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도 국어학의 주요 일지
국어 정책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 교육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한국어 교육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음성학·음운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형태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통사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어휘론·의미론·사전 편찬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사·국어학사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문자·표기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방언·사회언어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기타
정기 간행물 목록
논저 목록

논저 목록

  Ⅲ. 국어학 관계 문헌
분야별 논저 목록                         
문자·표기
<단행본>

문태식, 『우리말 띄어쓰기 길잡이』, 세진사.
송기중 외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신창순, 『국어근대표기법의 전개』, 태학사.
윤용선, 『15세기 언해자료와 구결문』, 역락.
이성복 엮음, 『(표준국어대사전을 기준으로 삼은) 우리말 바른 표기』, 세창미디어.
이성복, 『우리말 바른 표기』, 세창미디어.
임창호, 『잘못씌는 말 바로쓰기』, 집문당.
최병선, 『한글 정서법의 실제와 원리』, 경진문화사.

<학위논문>

김두식, <한글 자형의 변천에 관한 연구-15~19세기 활자본 및 목판본을 중심으로->, 단국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김수현, <외래어 표기법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김연주, <영건의궤류의 차자 표기 어휘 연구>, 대구가톨릭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김연희, <한글 단어 처리에서 음운정보의 역할-지연과제를 사용한 1음절 단어 처리를 중심으로->, 부산대 대학원 심리학과 석사 학위 논문.
김정숙, <한글 맞춤법의 문제와 개선 방향-시대별 변천과정에서 본 받침규정을 중심으로->, 서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정아, <「신약젼셔」의 표기법 연구>, 안동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용식, <이두의 생략 표기에 대한 연구-대명률직해를 중심으로->, 경상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안태형, <통신 언어 표기의 실태 연구>, 동아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윤향림, <「廣才物譜」의 표기법과 음운현상 연구>, 안동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상호, <국어생활사의 관점에서 본 언간의 특성에 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선영, <「내훈」의 표기법과 어휘 연구>, 대구가톨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마리, <여창가곡 정간보의 발음 표기에 관한 연구­첨가모음 [ㅡ], [ㅜ]를 중심으로­>, 서울대 대학원 국악성악전공 석사 학위 논문.
정성윤, <신라인명의 차자표기 연구>,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춘숙, <초등학생의 한글 표기 실태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조옥수,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잘못된 표기와 표현 실태 연구>, 계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일반논문>

고정의, “이두 학습서의 이두와 독음”, 구결연구 10, 구결학회.
구현옥, “국어 성조 기술 방법 비교 연구”, 한글 260, 한글학회.
권인한, “신라 관등 이표기와 한국한자음의 관계”, 진단학보 96, 진단학회.
김동소·남경란, “≪大方廣佛華嚴經≫ 입겿의 독음 연구”, 어문학 79, 한국어문학회.
김동소, “최초 중국어, 만주어 성서 역성자 하청태 신부”, 알타이학보 13, 한국알타이학회.
김무식, “번역노걸대의 표기와 음운”, 문학과언어 25, 문학과언어학회.
김문웅, “구결 ‘-’의 교체 현상에 대하여-『능엄경 언해』(1462)를 중심으로-”, 한글 259, 한글학회 .
김상윤, “훈몽자회 자석에 나타난 단음절어 일고찰”, 인문연구 35, 중앙대학교.
김슬옹, “학생 한글운동의 회고”, 말과글 97,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
김슬옹, “한글과 한국어에 관한 교양책 읽기”, 함께여는 국어교육 57, 전국국어교사모임.
김영욱, “11세기 국어 문법 형태 연구-유가사지론을 중심으로-”, 국어교육 111,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김영욱, “백제 이두에 대하여”, 구결연구 11, 구결학회.
김영욱, “좌등본 화엄문의요결의 국어학적 연구”, 구결연구 10, 구결학회.
김영일, “<역어유해(譯語類解)>속의 우리말 난해어”, 어문학 80, 한국어문학회.
김정빈, “일본 『묘법연화경석문』에 나타나는 신라 순경사의 반절에 대하여(상)-중국한어사와 일본오음의 비교를 통해서-”, 구결연구 11, 구결학회.
김정빈, “한국 한자음의 구개음화와 개모 소실에 관한 역사적 연구”, 구결연구 10, 구결학회.
김지형, “<훈민정음>에서의 소실문자 ‘ㅿ’의 음가 추정 시론”, 경희어문학 23,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남경란, “《대방광불화엄경소(권35)》 입겿(訣) 연구”, 배달말 32, 배달말학회.
남경란, “여말선초 음독 입겿(訣)의 종합적 고찰(1)”, 민족문화논총 27,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남경란, “여말선초 음독 입겿의 종합적 고찰(2)­음독 입겿의 문자체계­”, 언어과학연구 27, 언어과학회.
남풍현, “고대국어의 시대 구분”, 구결연구 11, 구결학회.
남풍현, “신라승 순경과 경흥의 법화경 주석서에 대하여”, 구결연구 10, 구결학회.
리의도, “한글 낱자에 관한 통시적 고찰”, 한글 259, 한글학회.
박성종, “『대명율직해』 이두의 예비적 고찰”, 진단학보 96, 진단학회.
박성종, “『대명률직해』의 한국한자어 일고찰”, 민족문화논총 28,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박영환, “<한국언어문학> 국어학 분야 수록논문 분석”, 한국언어문학 51, 한국언어문학회.
박재민, “「보현십원가」 난해구 5제-구결을 기반하여-”, 구결연구 10, 구결학회.
박진호, “주본 『화엄경』 권제36 점토구결의 해독 -자토구결과의 대응을 중심으로-”, 구결연구 11, 구결학회.
박형익, “「유서필지」의 이두휘편”, 한국어학 20, 한국어학회.
박형익, “「형태론」 4권 1호의 기고에 대한 논평”, 형태론 5-1, 박이정.
석총청통·김혜진·오미영, “성점의 기원”, 구결연구 11, 구결학회.
소림방규, 윤행순(역), “신라경전에 기입된 각필문자와 부호-경도, 대곡대학장 『판비량론』에서의 발견-”, 구결연구 10, 구결학회.
수곡진성, 강인선(역), “상중고 사이에 있는 음운사상의 몇 가지 문제”, 구결연구 10, 구결학회.
신경철, “한글의 효과적인 교육방안”, 상지영서대학 지역개발연구 11, 상지영서대.
신승용, “영어 차용어의 자음 대응 원칙에 대한 고찰”, 국어국문학 135, 국어국문학회.
신용권, “≪고금운회거요≫의 입성운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언어학 37, 한국언어학회.
안병희, “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 국어학 41, 국어학회.
안주호, “만연사본 <진업진(1777년)>의 표기법 연구”, 국어국문학 133, 국어국문학회.
안주호·이태승, “<비밀개간집(秘密開刊集)〉의 체계와 표기에 대한 연구”, 배달말 32, 배달말학회.
양희철, “향찰 "于萬(隱)"과 "于音毛"의 해독”, 배달말 32, 배달말학회.
여찬영, “지석영 《자전석요》의 한자 자석 연구”, 어문학 79, 한국어문학회.
오미영, “명고옥봉좌문고소장 원응2년 논어집해본의 훈독”, 구결연구 11, 구결학회.
오세준, “1800 상용한자 형성자 소고”, 새국어교육 65, 한국국어교육학회.
윤행순, “한문독법에 쓰여진 한국의 각필부호구결과 일본의 오코토점의 비교-「유가사지론」의 점토구결과 문자구결을 중심으로-”, 구결연구 10, 구결학회.
윤향림, “「廣才物譜」의 표기법 연구”, 안동어문학 8, 안동어문학회.
이방계, 전광진 역, “중국어 상고음 연구 (1)”, 구결연구 11, 구결학회.
이승재, “이체자로 본 고려본 능엄경의 계통”, 구결연구 11, 구결학회.
이승후, “한글 자모의 명칭에 대하여­자모 명칭에 대한 인식 정확도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66, 한국국어교육학회.
이용, “석독구결에 나타난 부정사의 기능에 대하여”, 구결연구 11, 구결학회.
이은규, “<계림 유사> 차자 표기의 전산 처리와 용자례”, 한국말글학 20, 한국말글학회.
이은규, “<대방광불화엄경소(권35)> 석독 입겿문의 동사 ‘삼-’에 대하여”, 어문학 81, 한국어문학회.
이은규, “<백병구급신방>의 표기와 음운 고찰”, 언어과학연구 27, 언어과학회.
이장희, “「삼운통고」의 저본에 대하여”, 어문학 80, 한국어문학회.
이정일, “《번역박통사(상)》에 나타난 중국어 표기법의 역사적 이해”, 어문연구 40, 어문연구학회.
이철수, “長城監務官貼文의 吏讀”,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이호권, “두시언해 중간본의 판본과 언어에 대한 연구”, 진단학보 95, 진단학회.
장경준, “『유가사지론』점토석독구결의 ‘지시선’에 대하여”, 구결연구 11, 구결학회.
장경준, “점토석독구결에서 구결자 ‘’에 대응되는 구결점에 대하여-『유가사지론』권5, 8을 대상으로-”, 한국어학 19, 한국어학회.
정경일, “한국한자음의 상고음적 특성”, 어문논집 47, 민족어문학회.
정경일, “화동정음 동음의 운모 중성”,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정광, “한반도에서 한자의 수용과 차자표기의 변천”, 구결연구 11, 구결학회.
정재영, “백제의 문자 생활”, 구결연구 11, 구결학회.
조영희, “올바른 띄어쓰기 방안”, 새국어교육 66, 한국국어교육학회.
최남희, “고구려어 표기 한자음 형성 자질과 그 어휘연구”, 한글 262, 한글학회 .
최중호, “‘音’의 이중적 음가에 대하여”, 한말연구 12, 한말연구학회.
황선엽, “구결자 ‘斤’의 해독에 대하여”, 구결연구 10, 구결학회.

<기타>

양명희, “내가 할게/내가 할걸”, 새국어소식 60,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유동삼, “우리 말투”, 한글새소식 366, 한글학회.
이설아, “방송 자막의 띄어쓰기, 잘못 많아”, 새국어소식 54,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이운영, “‘연구 원장’은 없습니다”, 새국어소식 59,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이운영, “눈 여겨 보다? 눈여겨보다!”, 새국어소식 54,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이운영,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의 띄어쓰기”, 새국어소식 58,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이운영, “보조 용언의 띄어쓰기”, 새국어소식 55,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이운영, “우리말에서 쓰이는 외래어”, 새국어소식 60,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이운영, “인명의 띄어쓰기”, 새국어소식 56,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이운영, “지명의 띄어쓰기”, 새국어소식 57,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이종규, “‘한자 공부 열풍’ 거품을 빼세요”, 한글새소식 366, 한글학회.
전광진, “한글의 세계화­로바어 한글 서사법 (1)­”, 한글새소식 368, 한글학회.
정인관, “한글은 정보화에 알맞은 글자”, 한글새소식 374, 한글학회.
정호성, “‘가지다’와 ‘갖다’”, 새국어소식 62,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정호성, “‘예/아니요’로 대답하시오”, 새국어소식 61,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정호성, “떡볶이/떡볶기”, 새국어소식 65,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정호성, “벌에 쏘였다/쐬었다”, 새국어소식 63,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정호성, “살어? 말어?”, 새국어소식 59,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정호성, “자장면은 붇기 전에 드세요”, 새국어소식 58,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정호성, “저는 주영이예요”, 새국어소식 54,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정호성, “한 살배기 아기”, 새국어소식 64,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정희원, “새 축구 감독 이름은 ‘코엘류’로”, 새국어소식 56,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천영수, “모아쓰기와 풀어쓰기에 대하여”, 한글새소식 366, 한글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