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도 국어학의 주요 일지
국어 정책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 교육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한국어 교육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음성학·음운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형태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통사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어휘론·의미론·사전 편찬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사·국어학사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문자·표기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방언·사회언어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정기 간행물 목록 논저 목록
국어 단체 활동
국립국어원 동향
여론과 쟁점
국가기관의 한국어 국외 보급 실태
한국어 교육 실시 현황
번역활동의 성과
국어능력 시험의 실시 현황과 결과 분석
어 순화
전문 용어의 정비
특수 언어와 소수자의 문제
남북 언어 교류
  Ⅱ. 국어 분야별 동향

1. 분야별 논저 목록                         

  국어 정책

 <단행본>

교재편찬위원회 편저, 『열린 생각과 말하기』, 부산대학교출판부 
국립국어원, 『(21세기 세종계획)국어 기초자료 구축』, (담당자: 김흥규),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1세기 세종계획)국어 정보 관리 센터 운영』, (담당자: 박영순),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1세기 세종계획)국어 특수자료 구축』, (담당자: 임용기),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1세기 세종계획)문자코드 표준화 연구』, (담당자: 정우봉),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1세기 세종계획)전문용어의 정비』, (담당자: 최기선),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1세기 세종계획)전자사전 개발』, (담당자: 홍재성),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1세기 세종계획)한민족언어정보화』, (담당자: 이태영),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004년 국립국어원 연보』, (담당자: 김유선),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005년 신어』, (담당자: 김한샘),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경기 지역어 조사 보고서』, (담당자: 최명옥),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경남 지역어 조사 보고서』, (담당자: 김정대),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경북, 강원 지역어 조사 보고서』, (담당자: 이상규),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국민의 국어 능력 평가를 위한 기초 연구』, (담당자: 장경희),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국민의 언어의식 조사』, (담당자: 양명희),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국어 연구 논저 목록 4(1950~2004)』, (담당자: 최용기),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국어사용환경 조사』, (담당자: 양명희),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언어 및 문화 적응 실태 연구』, “(담당자: 왕한석, 한건수, 양명희)”,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남북한 어문 규범 연구사』, (담당자: 전수태),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로마자 표기법 개정 및 보급』, (담당자: 정희원),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법령문 바로 쓰기 연찬 교재』, (담당자: 김세중 외),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북한 국어 연구 논저 목록 2(1946~2004)』, (담당자: 최용기),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새터민의 언어 적응을 위한 실태 연구』, (담당자: 문금현),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어문규범영향평가 결과보고서』, (담당자: ),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 용례집 -포르투갈어, 네덜란드어, 러시아어』, (담당자: 정희원),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우리말 다듬기 자료집』, (담당자: 박용찬),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일본어 투 용어 순화 자료집』, (담당자: 박용찬),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전남 지역어 조사 보고서』, (담당자: 이기갑),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전북 지역어 조사 보고서』, (담당자: 소강춘),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제5차 남북 국제 학술 회의 논문집』, (담당자: 이승재),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제주 지역어 조사 보고서』, (담당자: 강영봉),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좋은 글의 요건』, (담당자: 김문오),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초등학생용 학년별 글쓰기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담당자: 정희창),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충남 지역어 조사 보고서』, (담당자: 한영목),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충북 지역어 조사 보고서』, (담당자: 박경래),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한중일 한자어 비교 연구』, (담당자: 이준석),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 2』, (담당자: 김한샘),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문화방송, 『방송 보도문 개선을 위한 연구』, (담당자: 정희창),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한국농아인협회, 『스페인 수화사전』, (담당자: 최혜원),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한국농아인협회, 『한국수화사전』, (담당자: 최혜원), 국립국어원
권재일 외, 『말이 올라야 나라가 오른다, 2 : 바르게 써야 할 우리말 310가지』, 한겨레신문사 
남영신, 『(4주간의)국어여행 : 국어 여행을 마치면 글쓰기가 쉬워진다』, 성안당 
남영신, 『(남영신의)한국어 용법 핸드북 : 틀리기 쉬운 기본 단어 600여 개와 문장 부호』, 모멘토 
남영신, 『국어 한 무릎 공부 : 나의 한국어 실력 향상 프로그램』, 성안당 
리의도, 『올바른 우리말 사용법』, 위즈덤하우스 
박용찬, 『우리말이 아파요 : 국립국어원 박용찬과 함께하는 우리말 다듬기』, 해냄출판사 
박형준, 『언론방송정책 국민여론조사』, 박형준 의원실 
서상규, 『북한의 국어학 용어 분류 체계에 관한 연구』, (담당자: 최용기), 국립국어원
우상호, 『한류의 완성은 한국어이다 : 일본인이 보는 한국어 교재의 실태보고 및 정책제안』, 우상호 의원실 
이병근 [외저]·서울대학교 韓國文化硏究所 편, 『한국 근대 초기의 언어와 문학』, 서울대학교출판부 
이진원, 『우리말에 대한 예의 : 교열기자 이진원의 바른말 이야기』, 서해문집 
정진수, 『컴퓨터 통신언어 연구』, 역락 
중앙일보 어문연구소 우리말 바루기팀, 『한국어가 있다, 1』, 커뮤니케이션북스 
중앙일보 어문연구소 우리말 바루기팀, 『한국어가 있다, 2』, 커뮤니케이션북스 
중앙일보 어문연구소 우리말 바루기팀, 『한국어가 있다, 3』, 커뮤니케이션북스 
하상장애인복지관 편, 『“또 하나의 국어, 점자” 해설서』, (담당자: 최혜원), 하상장애인복지관 
하상장애인복지관 편, 『또 하나의 국어, 점자』, (담당자: 최혜원), 하상장애인복지관 
하치근, 『우리말 연구의 이론과 실제』, 한국문화사 
한글학회, 『(국어상담소 운영을 위한)공개 토론회』, 한글학회 
KBS 한국어연구회, 『바른말 고운말』, 한국방송출판 


<학위 논문>

강여순, <국어과 교육 과정의 국제 비교 연구>, 부산대 교육대학원(석사) 
고혜란, <중등학교 임용시험과 국어과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에 대한 고찰>, 수원대 교육대학원(석사) 
구정모, <한글 맞춤법 사용 실태 및 맞춤법 교육의 문제 :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세종대 교육대학원(석사) 
국선옥, <국어과 사교육의 가치와 방향에 대한 연구 : 교사 방문형 초등 국어과 학습지를 중심으로>, 중앙대 교육대학원(석사) 
김문향, <외래어 표기 실태 연구>, 안동대 교육대학원(석사) 
김미향, <표기 오류 실태 분석을 통한 한글 맞춤법 지도 연구>, 공주대 대학원(석사) 
김병태, <인터넷 대화 언어의 실태와 지도 방안>, 목포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소희, <표준어휘 선정 방안 연구>, 경북대 대학원(석사) 
김수진, <청소년의 통신언어 사용 실태와 지도 방안>, 신라대 교육대학원(석사) 
김화자, <재미동포의 한국어 가정교육 실태 및 지도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석사) 
木口政樹, <韓國における殘存日本語の摩滅に關する硏究 = 韓國人高齡者コ―パスの分析を通して / 한국에 있어서의 잔존 일본어의 마멸에 관한 연구 :한국인 고령자 코퍼스의 분석을 통해>, 중앙대 대학원, 박사 
박병두, <7차 중학교 교육과정이 국어 교과서에 반영된 양상과 그 문제점 및 원인>, 경기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윤경, <제7차 작문 교과서의 단원 구성 체제에 관한 연구>, 홍익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정숙, <활용 어미를 통한 국어 정서법 지도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 교육대학원(석사) 
손지영, <국어 순화 교육에 관한 연구 : 그 현황과 대안을 중심으로>, 동국대 교육대학원(석사) 
송희승, <초등 국어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과지식 중심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화여대 대학원(석사) 
신승한, <해외 한국어방송 정책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 호주와 뉴질랜드지역을 중심으로>, 고려대 언론대학원(석사) 
신은영, <남북한 한글성서의 서지학적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석사) 
신현선, <한글 맞춤법 사용 실태와 지도 방안 연구>, 숙명여대 교육대학원(석사) 
안명란, <통신 언어의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 신통신 언어를 중심으로>, 건국대 교육대학원(석사) 
안은희, <국어사용능력 신장을 위한 국어과 교재 구성의 핵심 요소와 구조 유형 연구>, 경인교육대 교육대학원(석사) 
안정희, <남북한 학교 문법 비교 연구 : 7차 고등학교 『문법』교과서를 중심으로>, 수원대 교육대학원(석사) 
양경원, <국어 기본학습부진 지도를 위한 교육과정 분석>, 부산대 교육대학원(석사) 
양광석, <실업계 고등학교 국어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안 연구>, 한경대 전자정부대학원(석사) 
오영미, <7차 교육 과정에 따른 중학교 읽기·쓰기 통합 교육 개선 방안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석사) 
유경아, <통신언어의 오용 실태와 지도 방안>, 여수대 교육대학원(석사) 
유은정,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의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전북대 교육대학원(석사) 
윤정미, <국어 오용의 원인과 개선 방안 연구>, 신라대 교육대학원(석사) 
윤진미, <제7차 교육 과정에 따른 '국어 생활' 교과서의 편제 연구>, 홍익대 교육대학원(석사) 
이명길, <정보통신기술 활용을 통한 효율적인 국어과 교수·학습 방안 연구 : 교육과정 내용 영역을 중심으로>, 계명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원영, <중학교 국어과의 교육용 한자어 선정에 관한 연구>, 단국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은희, <중학교 생활 국어 교과서 맞춤법 관련 단원의 지도 내용 연구>, 계명대 교육대학원(석사) 
장보현, <고등학생의 어문 규범 인지 정도에 대한 분석적 고찰>, 충남대 교육대학원(석사) 
전은실, <한글 맞춤법과 조선말 규범집을 통한 남북한 언어의 비교분석>, 원광대 교육대학원(석사) 
전지향,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 과제선정 및 실제자료 구축>, 경희대 교육대학원(석사) 
정신혜, <현행 중학교 국어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체제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석사) 
정영선, <한·일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제7차 교육과정의 언어활동 영역을 중심으로>, 진주교육대 교육대학원(석사) 
정혜란, <외국인 노동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 문화 항목 선정에 관한 연구>, 상명대 교육대학원(석사) 
천지연, <제7차 국어과 교과서의 교육과정 구현 양상 연구 : 중학교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홍익대 교육대학원(석사) 
한영선, <제7차 국어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실태>,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석사) 
한영현, <제7차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영역 비교 연구 : 심화 선택 과목의 교육과정 내용과 언어 영역 평가 요소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홍익대 교육대학원(석사) 
허봉철, <초등학생의 언어순화를 위한 WBI 개발 및 적용>, 강원대 교육대학원(석사) 
황소영, <7차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국어지식 내용 구성 연구>, 한남대 교육대학원(석사) 


<일반 논문>

구법회, “인터넷 용어 다듬어 쓰기”, 한글새소식 391, 한글학회 
권재일, “구어 말뭉치 구축과 형태·통사 정보”,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5차 남북 국제 학술 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원
권재일, “사라져가는 언어 연구와 국어 방언 정책, (가칭)국어정책학회 월례발표회, (가칭)국어정책학회
김덕신, “국어기본법에 나타난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 한밭한글 9·10 통합호, 한글 학회 대전 지회 
김세중, “국어 상담소 제도의 목적과 의의”, 국어상담소 운영을 위한 공개 토론회 발표논문집, 한글학회
김세중, “국어 상담소 제도의 목적과 의의”, 한글새소식 394, 한글학회 
김세중, “신문의 국어 사용 현실과 사명”, 국어 발전과 신문의 사명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겨레신문사 한겨레말글연구소
김승희, “국어과 교육과정의 국제비교를 통한 국어과 교육의 방향 모색”, 교원교육 21-1,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김영환, “한글로만 쓰기와 말글 정책의 방향, 559돌 한글날 기념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글학회
김윤옥, “제7차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분석 및 개선 방안”, 교원교육 20-4,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김정우, “한국 번역사 논의의 전제”, 우리말연구 16, 우리말학회 
김형길, “한국어교육학회 50주년 기념 특집 : 기획 논문 1 ; 주제: 국제 비교를 통해 본 국어교육의 역사와 논리 : 한국인의 관점에서 본 프랑스의 국어운동”, 국어교육 117, 한국어교육학회(구-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김홍석, “외래어 표기의 실제와 그 대안에 대하여 - 고교생 설문 조사를 참고하여”, 새국어교육 70, 한국국어교육학회 
남기심, “수집 어휘의 구조화”,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5차 남북 국제 학술 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원
남영신, “국어 상담 사례와 제언 -일반인 대상-”, 국어상담소 운영을 위한 공개 토론회 발표논문집, 한글학회
노명희, “북한어 다듬은 말의 단어 구조와 의미 관계”, 한국어학 26, 한국어학회 
민현식, “국어정책 60년의 평가와 반성, (가칭)국어정책학회 월례발표회, (가칭)국어정책학회
민현식, “제주도 영어 공용어 특구의 문제”, 한글새소식 394, 한글학회 
박경래, “현지 방언 조사 작업의 내용과 문제점”,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5차 남북 국제 학술 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원
박영목,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새로운 교육과정의 방향 설정 ; 국어과 교육과정의 새로운 방향”, 국어교육학연구 23, 국어교육학회 
박홍길, “우리 말글 잘못쓰기 현실(2) - 2000년~현재 〈조신일보〉에 비친 모습 -”, 새얼어문논집 17, 새얼어문학회 
박휴용, “아시아 이주노동자들의 언어인권에 대한 언어생태론적 고찰”, 아세아연구 122,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서상규, “남북 국어학 용어의 시소러스 구축”,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5차 남북 국제 학술 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원
소강춘, “남북 음성 자료 정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5차 남북 국제 학술 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원
손영애,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새로운 교육과정의 방향 설정 ; 새로운 국어과 교육 과정 개정에 관한 소론”, 국어교육학연구 23, 국어교육학회 
송기형, “국어 기본법과 프랑스어 사용법의 비교 연구, (가칭)국어정책학회 월례발표회, (가칭)국어정책학회
송기형, “국어 기본법과 프랑스어 사용법의 비교 연구”, 한글 269, 한글학회 
양병선, “인명로마자표기 실태 및 분석: 국가대표선수를 중심으로”, 언어학 13-1, 대한언어학회 
윤석민, “일제시대 어문규범 정리과정에서 나타난 수용과 변천의 양상 - <언문철자법>과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학 55, 한국언어문학회 
이관규, “국어 기본법 시대의 국어 정책의 방향, 559돌 한글날 기념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글학회
이관규, “한국어교육학회 50주년 기념 특집 : 기획 논문 1 ; 주제: 국제 비교를 통해 본 국어교육의 역사와 논리 : 한국의 국어 정책과 국어 교육, 그리고 국어 운동”, 국어교육 117, 한국어교육학회(구-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이광석, “국어 정책의 참뜻 -정책학의 관점에서-, 559돌 한글날 기념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글학회
이광석, “어문 정책, 민간화의 탐색", (가칭)국어정책학회 월례발표회, (가칭)국어정책학회
이인제, “한국어교육학회 50주년 기념 특집 : 기획 논문 1 ; 주제: 국제 비교를 통해 본 국어교육의 역사와 논리 : 통일 한국의 국어 교육과 교육 과정 통합의 방향”, 국어교육 117, 한국어교육학회(구-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이종국, “국어 교과서에서의 이념 지향과 출판 정책”, 돈암어문학 18, 돈암어문학회 (The Donam Language & Literature) 
임환재, “독어표기법에서의 외래어 표기법의 특징”, 텍스트언어학 19,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정상섭, “듣기 말하기 영역의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청람어문교육(구 청람어문학) 30,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정승철, “일제강점기의 언어 정책 - "언문철자법"을 중심으로 -”, 진단학보 100, 진단학회 
최시한, “국민의 글쓰기 능력 향상 방안”, 국어 발전과 신문의 사명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겨레신문사 한겨레말글연구소
최시한, “학생 대상의 국어 상담 현황과 제언”, 국어상담소 운영을 위한 공개 토론회 발표논문집, 한글학회
최용기, “남북의 말과 글”, 영주어문 9, 영주어문학회 
최용기, “남북한 국어 정책 변천 연구, (가칭)국어정책학회 월례발표회, (가칭)국어정책학회
한성일, “사회언어학 연구사”, 한말연구 17, 한말연구학회 
허재영, “일제강점기 어문 정책 연구(1) -일제 강점기 초기의 교육 기관과 어문 교육 정책을 중심으로”, 경원어문논집 9·10합집, 경원대 국어국문학과 
홍사만, “우리 민법에 남아 있는 일본어식 문체 - ‘~때’와 ‘~경우’의 선행 시제사 -”, 한일언어문화연구 9, 한·일언어문화연구소 
홍윤표, “남북한 언어 통합 방안”, 국어 발전과 신문의 사명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겨레신문사 한겨레말글연구소
홍윤표, “민족어 발전을 위한 남과 북의 학술적 교류 성과와 과제”,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논문집 5,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홍윤표, “민족어 발전을 위한 남과 북의 학술적 교류 성과와 과제”,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논문집 5,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홍윤표, “방언 조사를 위한 그림 자료의 활용”,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5차 남북 국제 학술 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원
홍윤표, “우리나라 어휘자료 문헌에 대하여”,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5차 남북 국제 학술 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원
황경수, “남북한의 언어규범”, 인문과학논집 31, 청주대학교 학술연구소 
황도생, “한국어와 도이치어의 외래어 차용과 순화 비교 연구”, 외국어교육 8, 한국교원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부 


<기 타>

권영민, “한국어활용능력 가늠할 객관적 측정도구 필요”, 교육마당21 286, 교육인적자원부 
김병언, “‘채소’가 표준말”, 우리 말 우리 얼 43, 우리말 살리는 겨레 모임
김석향, “북한의 우리말 다듬기,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새국어생활 15-1, 국립국어원 
김세중, “국어기본법 시행의 의의”, 새국어생활 15-3, 국립국어원 
김영조, “국어기본법 잘 만들기 이야기 마당”, 우리 말 우리 얼 44, 우리말 살리는 겨레 모임 
김정섭, “우리말의 어제와 오늘과 내일”, 나라사랑 110, 외솔회 
김태환, “국어상담소 제도 정착을 위한 제언”, 새국어생활 15-3, 국립국어원 
김하수, “국어 순화의 문제점과 극복의 길”, 새국어생활 15-1, 국립국어원 
민현식, “매체 변화 시대의 국어 정책 및 교육의 방향”, 새국어생활 15-2, 국립국어원 
박동호, “한국어 교원 자격증 제도의 의의”, 새국어생활 15-3, 국립국어원 
박용찬, “‘마적(魔笛)’과 ‘요술피리’”, 교육마당21 282, 교육인적자원부 
박용찬, “‘미션’은 뭐고, ‘마후라’는 뭐란 말인가”, 교육마당21 285, 교육인적자원부 
박용찬, “‘우리말 다듬기’사이트의 운영 내용 및 성과”, 새국어생활 15-1, 국립국어원 
박용찬, “‘춘희(椿姬)’와 ‘소공녀(小公女)’”, 새국어소식 85, 국립국어원 
박용찬, “‘춘희’와 ‘소공녀’”, 교육마당21 283, 교육인적자원부 
박용찬, “교례회”, 새국어소식 88, 국립국어원 
박용찬, “물은 셀프(self)라고요?”, 새국어소식 89, 국립국어원 
박용찬, “쉬운 우리말 쓰기로서의 일본어 잔재 순화”, 새국어소식 87, 국립국어원 
박용찬, “쉬운 우리말 쓰기로서의 일본어투 용어 순화”, 교육마당21 286, 교육인적자원부 
박용찬, “어떤 말로 다듬어 쓰나”, 교육마당21 281, 교육인적자원부 
박용찬, “어떤 말을 다듬어 써야 하나”, 교육마당21 280, 교육인적자원부 
박용찬, “외래어·외국어 우리말로 다듬기 운동 펼쳐”, 교육마당21 275, 교육인적자원부 
박용찬, “우리말 다듬기란”, 교육마당21 279, 교육인적자원부 
박용찬, “이해할 수 없는 자동차 용어들”, 새국어소식 86, 국립국어원 
박용찬, “클래식은 어렵다”, 새국어소식 84, 국립국어원 
시정곤, “말 다듬기와 조어법”, 새국어생활 15-2, 국립국어원 
신창호, “정부가 정책용어 외국어 너무 쓴다”, 우리 말 우리 얼 43, 우리말 살리는 겨레 모임 
심재기, “전문 용어(특히 정보 통신 분야) 순화에 대하여”, 새국어생활 15-1, 국립국어원 
유재원, “국어 순화, 왜 그리고 어떻게 해야 하나?”, 새국어생활 15-1, 국립국어원 
이남호, “국어 순화는 국어 풍요가 되어야 한다”, 새국어생활 15-1, 국립국어원 
이대로, “국어기본법 시행령(안)에 대한 문제점과 보완점”, 우리 말 우리 얼 44, 우리말 살리는 겨레 모임 
전수태, “대갈받기놀음”, 새국어소식 81, 국립국어원 
전수태, “망낭딸”, 새국어소식 78, 국립국어원 
전수태, “메기공장”, 새국어소식 83, 국립국어원 
전수태, “백두산상체육축전”, 새국어소식 82, 국립국어원 
전수태, “정치난쟁이”, 새국어소식 79, 국립국어원 
전수태, “지식판”, 새국어소식 80, 국립국어원 
정현선, “디지털 매체 시대 의사소통 방식의 변화”, 새국어생활 15-2, 국립국어원 
정호성, “굵직한 목소리”, 새국어소식 78, 국립국어원 
정호성, “나 어떡해?”, 새국어소식 82, 국립국어원 
정호성, “닥치는 대로 쳐부수고 아무거나 처먹고”, 새국어소식 86, 국립국어원 
정호성, “만만찮은 실력”, 새국어소식 88, 국립국어원 
정호성, “몇 문제나 맞혔는지 모범 답안과 맞춰 봐”, 새국어소식 84, 국립국어원 
정호성, “뭐든지 마음대로 먹으니 얼마나 좋던지”, 새국어소식 81, 국립국어원
정호성, “반드시 반듯이 앉으세요”, 새국어소식 89, 국립국어원 
정호성, “사이시옷을 적는 방법”, 새국어소식 80, 국립국어원 
정호성, “영수증을 떼어 와라”, 새국어소식 85, 국립국어원 
정호성, “우표 붙여서 부쳐라”, 새국어소식 87, 국립국어원 
정호성, “있음/있음”, 새국어소식 79, 국립국어원 
정호성, “홍역을 치렀어”, 새국어소식 83, 국립국어원 
정희원, “[ʃ] 소리의 한글 표기”, 새국어소식 88, 국립국어원 
정희원, “‘서울’의 중국어 표기”, 새국어소식 79, 국립국어원 
정희원, “고구려의 로마자 표기”, 새국어소식 80, 국립국어원 
정희원, “독일 지명의 한글 표기”, 새국어소식 82, 국립국어원 
정희원, “에스프레소와 카푸치노”, 새국어소식 89, 국립국어원 
정희원, “영국 프리미어 리그 소속 팀 이름의 표기”, 새국어소식 87, 국립국어원 
정희원, “외래어의 장모음 표기”, 새국어소식 81, 국립국어원 
정희원, “일본어의 외래어 표기”, 새국어소식 83, 국립국어원 
정희원, “후소샤/후소사”, 새국어소식 85, 국립국어원 
최미숙, “국어 능력 검정 시험에 거는 기대와 과제”, 새국어생활 15-3, 국립국어원 
한규희, “‘만, 지, 데’의 띄어쓰기”, 새국어소식 83, 국립국어원 
한규희, “‘우리 함께 할까요(?)’”, 새국어소식 89, 국립국어원 
한규희, “‘입말’의 표기 원칙 적용 힘들다”, 새국어소식 86, 국립국어원 
한규희, “겹말은 가능한 한 줄이자”, 새국어소식 85, 국립국어원 
한규희, “국어기본법, 제정보다 시행이 중요하다”, 새국어소식 80, 국립국어원 
한규희, “다국적 기업(외국 회사)의 외래어 표기 실태”, 새국어소식 78, 국립국어원 
한규희, “로마자 표기 그대로 둘 것인가 - 한글날을 보내며”, 새국어소식 87, 국립국어원 
한규희, “문장 부호의 통일이 필요하다”, 새국어소식 88, 국립국어원 
한규희, “쉽고 재미있는 글이 경쟁력이 있다”, 새국어소식 81, 국립국어원 
한규희, “어문 규정에서 자유로운(?) 예술 작품들”, 새국어소식 82, 국립국어원 
한규희, “언어는 살아 움직인다”, 새국어소식 84, 국립국어원 
한기호, “정보 저장 방식의 변화에 따른 국어 생활의 변화”, 새국어생활 15-2, 국립국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