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도 국어학의 주요 일지
국어 정책 논저 목록
국어 교육  논저 목록
한국어 교육 논저 목록
음성학·음운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형태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통사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어휘론·의미론·사전 편찬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사·국어학사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문자·표기 논저 목록
방언·사회언어학 논저 목록
기타 논저 목록
정기 간행물 목록 논저 목록
정책과 제도
국어 단체 활동
국어 단체의 활동과 연구 성과
국립국어원의 활동과 성과
여론과 쟁점
한국어 교육과 번역
외국인 대상 한국어 교육
번역에 쓰인 우리말
한국어 교육과 능력 평가
2004~2005년도 국어 교육 동향 소고
국어 능력 시험 실시의 현황과 과제
국어 순화와 전문 용어 정비
국어 순화
전문 용어의 정비
특수 언어와 소수자의 문제
시각장해인, 청각장애인,
언어장애인의 언어 생활
소수자 언어 실태와 연구 과제
남북 언어
남북 학술 교류의 상황
남북 언어 교류 관련 학술회의
  Ⅲ. 국어학 관계 문헌
1. 분야별 논저 목록                         
국어사·국어학사
<단행본>

R.H. Robins 저·박수영 역, 『언어학의 사상사』, 역락.
강길운, 『국어사정설』, 한국문화사.
강길운, 『향가신해독연구』, 한국문화사.
강헌규, 『고가요의 주석적 연구』, 한국문화사.
김무림, 『국어의 역사』, 한국문화사.
김승곤, 『국어 토씨 어원과 용법: 향가에서 1930년까지』, 역락.
김홍석, 『여말 선초의 서법 연구』, 한국문화사.
박영섭, 『구급방언해 한자 대역어 연구』, 박이정.
박형우, 『국어 부정문의 변천 연구』, 한국문화사.
송기중, 『고대국어 어휘 표기 한자의 자별 용례 연구』, 서울대 출판부.
이강로, 『사성통해의 음운학적 연구』, 박이정.
이광호 지음·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근대국어문법론』, 태학사.
최전승, 『한국어 방언의 공시적 구조와 통시적 변화』, 역락.


<학위 논문>

강유리, <『구급간이방언해』와 『동의보감 탕액편』의 약재명에 대한 비교>, 공주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고바야시 다다요시, <『倭語類解』의 문헌학적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고은숙, <중세국어의 의도성 연결어미 연구>, 고려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봉좌, <조선시대 방각본 언간독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성란, <『노걸대』류 언해본에 대한 연구>, 상명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김중빈, <『어보류』에 나타난 19C 초의 수산물 어휘 연구>, 공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철주, <대명률직해의 구문 연구>, 서강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변혜원, <『용비어천가』의 연구>, 상명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石松慶子, <통감부치하 대한제국의 수신교과서·국어독본 분석>, 연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성인출, <18세기 후기 국어의 표기법 연구>, 계명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손양숙, <『월인석보』 권십구와 『법화경언해』 권칠의 동의어 연구>, 한국외국어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신중진, <개화기 신문·잡지의 인간 관련 명사 어휘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신희범, <『재물보』와 『광재물보』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울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심은주, <16세기 자료 『장수경언해』 연구>,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승희, <국어의 청자높임법에 대한 통시적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이화숙, <『석보상절』 권3 연구>, 대구가톨릭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임어경, , 부산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명수, <고대한어 명사화규칙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황국정, <국어 동사 구문구조의 통시적 연구>, 고려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일반 논문>

E.V.폴리봐노프·정광·허승철(역), “한국어와 알타이제어의 친족 관계”, 한국어학 24, 한국어학회.
고정의, “구결 연구의 현황과 과제”, 구결연구 12, 구결학회.
권재일, “언어 변화: 국어사 연구 방법과 외래 이론 수용”, 국어학 43, 국어학회.
김동언, “『이언사총(俚諺四叢)』과 19세기 후기 황해도 방언”, 한국어학 25, 한국어학회.
김문웅, “구결 ‘하-’의 교체 현상에 대하여: 『능엄경 언해』(1462)를 중심으로”, 한글 259, 한글학회.
김백희, “新出土『郭店楚墓竹簡』譯註연구 1”, 정신문화연구 27-4 (9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김슬옹, “조선시대 ‘諺文’의 비칭성과 통칭성 담론”, 겨레어문학 33, 겨레어문학회.
김연주, “영건의 궤영건의궤류의 차자 표기 연구 -표기법상의 특징을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 45, 한민족어문학회.
김영욱, “판비량론의 국어학적 연구”, 구결연구 12, 구결학회.
김영욱, “한자·한문의 한국적 수용 -초기 이두와 석독구결 자료들을 중심으로-”, 구결연구 13, 구결학회.
김영일, “어형 ‘나무’의 원형과 형태 변화-『계림유사』의 표기를 중심으로”, 한글 264, 한글학회.
김유범, “언어 변화: 언어 변화 이론과 국어 문법사 연구”, 국어학 43, 국어학회.
김정균, “『삼국사기』 지리지의 지명과 전래 지명”, 어문학 84, 한국어문학회.
김정빈, “일본 『묘법연화경석문』에 나타나는 신라순경사의 반절에 대하여 (하) -한어사와 일본오음과의 비교를 통하여-”, 구결연구 13, 구결학회.
김정태, “음운 현상을 통한 기본형 설정 2”, 한글 263, 한글학회.
김주원,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여진어 만주퉁구스어”, 알타이학보 14, 한국알타이학회.
김주필, “15세기 국어 표기의 단위의 특성”, 정신문화연구 27-2 (9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김주필, “18세기 중·후기 왕실 자료의 ‘’변화”, 어문연구 32-2, 한국어문연구회.
김지숙, “후기 중세국어 ‘’의 탈락과 축약에 관하여 -‘다’를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 45, 한민족어문학회.
김태준, “유길준의 『서유견문』에 대하여”, 한힌샘 주시경 연구 17, 한글학회.
김혜정, “근대 이후 국어과 교재 개발에 대한 사적 검토”, 국어교육연구 13,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김혜정, “근현대 민족어문교육 기초 연구: 근대 이후 국어과 교재 개발에 대한 사적 검토”, 국어교육연구 13,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김흥수, “이른바 개화기의 표기체 유형과 양상”, 국어문학 39, 국어문학회.
나은미, “<독립신문>의 표기법 연구”, 한성어문학 23, 한성대.
나카니시 교코, “중세조선어의 ‘여격 표시’에 대하여 -15·16세기를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27-4(9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남미정, “접속어미 ‘-ᄀ乙’에 대한 일고찰 -분포와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구결연구 12, 구결학회.
도수희, “지명, 왕명과 차자 표기”, 구결연구 13, 구결학회.
박동근, “상위 연구사적 관점에서 본 최근 30년간의 형태론 연구사”, 겨레어문학 33, 겨레어문학회.
박병철, “지명어의 한역화 유형에 관한 연구 -제천 지역 지명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구결연구 13, 구결학회.
박용식, “현대국어와 중세국어에서의 ‘-어하()-’ 의미 고찰”, 배달말 34, 배달말학회.
박진호, “『유가사지론』 점토석독구결 해독 연구 (2) - 권8. 0.4:11-05:17 부분을 중심으로-”, 구결연구 12, 구결학회.
박진호, “주본 『화엄경』 권6의 점토 중복 표기와 부호”, 구결연구 13, 구결학회.
박창원, “고대국어의 모음체계 2”, 우리말연구 14, 우리말학회.
박형우, “『소학언해』의 부정문 연구”, 한국언어문화 25, 한국언어문화학회.
박형우, “국어사 교육의 내용 선정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 114,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박형우, “근대국어의 부정문 연구”, 한국어문교육 13, 한국교원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
박환영, “『몽어유해(蒙語類解)』에 나타난 친족어휘의 민속학적 연구”, 알타이학보 14, 한국알타이학회.
배대온, “여자이름 ‘소사(召史)’에 대하여”, 배달말 35, 배달말학회.
백두현, “우리말(한국어) 명칭의 역사적 변천과 민족어 의식의 발달”, 언어과학연구 28, 언어과학회.
서혁, “호주의 한국어 교육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뉴사우스웨일스 주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15,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서민욱, “‘여’에 호응하는 점토에 대하여 -『유가사지론』 권5, 8을 중심으로-”, 구결연구 13, 구결학회.
서은아·남길임·서상규, “구어말뭉치에 나타난 조각문 유형 연구”, 한글 264, 한글학회.
서종학, “차자 ‘영시-’ 고”, 구결연구 12, 구결학회.
석주연, “서술의 시점과 국어 문법 현상의 이해 -‘삽’과 ‘-오-’를 중심으로-”, 국어학 43, 국어학회.
스가이요시노리, “대격조사의 유무와 문장의 계층구조 -『석보상절』, 『삼강행실도』를 중심으로-”, 국어학 43, 국어학회.
신중진, “‘-ᄅ]Noun+ᄉ+Noun’ 합성어의 통시 어휘론”, 국어학 44, 국어학회.
안병희, “세종(世宗)의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創制)와 그 협찬자(協贊者)”, 국어학 44, 국어학회.
안주호, “『오대진언』에 나타난 표기의 특징 연구 -성암본과 상원사본을 중심으로-”, 한국어학 25, 한국어학회.
안주호, “명사 ‘모양(模樣)’과 ‘법(法)’의 공시성과 통시성”, 국어교육 114,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양영희, “15세기 국어 ‘갸’ 기능에 대한 새로운 해석”, 한글 263, 한글학회.
양영희, “15세기 국어 존대법의 특징 고찰 -국어 조대 기능의 변천 양상에 대한 시론-”, 한국어학 22, 한국어학회.
양영희, “16세기 국어 ‘뇌’체의 공손 등급 설정”, 한말연구 15, 한말연구학회.
양영희, “중세 국어 ‘자내’에 대하여”, 한글 266, 한글학회.
양영희, “중세국어 ‘제’의 기능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학 52, 한국언어문학회.
여찬영, “『여훈언해』의 번역 비평적 연구”, 언어과학연구 29, 언어과학회.
오정란, “훈민정음 재출자(再出字)와 상합자(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 한국어학 22, 한국어학회.
유동석·차윤정, “조선어 학습서에 나타난 국어사적 특징과 일본어 간섭 현상”, 우리말연구 14, 우리말학회.
유현조, “석독구결에서 처격, 여격 표지의 형태통사적 결합 양상 고찰”, 언어연구 25, 서울대 언어연구회.
윤금선, “19세기 초 재미 한인의 국어교육 -<신한민보>를 중심으로”, 국어교육 113,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윤금선, “근현대 국어교육 연구 전개양상 2: 신문과 단행본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13,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윤행순, “한국의 각필부호구결과 일본의 훈점에 나타나는 화엄경의 불독자 용법”, 구결연구 13, 구결학회.
이근영, “여사서 언해(女四書 諺解)의 음운론적 연구”, 한말연구 15, 한말연구학회.
이돈주, “소옹의 『황극경세성음창화도』와 송대한자음”, 국어학 43, 국어학회.
이동석, “중세국어 ‘오라-’와 현대국어 ‘오래-’의 비교 연구”, 이중언어학 25, 이중언어학회.
이등룡, “『훈민정음』 언해본의 ‘한음치성’에 대한 관견”, 인문과학 34, 성균관대 인문과학연구소.
이방계·전광진(역), “중국어 상고음 연구 2”, 구결연구 12, 구결학회.
이상혁, “남궁억과 『조선문법』: 『조선말법』의 품사론을 중심으로”, 한국어학 통권 23, 한국어학회.
이선영, “『음식디미방』과 『주방문』의 어휘 연구”, 어문학 84, 한국어문학회.
이승재, “각필 부점구결의 의의와 연구 방법”, 구결연구 13, 구결학회.
이승희, “명령형 종결어미 ‘-게’의 형성에 대한 관견”, 국어학 44, 국어학회.
이용, “『유가사지론』 점토석독구결 해독 연구 3 -권8. 0.5:18-06:23 부분을 중심으로-”, 구결연구 12, 구결학회.
이은규, “석독 입겿문의 동사 ‘삼-’의 의미 기능 -『화엄경소』 이후의 자료를 대상으로-”, 언어과학연구 30, 언어과학회.
이전경, “『유가사지론』 점토석독구결 해독 연구 4 -권8 07:01-08:22를 중심으로-”, 구결연구 13, 구결학회.
이지영, “근현대 한국어 교재의 사적 고찰”, 국어교육연구 13,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이진호, “‘삿(점)’에 대한 국어사적 고찰”, 국어학 43, 국어학회.
장경준, “『유가사지론』 점토석독구결 해독 연구 1 -권8. 03:04-04:11 부분을 중심으로-”, 구결연구 12, 구결학회.
장경준, “구결점의 현토 위치의 세분과 위치 변이 현상에 대하여 -『유가사지론』권5. 8을 대상으로-”, 구결연구 13, 구결학회.
장서평, “중세의 한국어교육과 교재: 『老乞大』 對漢語史硏究的啓示 -漢語作爲第二語言學習和硏究歷史簡論”, 이중언어학 25, 이중언어학회.
장윤희, “석독구결 및 그 자료의 개관”, 구결연구 12, 구결학회.
정광,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과 교재 및 이중언어교육: 조선시대 중국어 교육과 교재 -『노걸대』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24, 이중언어학회.
정승철, “언어 변화: 음운사 연구에서의 언어 변화 이론의 수용과 전개 -‘ᄋ’의 음운사 연구를 중심으로-”, 국어학 43, 국어학회.
정승혜, “외국어 교재로서의 『노걸대(老乞大)』”, 이중언어학 26, 이중언어학회.
정언학, “‘-고 잇다’ 구성에서의 ‘진행’ 의미 발전 양상”, 어문연구 44, 어문연구학회.
정재영, “계림유사의 고려방언에 나타난 문법형태에 대한 연구”, 구결연구 12, 구결학회.
조남호, “언어 변화: 의미 변화 이론의 수용과 전개”, 국어학 43, 국어학회.
조희정, “근현대 국어교육연구 전개양상 1: 학회지 수록 논문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13,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진남택, “일본자료를 통해 본 ‘’의 변천과정”, 국어학 44, 국어학회.
최경봉, “김규식 『대한문법』의 국어학사적 의의”, 우리어문연구 22, 우리어문연구회.
최중호, “‘내’의 음가에 대한 또 다른 생각”, 새얼어문논집 16, 새얼어문학회.
축도유·윤행순(역), “오코토(ヲコト)점의 초기형태에 대해서”, 구결연구 12, 구결학회.
하귀녀, “보조사 ‘-곳/옷’과 ‘-화칠’”, 국어학 43, 국어학회.
한영균, “문법화 연어 구성 변화 -‘있-’의 경우”, 국어학 44, 국어학회.
한재영, “유길준과 『대한문전』”, 어문연구 32-1 (통권 121), 한국어문교육연구회.
허원욱, “17세기 이름마디의 통어론적 연구 -임자말로 기능-”, 한말연구 15, 한말연구학회.
허재영, “근현대 민족어문교육 기초 연구: 근대계몽기 이후 문맹퇴치 및 계몽 운동의 흐름”, 국어교육연구 13,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허재영, “유길준의 『조선문전』과 『대한문전』연구”, 한힌샘 주시경 연구 17, 한글학회.
호명양,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과 교재 및 이중언어교육: 『노걸대』 급대외한어교학적계시”, 이중언어학 24, 이중언어학회.
황국정, “15세기 국어 타동사의 논항구조 변화 연구 1 -‘NP에’ 논항의 형성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25, 이중언어학회.
황국정, “국어 타동사 구문의 통시적 연구 -타동사 구문의 논항 소멸을 중심으로-”, 언어연구 20, 한국현대언어학회.
황국정, “동사의 범주 간 넘나듦 현상에 대한 통시적 연구”, 언어과학연구 29, 언어과학회.
황국정, “자동사의 논항구조에 관한 통시적 연구 - ‘NP에’, ‘NP로’ 논항 형성을 중심으로-”, 언어과학연구 31, 언어과학회.
황국정, “차자(借字) ‘叱’의 음가에 대한 재검토 -속격 ‘ㅅ’의 기원적인 음가 추정을 중심으로”, 한말연구 15, 한말연구학회.
황문환, “조선 시대 언간 자료의 연구 현황과 전망”, 어문연구 32-2, 한국어문연구회.
황화상, “김희상 문법의 재조명 -『울이글틀』의 품사론을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22, 우리어문연구회.


<기타>

박창원·김수현, “외래어 표기 양상의 변천”, 새국어생활 14-2, 국립국어원.
안병희, “최항의 경서 구결에 대하여”, 새국어생활 14-3, 국립국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