학원(석사) 
최은숙, <4-6세 아동의 용언 활용 발달>, 단국대 대학원(석사) 
최은진,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높임법 연구: 제7차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인천대 교육대학원(석사) 
최정혜, <국어 명사구 구성 요소의 의미 관계 연구: ‘N의 N' 구조를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박사) 
한명주, <현대국어 형식명사 구성의 양태성 연구>, 서강대 대학원(석사) 
할리오나, <한국어 구어체의 여격조사 “한테, 더러, 보고"의 통사적 특성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석사) 
황은혜, <국어의 통사적 중의성 연구>, 충북대 교육대학원(석사) 
후지카와 나오유끼, <일본어 「한자어+する」에 대응하는 한국어 표현의 연구와 지도법>,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석사) 

<일반 논문>

강소영, “우측 어순 변동 구문의 실현양상과 의미기능 연구”, 한국어의미학 20, 한국어의미학회 
강정희, “제주방언의 인식양태 표현 -형용사 구문의 부사어 “잘도"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59, 한국언어문학회 
강창석, “대호 이융조 교수 정년 기념호: 국어 문법의 특징과 연구방법론 1 -조사 “이"의 기능을 중심으로-”, 인문학지 33, 충북대 인문학연구소 
고광모, ““-게-"로부터 발달한 종결어미들”, 언어학 46, 한국언어학회 
고영근, “동작상에 대한 이해”, 한국어학 30, 한국어학회 
고영근, “절대문은 세울 수 있는가”, 형태론 8-1, 박이정 
고은숙, “2006년 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 근대국어 연결어미의 기능 연구 -역학서 자료를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27, 우리어문학회 
고창수, ““이다" 구문의 자질 연산”, 한성어문학 25, 한성대 한성어문학회 
권순구, “보조용언 ‘버리다’의 양태 의미”, 어문연구 51, 어문연구학회 
김건희, “형용사문의 주어와 의미역 설정에 관하여”, 언어학 44, 한국언어학회 
김경령, “A Study of Syntactic Processing in Korean Language Learners”, 이중언어학 30, 이중언어학회 
김경열, “비교구문의 범위와 특성에 대하여”, 개신어문연구 24, 개신어문학회 
김기선, “현대 몽골어와 한국어의 사동과 피동구문 대조 연구”, 몽골학 20, 한국몽골학회 
김기성, “현대 몽골어와 한국어의 연결어미 대조 연구 -현대 몽골어의 접속연결어미를 중심으로-”, 몽골학 20, 한국몽골학회 
김기혁, “국어 지정문과 존재문의 상관성”, 한글 271, 한글학회 
김동석·김용하·이재철, “자연 언어의 비정규적 주어에 대한 통합적 연구 (1) -한국어와 일본어의 비정규적 주어를 중심으로-”, 현대문법연구 45, 현대문법학회 
김미자, “한국어 “것"에 대한 검토”, 언어연구 23-1, 경희대 언어연구소 
김서형, “중세 국어 “으란" 연구”, 한국어학 33, 한국어학회 
김선웅, “A C-stranding Analysis of Null Complementizers”, 현대문법연구 45, 현대문법학회 
김성주, “석독구결(釋讀口訣)의 피동 표현”, 구결연구 16, 구결학회 
김수태, “물음법 씨끝의 체계”, 한글 274, 한글학회 
김영화, “Q-particles vs. Ⅰ-particles”, 생성문법연구 16-3, 한국생성문법학회 
김용범, “On Saliency in Multiple Nominative Constructions”, 언어연구 21-3, 한국현대언어학회 
김윤신, “사동·피동 동형동사의 논항교체 양상과 의미해석”, 한국어의미학 21, 한국어의미학회 
김은경, “시간의 연결어미 “-아/어서"의 통사론적 특성을 이용한 지도 방안”, 한국어교육 17-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은일·정연창, “주어 생략과 모호성 조건”, 언어과학연구 37, 언어과학회 
김일곤, “Agentivity and Case Markings on the Causative Pivot in Korean Analytic Causative Constructions”, 담화와 인지 13-1, 담화인지언어학회 
김정남,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유형에 대한 연구 -시제 및 연결어미 표현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32, 이중언어학회 
김정대, “어미의 지배 범위에 대한 주시경(1910)의 인식”, 우리말글 37, 우리말글학회 
김정석, “On the Size of Ellipsis in Korean Focus Constructions”, 인문연구 50, 영남대 인문과학연구소 
김종복·양재형, “Developing a Korean Resource Grammar and Implementing It into the Linguistic Knowledge Building System”, 언어과학연구 37, 언어과학회 
김지홍, “국어 통사, 의미론에서의 “방법론" 검토”, 배달말 39, 배달말학회 
김진해, “사건의미론 관점에서 본 상징부사의 서술성 해석”, 담화와 인지 13-3, 담화인지언어학회 
김천학, “국어의 동작상과 동작류”, 국어교육 120, 한국어교육학회 
김태엽, “국어 대우법 체계에 낮춤 등급을 설정할 수 없는 이유”, 한국언어문학 59, 한국언어문학회 
김학선,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명령, 원망법 어미 대조 연구”, 몽골학 20, 한국몽골학회 
김학연, “Scrambling as A′-movement”, 언어과학연구 38, 언어과학회 
김현주, “후기 중세국어 {--}의 기능 -“존대되는 존재"의 파악을 중심으로-”, 한국어학 31, 한국어학회 
김형정, “‘와’ 보충어의 분포 및 특성”, 한글 274, 한글학회 
김호정, “한국어 교사에게 필요한 교육 문법 지식 내용 연구 -관형 표현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32, 이중언어학회 
나은미, “2006년 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 텍스트의 내용과 접속의 표지의 상관관계 연구 -소설 『익명의 섬』을 대상으로-”, 우리어문연구 27, 우리어문학회 
나은미, “접미사 “-음, -기"의 범주와 의미에 대한 연구”, 한성어문학 25, 한성대 한성어문학회 
南京完·劉惠援, “동사-형용사 重義 語節의 重義性 解消 연구”, 어문연구 131,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남경완·최정혜, “중의 어절의 문법 범주별 유형 연구”, 민족문화연구 4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남길임, ““아니다"의 패턴 연구 -말뭉치의 문맥색인(concordance)을 활용하여-”, 어문론총 44, 한국문학언어학회 
류병래, “LKB를 이용한 제약기반 한국어 단편문법의 구축과 전산적 검증 -경동사구문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33-2, 충남대 인문과학연구소 
睦正洙, “韓國語 문법 체계에서의 ‘이다’의 正體性”, 어문연구 13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문순덕, “제주방언 ‘불다’의 문법화 과정”, 영주어문 12, 영주어문학회 
박근영, “{네}의 재고찰”, 한국어문학연구 23, 한국외대 한국어문학연구회 
박덕유, “한국어와 몽골어의 동사상에 대한 비교 연구 -상(相) 대립의 통사론적 표현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32, 이중언어학회 
박덕유, “行爲動詞와 完成動詞 부류에 나타난 相的 특성”, 한국학연구 15, 인하대 한국학연구소 
朴仙玉, “補助動詞 ‘버리다’와 ‘치우다’가 쓰인 구문에 대한 統辭論的·意味論的 연구”, 어문연구 131,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박유현, “현대 국어 조사 “-가"의 구어에서의 비실현 양상 연구”, 어문론총 45, 한국문학언어학회 
박인심, “Case Agreement in Copular Constructions”, 생성문법연구 16-1, 한국생성문법학회 
박정섭, “속격 표지 ‘의’의 수의성에 대하여”, 생성문법연구 16-1, 한국생성문법학회 
박정운, “한국어 조건문의 인식태도”, 담화와 인지 13-2, 담화인지언어학회 
박종덕, “으뜸풀이씨 ‘있다’의 씨갈”, 한글 274, 한글학회 
박진호, “자연언어처리와 국어 연구”, 국어국문학 143, 국어국문학회 
박진호, “중세국어에서 형용사와 결합하는 “-어 잇-"의 상적 의미”, 구결연구 17, 구결학회 
박철우, ““이다" 구문의 통사구조와 {이}의 문법적 지위”, 한국어학 33, 한국어학회 
박철주, “『대명률직해』 구문의 형식에 대한 연구”, 한글 271, 한글학회 
박철주, “『대명률직해』와 현대국어 간의 조사 “과(果)"의 쓰임 차이에 대한 연구”, 반교어문연구 21, 반교어문학회 
박철주, “『대명률직해』의 부정사에 대한 연구 -“부득(不得)"과 “안서(安徐)"를 중심으로-”, 우리말연구 18, 우리말학회 
박철주, “『육조법보단경(六祖法寶壇經) 언해(諺解)(상, 중, 하)』에서의 “을/를" 표지, 무표지 양상에 대한 연구”, 배달말 38, 배달말학회 
박효명, “논항구조의 합과 결속”, 언어학 14-1, 대한언어학회 
박흥길, ““-ㅂ다" 풀이씨 연구”, 새얼어문논집 18, 새얼어문학회 
박희문, “한국어 이중주어구문의 제약기반적 분석”, 언어연구 21-1, 한국현대언어학회 
배소영, “한국어 발달특성과 학령전기 문법형태소”, 한국어학 31, 한국어학회 
백낙천, “국어 조사의 범주와 의미”, 한국언어문화 30, 한국언어문화학회 
서민정, “이름법토 ‘-음’, ‘-기’의 제약에 기초한 자질 분석”, 한글 271, 한글학회 
서정민·조학행, “현재완료와 중의성”, 언어연구 21-2, 한국현대언어학회 
서태용, “국어 조사와 어미의 관련성”, 국어학 47, 국어학회 
서형국, “국어 연결어미의 통합 관계”, 민족문화연구 4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석주연, ““-도록"의 의미와 문법에 대한 통시적 고찰”, 한국어의미학 19, 한국어의미학회 
성환갑·엄홍준, “動詞性 名詞構文에 관한 연구”, 어문연구 129,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손광락, “Eoseo-Construction in Korean”, 언어과학연구 37, 언어과학회 
孫惠波, “韓國語 機能動詞 ‘하다’와 中國語 機能動詞 ‘作’의 比較硏究”, 숭실어문 22, 숭실어문학회 
송창선, “현대국어 선어말어미 “-더-"의 기능 연구 -“-던"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언어과학연구 39, 언어과학회 
송홍규, “연속동사 구문과 단형부정의 구조 분석”, 한국어학 31, 한국어학회 
시정곤, “우리말 접사의 통사론적 고찰”, 우리말연구 19, 우리말학회 
신효필, “유형화된 자질구조(Typed Feature Structure)와 LKB (Linguistic Knowledge Building)를 기초로 한 한국어 단층 분석”, 언어학 44, 한국언어학회 
심창용, “Accusative Case in Passives”, 생성문법연구 16-3, 한국생성문법학회 
안귀남, “국어 대우법의 종합적 검토: 방언에서의 청자존대법 연구”, 국어학 47, 국어학회 
안주호, “인용동사의 문법적 고찰”, 우리말글 37, 우리말글학회 
안주호, “현대국어 ‘싶다’ 구문의 문법적 특징과 형성과정”, 한국어의미학 20, 한국어의미학회 
안주호, “현대국어 연결어미 “-면서"에 관한 고찰”, 현대문법연구 45, 현대문법학회 
안주호, “현대국어 연결어미 {-니까}의 문법적 특성과 형성과정”, 언어과학연구 38, 언어과학회 
안주호, “현대국어의 의존명사 목록에 대하여”, 어문학 93, 한국어문학회 
안희돈·조성은, “On Form-function Mismatch Puzzles in Fragments: An Ellipsis Approach”, 담화와 인지 13-1, 담화인지언어학회 
안희돈·조성은, “Unpronounced Case Markers and Apparent Subject-Object Asymmetry”, 현대문법연구 43, 현대문법학회 
안희돈·조성은, “Wh-Topics and Unpronounced Cases on Wh-phrases”, 생성문법연구 16-1, 한국생성문법학회 
안희제, “본용언 형용사 “하다"의 선행성분에 대하여”, 국어학 48, 국어학회 
양영희, “15세기 2인칭 대명사 ‘너’와 ‘그듸’의 기능 비교”, 우리말글 36, 우리말글학회 
양영희, “중세국어 3인칭 대명사의 부류와 기능”, 한국언어문학 59, 한국언어문학회 
양영희, “중세국어 시기 설정에 대한 단상 -존대법과 인칭대명사를 중심으로-”, 한말연구 19, 한말연구학회 
오문경, “의문사를 포함하는 ‘이/그/저/어느’ 체계 연구”, 한국어문학연구 24, 한국외대 한국어문학연구회 
오선영, “한·일어 인과관계 접속표현의 대조연구 -한국어 ‘-아서’와 일본어 ‘-て’, ‘-ので’ ‘-から’를 중심으로-”, 한일언어문화연구 10, 한·일언어문화연구소 
오충연, “국어 상 연구의 최근 동향 -통사론과 결부된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어학 30, 한국어학회 
우순조, “한국어 조사 기술과 관련된 쟁점과 대안 -표지 이론적 관점에서-”, 우리말연구 18, 우리말학회 
우순조, “활용 개념과 소위 “이다"와 관련된 오해들: 표지이론적 관점에서”, 언어학 44, 한국언어학회 
우창현, “보조용언의 문법상적 기능에 대하여”, 한국어학 33, 한국어학회 
위혜경, “Definiteness of Wh-Phrases Extractable from Weak Islands”, 언어 31-3, 한국언어학회 
유승섭, “국어의 동사적 기능형태소의 통사적 기제와 통합관계”, 한국언어문학 59, 한국언어문학회 
유현경, “형용사에 결합된 어미 ‘-게’ 연구”, 한글 273, 한글학회 
윤용선, “국어 대우법의 종합적 검토: 국어 대우법의 통시적 이해”, 국어학 47, 국어학회 
윤은경, “한국어 양태 표현 연구 -종결어미 ‘­(으)ㄹ래, ­(으)ㄹ게’를 대상으로”, 언어와 문화 2-2,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윤은경, “한국어 종결어미 양태 표현 연구”, 한국어문학연구 24, 한국외대 한국어문학연구회 
이건수·박갑용, “상태성 “하다" 구문에 대한 소고”, 언어과학연구 39, 언어과학회 
이규호, “복합조사 “이라고"의 생성과 분화”, 국어학 47, 국어학회 
이근용, “조사 “에게, 한테, 더러, 보고"의 통사적 특성”, 어문학논총 25, 국민대 어문학연구소 
이금희, ““-느라고, -느라면, -느라니까"의 통사, 의미적 특징”, 반교어문연구 21, 반교어문학회 
이금희, “인용문 형식의 문법화 -문법화 과정과 문법화 정도에 대하여”, 국어학 48, 국어학회 
이병기, ““-겠-"과 “-었-"의 통합에 대하여”, 국어학 47, 국어학회 
이선웅, “술어명사구와 동사구의 동질성과 이질성”, 우리말글 38, 우리말글학회 
이성하, “Stratified Complex Postpositional System in Korean: A Contact Linguistics Perspective”, 담화와 인지 13-2, 담화인지언어학회 
이숙, ““다가"의 용법에 대하여”, 한국어학 32, 한국어학회 
이숙, “개교 60주년 기념 특별호: 국어의 어휘사동문”, 어문학논총 특별호, 국민대 어문학연구소 
이원경, “감정동사의 분류와 특성분석”, 담화와 인지 13-1, 담화인지언어학회 
이윤하, “부사형(副詞形) 어미(語尾) “-게" 구성(構成)의 통사(統辭), 의미(意味) 기능(機能)에 대하여”, 국어교육 121, 한국어교육학회 
이은섭, ““굴다" 구문의 유형과 통사 구조”, 국어학 48, 국어학회 
이은섭, “‘-게 굴다’ 構文의 與格 成分과 對格 成分에 대한 고찰”, 어문연구 129,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이은희·이현주, “한국어의 서술절 설정 연구: 학교 문법을 중심으로”, 한성어문학 25, 한성대 한성어문학회 
이재성, “과거 사건의 구조와 과거 사건 인식 방식”, 한글 271, 한글학회 
이재철, “Islands and Phases”, 생성문법연구 16-1, 한국생성문법학회 
이재철, “Wh-Islands and Additional Wh-Effects”, 현대문법연구 43, 현대문법학회 
이정복, “국어 대우법의 종합적 검토: 국어 경어법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접근”, 국어학 47, 국어학회 
이정택, “이른바 중주어문에 관하여 -서술절 설정의 당위성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34, 청람어문교육학회 
이정택, “피동문의 능동주 표지 선택 원리 再考”, 태릉어문연구 13, 서울여대 국어국문학과 
이정훈,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리고’에 대한 고찰”, 우리말글 36, 우리말글학회 
이정훈, “파생접사 ‘-답-’의 통사적 파생”, 생성문법연구 16-3, 한국생성문법학회 
이정훈, “‘V-어V’ 합성동사 형성 규칙과 범주통용”, 어문학 91, 한국어문학회 
이종근, “한국어 동사와 대격에 관한 연구”, 언어학 14-1, 대한언어학회 
李知英, “中世國語 ‘아직, 안, 안즉, 안직’의 意味와 통사적 특징”, 어문연구 13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이필영, “서술부 양태 표현의 부정 양상 -보조용언적 구성을 중심으로”, 국어학 48, 국어학회 
이한정, “Effects of Focus and Markedness Hierarchies on Object Case Ellipsis in Korean”, 담화와 인지 13-2, 담화인지언어학회 
이해영, “국어 대우법의 종합적 검토: 한국어 교육에서의 대우 표현 연구”, 국어학 47, 국어학회 
이현우, “A Comparative Study of Reciprocals in English and Korean: Their Distribution and Interpretation”, 생성문법연구 16-1, 한국생성문법학회 
이혜란, “A Study on Scrambling in Korean”, 생성문법연구 16-3, 한국생성문법학회 
이호승, “격조사 없는 명사구의 격 문제에 대하여”, 어문학 93, 한국어문학회 
이호승, “국어주제어와 담화 주제”, 개신어문연구 24, 개신어문학회 
이홍식, “교착소의 의미 분석에 대하여”, 언어과학연구 39, 언어과학회 
임동훈, “국어 대우법의 종합적 검토: 현대국어 경어법의 체계”, 국어학 47, 국어학회 
임창국, “한국어 이차술어 구문의 통사”, 언어 31-1, 한국언어학회 
임창국, “한국어 장소교체 구문에서의 대상논항의 통사적 특성과 통사구조”, 어학연구 42-1,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林采勳, “動作類의 相的 特性, 그 本有性과 依存性”, 어문연구 131,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임채훈, “완성성과 상의 구조적 실현”, 한국어학 30, 한국어학회 
장경현, “인터넷 블로그에 나타나는 종결 어미 “-지(요)”의 용법과 의미”, 한국어의미학 19, 한국어의미학회 
장미라, “한국어 보조 용언의 상적, 양태적 의미 기능과 통사적 특징 -“놓다, 두다, 버리다, 내다, 말다, 치우다"를 중심으로-”, 배달말 38, 배달말학회 
장영준, “Case Licensing in Secondary Predication”, 언어연구 21-2, 한국현대언어학회 
장요한, “어미 “-과-"의 의미 기능에 대한 고찰”, 한민족어문학 49, 한민족어문학회 
전영철, “대조 화제와 대조 초점의 표지 ‘는’”, 한글 274, 한글학회 
전정례, “20세기 언어 연구에서의 주요 쟁점에 대하여”, 국어교육 121, 한국어교육학회 
정성미, “‘實體性 名詞+하-’의 構成에 관한 硏究”, 강원인문논총 15,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 
정용길, “‘-고’의 범주에 관하여”, 인문논총 15, 서울여대 인문과학연구소 
정용길, “On the Categorial Status of-Ko”, 생성문법연구 16-3, 한국생성문법학회 
정주리, ““-음", “-기"의 의미와 제약”, 한국어학 30, 한국어학회 
정주리, ““-주다" 형식의 구문과 의미”, 한국어의미학 19, 한국어의미학회 
제영, “한국어 피동문의 유형과 의미”, 문창어문논집 43, 문창어문학회 
조경숙, “유형론에서 본 영어와 한국어의 상”, 언어학 46, 한국언어학회 
조경순, “현대 국어 상호동사 구문 연구”, 한국언어문학 57, 한국언어문학회 
조규태, “중세 국어의 선어말 어미 “-으니-"에 대하여”, 배달말 39, 배달말학회 
조남호, “국어 대우법의 종합적 검토: 국어 대우법의 어휘론적 이해”, 국어학 47, 국어학회 
조세연, “A Study on Case Stacking and Case Alternations in Korean: A Constraint-Based Approach”, 현대문법연구 43, 현대문법학회 
조일규, “현대국어의 하임 풀이씨 뒷가지와 그 파생 양상”, 한말연구 18, 한말연구학회 
趙宰亨, “處所副詞格助詞의 用法 考察”, 어문연구 13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채완, “국어의 격과 조사”, 우리말글 37, 우리말글학회 
채희락, “융합 현상과 ‘(­고) 하­’의 관련성: [대]형 표현의 분석을 중심으로”, 언어와 정보 10-1, 한국언어정보학회 
채희락, “Gerund Phrases as NPs with N Heads: No Empty or Mixed Categories”, 현대문법연구 43, 현대문법학회 
최기용, “장형 부정 구문의 격 교체”, 언어 31-3, 한국언어학회 
최기용, “한국어의 “명사+조사”구성의 구조”, 생성문법연구 16-3, 한국생성문법학회 
최동권, “국어, 몽골어, 만주어 인용문 비교연구”, 알타이학보 16, 한국알타이학회 
최인철, “The Korean Light Verb Construction: Conspiracy Between Mixed Categories and Argument Transfer”, 현대문법연구 45, 현대문법학회 
최형강, ““명사+부리다" 연어 구성에서의 의미 전이”, 한국어학 30, 한국어학회 
최형강, “피동문의 조건과 ‘받다, 당하다, 되다’ 구문의 재고”, 어문학 92, 한국어문학회 
최형용, “합성어 형성과 어순”, 국어국문학 143, 국어국문학회 
타이라카오리, “구어체 “-거든"에 관한 일고찰 -시나리오 데이터를 통해서-”, 한국어학 31, 한국어학회 
하치근, ““지" 짜임월의 문법화 과정 연구”, 우리말연구 18, 우리말학회 
한영목, “국어 문법론 연구의 어제와 오늘”, 어문연구 50, 어문연구학회 
허철구, “접속과 부가”, 시학과 언어학 12, 시학과 언어학회 
홍사만, “국어 의존명사 {것}의 사적 연구”, 어문론총 44, 한국문학언어학회 
홍용철, “한국어의 명사 확장범주”, 언어 31-4, 한국언어학회 
황병순, “‘-었-’ 삭제와 생략에 대한 연구”, 어문학 94, 한국어문학회 
황용주, “연어 구성 변화에 대한 국어정보학적 연구 -신소설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58, 한국언어문학회 
황화상, ““-이"형 부사어의 문법 범주”, 한국어학 32, 한국어학회 
황화상, “조사 “에서"의 문법 범주”, 배달말 39, 배달말학회 
Byung Sun Yaang, “The Study of Subject Honorific Marker -(u)si- in RRG”, 언어학 14-3, 대한언어학회 
Che Gyong Im, “Raising to Object under Multiple Spheres Hypothesis”, 언어학 14-1, 대한언어학회 
Chung Hoon Lee, “Syntagmatic Relations in Corpus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Focusing on Korean Particles”, 현대문법연구 44, 현대문법학회 
Daeho Chung, “Polarity Licensing by Inherently Negative Predicates: A Unified Approach”, 생성문법연구 16-2, 한국생성문법학회 
Dong Whee Yang, “The Phasal Movement Hypothesis and Syntactic Freezing”, 생성문법연구 16-4, 한국생성문법학회 
Francis Bond, “Classifying Correspondence in Japanese and Korean”, 언어연구 23-2, 경희대 언어연구소 
Ha Kyeon Kim, “EF-feature and Wh-Scrambling”, 현대문법연구 44, 현대문법학회 
Hee Don Ahn·Sun Geun Cho, “On Binding Asymmetries in Fragments”, 언어학 44, 한국언어학회 
Hee Don Ahn·Sung Eun Cho, “Layered Nominal Structures: Implications for Caseless Nominals”, 언어 31-2, 한국언어학회 
Hye Ran Lee, “Long-Distance Reflexives in Korean: Syntactic vs. Nonsyntactic Accounts”, 언어학 14-4, 대한언어학회 
Hyunoo Lee, “The Syntax and Semantics of Yekan and Its Cousins”, 언어와 정보 10-2, 한국언어정보학회 
Jeong Me Yoon, “Selective Island Effects in Korean Wh-Constructions: A Diachronic Approach”, 언어 31-2, 한국언어학회 
Jeong Seok Kim, “Against a Multiple Dominance Analysis of Right Node Sharing Constructions in Korean and Japanese”, 현대문법연구 46, 현대문법학회 
Ji Ni Noh, “The emergence of intersubjectivity in Korean conversations -A study on the general noun construction, -n-ke-ya”, 선청어문 34, 서울대 국어교육과 
Jong Bok Kim, “Syntax and Semantics of Numeral Classifier Constructions in Korean”, 현대문법연구 44, 현대문법학회 
Ju-Eun Lee, “A Critical Review of Analyses of Indirect Passives”, 생성문법연구 16-2, 한국생성문법학회 
Jung Min Jo·Seok Keun Kang·Tae Jin Yoon, “A Rendezvous of Focus and Topic in Korean: Morpho-syntactic, Semantic, and Acoustic Evidence”, 언어학 14-2, 대한언어학회 
Jung Soo Mok, “A Continuity of Adjectives in Korean -from a prototypical perspective-”, 언어학 45, 한국언어학회 
Kab Yong Park·Keon Soo Lee, “Deriving Two Types of Korean Negation”, 언어학 14-4, 대한언어학회 
Keun Won Sohn, “On Scope Freezing and Counter Scope Freezing Effects”, 언어연구 21-1, 한국현대언어학회 
Kwang Ho Lee, “A Minimalist Account of Multiple Case Marking in Korean”, 언어 31-2, 한국언어학회 
Kwang Sup Kim, “Focal Ellipsis and Echo Questions”, 현대문법연구 46, 현대문법학회 
Kwangho Lee, “On the Derivation of the Two Specs of T in Icelandic MSCs”, 생성문법연구 16-2, 한국생성문법학회 
Kwnag-sup Kim, “On the Clause-Boundedness of QR”, 생성문법연구 16-4, 한국생성문법학회 
Mi-Jeung Jo, “The Structure of Nominal Modifiers in Korean”, 생성문법연구 16-4, 한국생성문법학회 
Sae Youn Cho, “Defaults, Tense, and Non-Tensed Verbal Coordination”, 언어학 14-3, 대한언어학회 
Sei-Rang Oh, “On the Semantics of Distance-Distributivity Markers”, 생성문법연구 16-2, 한국생성문법학회 
Seong Yong Lee, “Local Scrambling, Specificity and EPP- feature-driven Movement”, 현대문법연구 46, 현대문법학회 
Seungju Yeo, “On the Causee Argument in Japanese and Korean Analytic Causative Construction”, 생성문법연구 16-2, 한국생성문법학회 
Seungju Yeo, “Some Notes on Resultatives in Korean”, 생성문법연구 16-4, 한국생성문법학회 
Sung Hun Kim, “On INT-Motivated Movements”, 언어연구 21-1, 한국현대언어학회 
Yong Suk Kim, “A Probe-Goal Approach to the EPP-Effect of Wh-Interrogatives in English and Korean”, 현대문법연구 46, 현대문법학회 
Yong-Ha Kim, “A Case for Ellipsis in Korean: The Non- Movement Multiple Object Construction”, 생성문법연구 16-4, 한국생성문법학회 
Young Jun Jang, “Secondary Predicates, Complex Predicates, and Serial Verb Constructions in Natural Language”, 현대문법연구 44, 현대문법학회 
Young Sik Choi, “Asymmetry of Locality and Intervention: What Really Matters”, 언어학 14-1, 대한언어학회 

<기타>

권재일, “어순”, 새국어생활 16-1, 국립국어원 
김문오, “문장 성분의 호응”, 쉼표, 마침표. 6, 국립국어원 
김문오, “의미의 명료성”, 쉼표, 마침표. 7, 국립국어원 
김문오, “접속의 형평성”, 쉼표, 마침표. 5, 국립국어원 
김문오, “지나치게 긴 문장 피하기”, 쉼표, 마침표. 8, 국립국어원 
우형식, “국어 분류사의 의미와 용법”, 새국어생활 16-3, 국립국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