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논저 목록


국어교육

<단행본>
경인초등교육학회, 『국어과 교수 학습 모형의 이론과 실제』, 워크숍 자료집.
국립국어연구원, 『교과서 문장 실태 연구 2-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국립국어연구원, 『교과서 문장 실태 연구3-초등학교 교과서(1, 2학년)를 중심으로-,-중학교(음악, 미술, 체육) 교과서를 중심으로-』.
문화관광부,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초급 한국어 사전 개발』, 연구 보고서.
민현식, 『국어교육을 위한 응용언어학』, 서울대 출판부.
박갑수·이삼형·최영환·이도영·서 혁·박인기·노은희·송현정·김호정·최인자·김차원·신영택·이성영·박소자·이은희·김봉순·주경희·이종철·최미숙·유영희, 『국어 표현·이해 교육』, 집문당.
박인기 외, 『국어교육과 미디어 텍스트』, 삼지원.
박태호, 『장르 중심 작문 교수 학습론』, 박이정.
백봉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사전』, 연세대 출판부.
연변과학기술대,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 태학사.
연세대 한국어학당, 『한국어 1~6』, 연세대 출판부.
우인혜·나혜민, 『Easy Korean Grammar』, 한국문화사.
우인혜·나혜민, 『日本人に やさしい韓國語文法』, 한국문화사.
이삼형·김중신·김창원·이성영·정재찬·서혁·심영택·박수자, 『국어교육학』, 소명출판.
이강언·김문수·박기용·한택동, 『국어학습 용어사전』, 태학사.
이은희, 『텍스트언어학과 국어교육』, 서울대 출판부.
이창덕·임칠성·심영택·원진숙, 『삶과 화법-행복한 삶을 위한 화법 탐구-』, 박이정.
이화여대 언어교육원, 『말이 트이는 한국어 1~3』, 이화여대 출판부.
임규홍, 『우리말 올바로 공부하기』, 한국문화사.
전학석, 『중국 조선족 언어문자 교육 사용 상황 연구』, 연변대학출판부.
정길남·박인태·양태식·원진숙·엄태영·황정현, 『제7차 교육과정을 위한 초등 국어과 교육』, 박이정.
조현용, 『한국어 어휘교육 연구』, 박이정.
최병우·이채연·최지현, 『매체언어와 국어교육-매체 언어의 교수 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 교육종합연구원 국어교육연구소 연구 보고서.
최현섭·박태호·이정숙, 『구성주의 작문 교수·학습론』, 박이정.
최현섭·이현복·박인기·문광영·이창덕·김창원·최영환,『삶과 글쓰기』, 삼영사.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국내외 한국어 교육기관간 협력망 구축을 위한 기반 조성" 및 "국제학술회의 개최"』, 연구 보고서.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한국어" 초급(말하기·듣기) 교재 개발』, 연구 보고서.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외국어판 "한국어" 초급(읽기·쓰기) 교재 개발』, 연구 보고서.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주요 국제어의 자국어 교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연구 보고서.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한국어 교사 교육·연수 프로그램 교수 요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연구 보고서.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한국어 교사 자격 인증 제도 시행을 위한 기초적 연구』, 연구 보고서.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한국어 교육 기초 어휘 의미 빈도 사전의 개발』, 연구 보고서.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한국어 문형 사전의 개발』, 연구 보고서.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한국어 중급 교재 교수 요목 개발』, 연구 보고서.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한국어 초급(쓰기·읽기) 교사용 지침서 및 학습자용 워크북 개발』, 연구 보고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문학수업방법』, 박이정.
한철우·이삼형, 『독서교육학 교재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 부설 교과교육공동연구소 연구 보고서.
홍사만, 『현대한국어교본』, 영한문화사.

<학위 논문>
감미애, <중학생 작문에 나타난 오류 실태 분석>, 경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강경한, <쓰기 교육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 연구>, 성균관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강극섭, <문형카드를 활용한 언어구사 능력 신장에 대한 연구-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서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권오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읽기 지도방법 연구>, 한국외국어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권희청,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문법 의식에 관한 연구-일기문에 나타난 통사구조를 중심으로->, 공주교육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경숙, <의미구조의 시각화를 통한 설명적 글의 독해력 신장 방안 연구>, 대구교육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기택, <방송언어의 오용 실태와 언어교육-음운과 어휘를 중심으로->, 인천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나미, <중학교 문법교육의 실태 분석>,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미경, <한자어 의미 학습을 통한 어휘 지도 방안 연구>,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미옥,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에 있어서 과제 종류 및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연구>, 연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김선경, <초기 읽기 교과서 어휘의 분석과 평가>, 부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성아, <남북한 문법 교육의 대비적 고찰-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 울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승수, ·적용이 학생들의 어휘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세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영기, <탐구학습에 의한 다의어 의미 지도>, 경북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영신, <초등교과서의 한자실태와 빈도수 연구-한문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영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유미, <학습자 말뭉치를 이용한 한국어 학습자 오류 분석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유정, <한글 맞춤법 인지 실태 분석과 지도 방안>, 전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윤미, <중학교 1학년생의 문장 오류 분석과 그 교정 지도에 관한 연구>, 공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윤승,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어휘사용 실태 연구>, 공주교육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은정, <한국어 말하기 지도 방법 연구-초급단계의 어린이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외국어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주수,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 제신된 듣기·말하기 영역에 관한 연구>, 진주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지향,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기초 어휘 선정 연구-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명사 어휘 분석을 중심으로->, 한성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충현, <단계별 지도를 통한 중학생의 어휘력 신장 방안에 관한 연구>, 공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향숙, <학습 어휘 선정을 통한 어휘 지도 방안-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아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문선례, <성분분석에서 시작하는 문법지도 방안>, 순천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문성은, <광고문의 특성과 국어 교육적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문숙배, <초등학교 아동의 어휘력 증진에 관한 연구>, 경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문희영, <스키마 활성화를 통한 한국어 읽기교육 방안>,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선희, <고등학생의 어문 규정 활용 실태 연구>, 충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성규, <고등학교 국어과 말하기 평가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은영,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원어민의 화행 실현 비교연구-'사행과'와 '감사응답'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창옥, <남북한 어휘 교육의 비교 분석>, 상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효영,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높임법 연구>, 신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손경숙,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전략 훈련과 학습 결과 분석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송덕희, <초등학생의 어휘력 신장 지도 연구>, 전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송학성,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경어법 교육방법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송효진, <어휘 교수법에 관한 연구-의미장 접근법을 중심으로->, 한양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심상민,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안주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양옥선, <초등학생 발음 오류 현상의 분석>, 아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오은하, <유행어의 국어교육적 연구>,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우종대, <학교문법의 보조동사 연구>, 상지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원효재, <컴퓨터를 이용한 맞춤법 교수방법 연구>, 서울교육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유민정, <문장완성 활동을 통한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조사 사용력 향상 효과>, 단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유연희, <과제(TASK) 중심의 한국어 듣기 교육 연구>, 한국외국어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윤채현, <병렬어의 결합원리와 지도방안>, 전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융연희, <과제(TASK) 중심의 한국어 듣기 교육 연구>, 한국외국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경숙, <고등학교 국어과 화법교육 연구>, 강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병만, <발음 평가표 활용을 통한 음소의 발음 지도>, 진주교육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설희, <문법 교육의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영신, <초등 학교 아동의 부사어 발달연구>, 서울교육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영애, <의미시각화를 통한 읽기 능력 신장 방안 연구-중학교 3학년 국어 교과서 '읽기' 단원을 중심으로->, 신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영주, <국어에서의 통사적 중의성과 그 지도 방안>, 국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은경,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에 나타난 오류 분석-학국어 학습자의 작문을 중심으로->,연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은숙, <중학교 국어과 '언어' 영역 교육 연구>, 강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은우, <의미단위 끊어 쓰기 학습을 통한 의사소통능력 신장 방안 연구>, 충북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인숙, <유의어 지도에 관한 연구>, 인제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종우, <중학생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오류 분석과 그 지도 방안 연구>, 울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창원, <띄어쓰기의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상지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회종, <국어 어휘력 신장 방법에 관한 연구>, 공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임유정, <속담의 지도 방안 고찰>, 전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장동수, <비언어적 단서의 기능적 활용이 언어발달지체아동의 표현언어 사용에 미친 효과>, 단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장진영, <의미적 교수의 한계성-어휘 학습을 중심으로->, 국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전제희, <외국어로서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전략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화영,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평가 방안-FSI Oral Proficiency Test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희진, <관형어의 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서울교육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조경훈, <영어 화자의 한국어 발음에 관한 연구>,안동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조남미, <한자어 활용능력 신장을 위한 포트폴리오 자료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조성남, <텍스트 구조분석 지도가 글의 중심 내용 파악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조인옥, <한국어능력시험의 언어권별 수험자 반응분포에 대한 연구-제3회 시험 수험자의 답안결과를 중심으로->, 연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조현용, <어휘 중심 한국어 교육방법 연구>, 경희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최문석, <학습자 활동 중심의 한국어교육 방법 연구-게임과 Information Gap Activity를 중심으로->,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수선, <어휘력 향상을 위한 단계별 어휘지도 방안 연구>, 부경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은희, <한국 아동의 어휘 발달 연구-13~30개월 아동을 대상으로->, 연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지현, <시각적 동작치료와 구어자극의 동시 사용이 전체성 실어증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한양희, <높임법 지도를 위한 교육 내용 분석>, 상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한정일,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한형규, <중등학교 국어교육 내용과 화용론>, 상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황선영, <중국교 국어교과서에 쓰인 어휘 분석>, 중앙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황은하, <한국어 학습자의 반복 현상 연구-모어화자와 학습자의 담화에서->, 연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황진영,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구성 원리와 구현 방법 고찰>, 전남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황화성, <초등학교학생의 높임법 사용과 지도방안 연구-고학년 아동의 높임법 사용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잡지>
강혜진, "읽기 교육의 최근 동향과 국어교육에의 시사", 국어교육학연구 10, 국어교육학회.
강현화, "코퍼스를 이용한 부사의 어휘 교육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 17, 이중언어학회.
고영근, "우리나라 학교 문법의 역사", 새국어생활 10-2, 국립국어연구원.
고영화, "장르의 매체적 성격과 장르 선택 원리에 대하여." 문학교육학 5, 한국문학교육학회.
곽재용, "주장하는 글쓰기의 수행평가 방안", 한국초등국어교육 17,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권순희, "수신자 지향 관점에 따른 표현 양상과 기능", 국어교육 102, 한국국어교육연구회.
권재일, "한국어 교육을 위한 표준 문법의 개발 방향", 새국어생활 10-2, 국립국어연구원.
김경주, "구어적 텍스트의 문체적 특성과 쓰기 교육적 의의", 국어교육학연구 11, 국어교육학회.
김광해, "21세기의 문법", 새국어생활 10-2, 국립국어연구원.
김광해, "국어학과 한국어교육",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연구 3, 서울대 사범대학.
김대행, "교과서와 국어교육관", 국어교육학연구 10, 국어교육학회.
김대행, "문학교육 성과 측정", 국어교육연구 7,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김대행, "한국어교육 발전 방향",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연구 3, 서울대 사범대학.
김도남, "상호텍스트성을 바탕으로 한 읽기 수업 방법 탐구", 한국초등국어교육 17,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김도남, "문학교육에서 가치 내면화 지도 방법 시고", 『문학수업방법』, 박이정.
김도남, "상호텍스트성의 개념과 국어교육적 함의", 한국어문교육 9, 한국교원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
김동환, "한국 소설의 내적 형식과 문학교육", 문학교육학 6, 한국문학교육학회.
김미량, "정보화 사회의 독서매체 확장을 위한 일고", 독서연구 5, 한국독서학회.
김민애, "한국어 유의어 표현에 대하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연구 3, 서울대 사범대학.
김봉순, "설명적 텍스트의 중심 내용 분석 원리", 『국어표현·이해교육』, 집문당.
김봉순, "학습자의 텍스트구조에 대한 인지도 발달 연구-초중고 11개 학년을 대상으로-", 국어교육 102, 한국국어교육연구회.
김상욱, "문학교육 이념으로서의 주체 형성과 민족적 주체", 문학교육학 6, 한국문학교육학회.
김상희, "한국어 교실의 의사소통의 양상", 화법연구 2, 한국화법학회.
김시태·김명희·장경희·이삼형,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문학교육방법", 독서연구 5, 한국독서학회.
김상희,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전략-미국에서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국어교육학연구 11, 국어교육학회.
김상욱, "문학 교육과정의 내용 선정과 그 조직화", 한국초등국어교육 17,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김수정, "한국어 중의성 사전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10, 국어교육학회.
김순자, "말차례 뺏기에 나타난 남녀 화자의 특징", 화법연구 2, 한국화법학회.
김 영, "중세 보편주의 시대의 문학과 문학교육", 문학교육학 6, 한국문학교육학회.
김영선, "고등학교 작문 교육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연구", 동남어문논집 11, 동남어문학회.
김영아, "호주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국어교육연구 7,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김우창, "다원시대의 문학 읽기와 교육", 문학교육학 6, 한국문학교육학회.
김인택, "웹 기반 한국어 발음 교육 코스웨어 설계", 우리말연구 10, 우리말학회.
김인환, "동아시아 문학교육의 전통", 문학교육학 6, 한국문학교육학회.
김재봉,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 한국초등국어교육 16,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김정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 방법",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연구 3, 서울대 사범대학.
김정훈, "Microsoft Powerpoint를 이용한 초급 한국어 구조 학습", 한국어교육 11-1, 한국어교육학회.
김종운, "조선시대 한자교재 고찰-천자문과 유합을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 9, 한국교원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
김종철, "민족 정서와 문학교육", 문학교육학 6. 한국문학교육학회.
김중섭, "남북한 한국어 교육 비교연구", 어문연구 28-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김창원, "국어 학습자의 질 관리를 위한 평가 체제에 관하여", 한국초등국어교육 17.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김창원, "국어표현의 문화와 반문화-국어교육 철학의 가능성을 위하여-", 『국어표현·이해교육』, 집문당.
김창원, "대학수학능력 시험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10, 국어교육학회.
김창원·정재찬·최지현, "문학교육과 상상력", 독서연구 5. 한국독서학회.
김청자, "한국어 쓰기에 나타난 오류분석",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연구 3, 서울대 사범대학.
김태곤, "화법교육에서 언어례절 지도 연구", 어문연구 28-4, 한국어문교육연구회.
김혜숙, "공고 텍스트의 문법 교육적 수용의 실제에 대하여", 동국어문학 12, 동국대 동국어문학회.
김혜숙, "매체 언어의 국어 교육적 수용의 필요성과 방안에 대하여", 동악어문논집 36, 동악어문학회.
김혜정, "독일의 자국어 교육-교과서와 연구 동향 소개-", 국어교육학연구 10, 국어교육학회.
김호정, "기온을 표현하는 어휘의 의미 연구-어휘 교육을 위한 내용 구성의 관점에서-", 이중언어학 17, 이중언어학회.
김호정, "한국어 의문 표현의 의미 연구", 『국어표현·이해교육』, 집문당.
노금송, "중국어 화자가 발음하기 어려운 한국어 음운 지도 방안", 부산한글 19, 한글학회 부산지회.
노은희, "대화의 특성과 지도 방법", 『국어표현·이해교육』, 집문당.
문금현, "대학에서의 화법 강의안", 화법연구 2, 한국화법학회.
문애리, "STA II 한국어의 현황과 문제점", 국어교육연구 7,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문영진, "글쓰기 교육의 방법론에 대한 반성", 국어교육연구 7,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민현식,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의 현황과 과제", 새국어생활 10-2, 국립국어연구원.
민현식, "한국어 교육에서의 정서법 교육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 11-1, 한국어교육학회.
민현식, "한국어 교재의 실태 및 대안", 국어교육연구 7,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박갑수, "국어교육과 표현·이해교육", 『국어표현·이해교육』, 집문당.
박갑수, "한국어 교육과정 구안에 대한 논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연구 3, 서울대 사범대학.
박수자, "의사소통 매체와 언어 표현의 특징", 국어교육학연구 10, 국어교육학회.
박수자, "국어 이해 과정으로서 읽기 전략의 종류와 기능", 『국어표현·이해교육』, 집문당.
박영목, "독서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국어교육 103, 한국국어교육연구회.
박인기, "국어과 교육에서 정의교육의 향방과 재개념화", 국어교육학연구 11, 국어교육학회.
박인기, "국어교육 평가의 패러다임 변화와 실천", 국어교육 102, 한국국어교육연구회.
박인기,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목표에 대한 검토", 한국초등국어교육 16,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박인기, "평가 전략으로서의 논술 과제의 정합성", 『국어표현·이해교육』, 집문당.
박태호, "국어 교과서의 기능적 측면에서 본 장르 중심 쓰기 교재의 구성 원리", 『문학수업방법』, 박이정.
박태호, "국어과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 방안", 한국어문교육 9, 한국교원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
박환영, "민속조사와 인터뷰", 화법연구 2. 한국화법학회.
방인태,"교육대학 국어과교육과정(심화)구성안", 한국초등교육 11-2, 서울교대 초등교육연구소.
서덕현, "학교 문법에 수용된 문법 이론에 대한 소고", 국어교육학연구 10, 국어교육학회.
서유경, "국어 전자 교과서 개발의 실제와 방향", 국어교육학연구 10, 국어교육학회.
서 혁, "국어 이해 능력의 평가", 『국어표현·이해교육』, 집문당.
서 혁, "국어교육 정보화의 효율성과 체계성 제고를 위한 기초 연구-현황 분석과 체계적 대응 방안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10, 국어교육학회.
서 혁, "제7차 초등학교 국어과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고찰-1·2학년 실험용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16,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선주원, "초언어학과 소설 교육의 지향점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10, 국어교육학회.
손성옥, "STA II 한국어와 한국어 교육", 국어교육연구 7,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손영애, "국어과 어휘 지도의 내용과 방법", 국어교육 103,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송향근, "상호자율학습법을 이용한 한국어 교육 방법",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송현정, "국어 읽기 부진의진단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11. 국어교육학회.
송현정, "호응 관계의 텍스트 언어학적 접근", 『국어표현·이해교육』, 집문당.
신동구, "연극놀이를 활용한 희곡 지도 방안 연구", 『문학수업방법』, 박이정.
신명선, "광고 텍스트의 문화적 의미와 국어교육", 국어교육 103,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신명선, "초등학교 국어지식 교육의 방향에 관한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10, 국어교육학회.
신원기, "교재화를 위한 텍스트 변용 양성 고찰", 『문학수업방법』, 박이정.
신헌재, "초등학교 국어능력 평가의 특성과 지향점", 청람어문교육학 22.
신현숙·오숙진, "인문계 고등학교 <국어>를 통해 본 언어지식", 한국어교육 11-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심경호. "한국고전문학교육의 현황과 과제." 문학교육학 6. 한국문학교육학회.
심영택, "국어교육", 국어학 연감 2000, 국립국어연구원.
심영택, "국어교육관의 양상 연구", 『국어표현·이해교육』, 집문당.
심재기·문금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연구-구어 텍스트의 활용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17, 이중언어학회.
안경화·김정화·최은규, "학습자 중심의 하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대하여", 한국어교육 11-1, 한국어교육학회.
양정실, "반응일지(response journl) 쓰기의 문학교육적 함의", 국어교육 102,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엄 훈, "한국어 색채어의 표식 체계에 대한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10, 국어교육학회.
연재훈, "영어권 한국어 초급 교재 개발과 관련한 문제들", 국어교육연구 7,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염은열, "표현교육의 연구 경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11, 국어교육학회.
우한용, "지식정보화시대의 독서-독서의 정치학을 위한 각서-", 독서연구 5, 한국독서학회.
우형식·임홍준, "자기주도적 논술 능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 교육논총 2, 부산외대 교육대학원.
원진숙, "숙달도 배양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단원 구성 체재 개선 방안", 이중언어학 17, 이중언어학회.
원진숙,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평가", 한국초등국어교육 16,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유덕제, "문학교육의 방향", 『문학수업방법』, 박이정.
유성기, "광고와 국어교육", 국어교육 101,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유성기, "국어지식 교육의 교수·학습 모형", 한국초등국어교육 17,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유수열, "판소리 연행의 유창성에 대한 인지적 관심", 국어교육학연구 11, 국어교육학회.
유영희, "침묵의 자기 표현", 『국어표현·이해교육』, 집문당.
유인순, "고교 문학교재와 외국소설 교육", 문학교육학 5, 한국문학교육학회.
유흥렬, "컴퓨터 게임의 서사적 특성", 문학교육학 5, 한국문학교육학회.
윤여탁, "국어교사 임용 시험의 실태와 비판", 국어교육 102,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윤여탁, "다매체 언어를 활용한 현대시 교육연구", 문학교육학 6, 한국문학교육학회.
윤여탁,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의 위상과 역할", 국어교육연구 7,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윤여탁, "한국어교육의 과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연구 3, 서울대 사범대학.
윤희원, "언어 지도 교사의 전문성",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연구 3, 서울대 사범대학.
이경화, "매체 언어의 국어 교재화 방안", 한국초등국어교육 17,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경화, "읽기 매체 환경의 변화와 <읽기와 보기> 교육과정 설계", 청람어문교육학 22.
이경화, "읽기 전 활동으로 독자의 배경지식을 활성화하는 방안", 『문학수업방법』, 박이정.
이경화, "학교 교육으로 매체 언어를 실행하는 방안", 한국어문교육 9, 한국교원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
이관규, "사잇소리 현상과 된소리 되기의 학교문법론적 접근",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이관규, "학교 문법 교육의 현황", 새국어생활 10-2, 국립국어연구원.
이대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불규칙 동사의 교육 방법", 이중언어학 17, 이중언어학회.
이도영, "교과서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초등국어교육 논문집 6, 강원초등국어교육학회.
이도영, "국어과 정의적 영역의 평가 방법", 국어교육학연구 11, 국어교육학회.
이도영,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초등국어교육 16,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도영, "제7차 초등학교 국어과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고찰-1·2학년 실험용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16,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도영, "표현·이해 교육 내용으로서의 지식, 기능, 전략", 『국어표현·이해교육』, 집문당.
이득춘, "한국어교수에서의 문화교욱에 대한 학습 수감",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 태학사.
이득춘, "한국어교육과 언어사관", 21세기 한국어 교육의 발전 방향과 과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문규, "발음 교육의 개념과 방향", 어문학교육 22, 한국어문교육학회.
이봉윤, "협력학습자로서의 상호 단계적 묻고답하기 활동 방안 연구", 초등국어교육 논문집 6, 강원초등국어교육학회.
이삼형, "국어교육과 사고", 『국어표현·이해교육』, 집문당.
이석주, "신체언어와 의사전달", 국어교육 101,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이성영, "글쓰기 능력 발달 단계 연구-초등 학생의 텍스트 구성 능력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126, 국어국문학회.
이성영, "대용 표현 능력의 발달 특성 연구-초등 학생의 '이, 그, 저'계 대용 표현을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9,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이성영, "표현 의도의 표현 방식", 『국어표현·이해교육』, 집문당.
이은경, "고등학교 작문 교과서의 비교", 관악어문연구 25,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이은희, "표현 과정으로서의 쓰기의 평가 방법 연구", 『국어표현·이해교육』, 집문당.
이응백, "교육한자 대표훈음 선정경위", 어문연구 28-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이재승, "쓰기 과정 평가의 개념과 교육적 의미", 한국어문교육 9, 한국교원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
이재승, "작문 부진의 원인과 방법", 국어교육학연구 10, 국어교육학회.
이재승, "정보화 사회와 독서교육", 독서연구 5, 한국독서학회.
이정노,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국어교육연구 7,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이정애, "국어교육과 만화의 텍스트적 변용", 국어교육학연구 11, 국어교육학회.
이종철, "속담의 국어교육적 의의와 지도 방법", 『국어표현·이해교육』, 집문당.
이종철, "창의적인 어휘 사용능력의 신장 방안", 국어교육 102,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이주섭, "말하기·듣기 교육에 대한 관점 고찰", 한국어교육 15, 한국어문교육학회.
이지호,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수준별 교육-문학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16,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화진, "정보화시대의 독서전략", 독서연구 5, 한국독서학회.
인 알렉산드르, "러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국어교육연구 7,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임경순, "자아 정체성 형성과 이야기 교육", 문학교육학 5, 한국문학교육연구회.
임규찬, "민족문학과 문학교육에 대한 단상", 문학교육학 6, 한국문학교육학회.
임성규, "표현 영역에서 어휘력 신장 방안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17,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임지룡, "국어지식 영역의 교재 구성 방안", 국어교육연구 32, 국어교육학회.
임천택, "독서 평가의 이론적 배경과 접근 방법", 『문학수업방법』, 박이정.
임칠성, "컴퓨터 대화방 '글말'의 어휘에 대한 계량적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10, 국어교육학회.
임홍빈, "학교 문법, 표준 문법, 규범 문법의 개념과 정의", 새국어생활 10-2, 국립국어연구원.
장광군,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국어교육연구 7,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장영희, "20대 남녀 사용 어휘의 대비적 고찰", 화법연구 2, 한국화법학회.
전은주, "상호관계적 말하기 듣기 교수 학습 방법을 이용한 토론 지도 프로그램의 교육효과", 국어교육 102,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전은주, "화법 원리에 대한 고찰", 한국어교육 15, 한국어문교육학회.
정길남, "서울교대생들의 언어 실태 조사 연구", 학생생활연구 26, 서울교대 학생생활연구소.
정복순, "쓰기 단원의 수업 설계", 부산한글 19, 한글학회 부산지회.
정우봉, "한국 고전시 교육과 민족성-표현과 발상의 문제를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6, 한국문학교육학회.
정재찬, "21C 문학교육의 전망", 문학교육학 6, 한국문학교육학회.
정정순, "1920년대 한국 낭만주의 시와 상상력 교육", 문학교육학 5, 한국문학교육학회.
정정순, "'읽고 쓰기' 교육을 통한 주체 형성", 독서연구 5, 한국독서학회.
조성문,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법적 특성에 대한 연구", 한민족문화연구 7, 한민족문화학회.
조성문, "효율적인 한국어 발음 교육을 위한 연구-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민족문화연구 6, 한민족문화학회.
조항록, "초급 단계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 한국어 교육 11-1, 한국어교육학회.
조현용, "한국어 능력 시험 어휘 평가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 101,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주경희, "대명사의 텍스트 언어학적 연구", 『국어표현·이해교육』, 집문당.
증천부, "대만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국어교육연구 7,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진선희, "시 감상활동으로서 창작의 의의 및 그 지도 방안 탐색", 『문학수업방법』, 박이정.
진제희, "상호 작용 상황에서 나타난 학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전략 양상", 이중언어학 17, 이중언어학회.
진제희,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전략 유형 분류 및 분석", 한국어교육 11-1, 한국어교육학회.
천경록, "국어과 수행평가의 개념과 시행 방안", 한국어문교육 9, 한국교원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
최경희·김연님, "문학 영역의 수행평가", 『문학수업방법』, 박이정.
최미숙, "국어 교과서 제재 선정 및 수정 방안-문학 제재를 중심으로-", 독서연구 5, 한국독서학회.
최미숙, "국어교육 평가의 원리와 실제-'통합'의 원리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126, 국어국문학회.
최미숙, "문학교육에서의 평가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11, 국어교육학회.
최미숙, "문학적 글쓰기와 국어교육", 『국어표현·이해교육』, 집문당.
최미숙, "서술식 평가의 유형과 실제 연구", 국어교육 102,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최미숙, "정보화 시대의 국어 교과서 개발 방향-매체(media)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10, 국어교육학회.
최병우, "다매체 시대의 독서", 독서연구 5, 한국독서학회.
최성욱, "외국어로서 한국어 어휘 능력 신장 방안-컴퓨터 게임의 활용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11, 국어교육학회.
최영환, "언어 이해의 본질과 특성", 『국어표현·이해교육』, 집문당.
최용기, "교과서 문장 조사 연구-국어 표기와 표현을 중심으로-", 국문학논집 17, 단국대 국어국문학과.
최인자, "재난 보도에 나타난 TV뉴스 장르의 서사적 특성 연구", 국어교육 101,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최인자, "창의력을 위한 '문제' 중심의 교수 학습 방법론-서사 표현 교육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10, 국어교육학회.
최인자, "대화주의 이론과 작문 교육의 문화 생산 모델", 국어교육연구 7,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최인자, "'장르'적 시각에서 본 글쓰기 교육", 『국어표현·이해교육』, 집문당.
최인자, "장르의 역동성과 쓰기 교육의 방향성", 문학교육학 5, 한국문학교육학회.
최지현, "국어과 교육에서 정의적 교육 내용", 국어교육학연구 11, 국어교육학회.
최지현, "문학교육에서 정전(正典)과 학습자의 정서체험이 갖는 위계적 구조에 관한 연구", 문학교육학 5, 한국문학교육학회.
최지현, "선택형 지필 평가의 한계와 가능성", 국어교육 103, 한국국어교육연구회.
한귀은, "시의 알레고리 표상을 위한 교육연구", 국어교육 102, 한국국어교육연구회.
한명숙, "텍스트 바꾸어쓰기 전략과 시 감상 지도", 『문학수업방법』, 박이정.
한명숙, "텍스트 바꾸어 쓰기의 환기 효과와 시 감상 교육", 한국초등국어교육 17,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한희정, "초등문학교육고 전래동요", 『문학수업방법』, 박이정.
허왕욱, "시와 회화의 통합 교육에 관한 고찰", 『문학수업방법』, 박이정.
허왕욱, "향유 주체의 대화에 의한 창작 교육-조선시대의 창작 문화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11, 국어교육학회.
허 용·연재훈·정진원, "원격교육을 통한 한국어 교육-한국어 교재 개발과 교사 교육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17, 이중언어학회.
호정환,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에서 성정 변인과 인지적 노력", 교육한글 13, 한글학회.
황정현, "창의적 사고력 계발을 위한 동화교육 방법", 『문학수업방법』, 박이정.
황정현, "총체적 언어 교육을 위한 동화교육 방법론", 문학교육학 5, 한국문학교육학회.
후지이시 다카요, "일본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국어교육연구 7,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熊谷明泰, "朝鮮語敎育と學習書の現狀について-母音解說でられるをのして-",關西大學一般敎育等硏究センタ 1, 關西大學.
Anna Izabella Paradowska, "외국어 습득에 모국어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폴란드어 화자의 한국어 단순 모음 청취에 대한 연구-", 말소리 39, 대한음성학회.

<기타>
권오준, "초등학교 교과서 다시 쓰자", 새국어생활 10-4, 국립국어연구원.
기세훈, "초등학교 한자교육으로 문화위기 극복하자", 한글+한자문화 13,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김대현, "대학에서의 한자교육의 필요성과 삼강운동", 한글+한자문화 7,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김두환, "초중고교에서 기초한자 교육해야", 한글+한자문화 6,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김무림, "대학교육과 한자학습의 시기에 대하여", 한글+한자문화 7,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김석득, "'제18차 재미 한인학교 협의회 학술 대회'에서 느낀 점", 한글새소식 337, 한글학회.
김선풍, "대학교육과 대학현장에서의 한자교육문제", 한글+한자문화 7,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김한빛나리, "이제는 새로운 눈으로 준비해야 할 때-제4회 국외 한국어 교사 연수회를 마치고-", 한글새소식 336, 한글학회.
김홍철, "새시대 한자교육의 전망과 과제(1)", 한글+한자문화 17,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문영규, "초등학교교육의 실태와 개선방법", 한글+한자문화 10,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박붕배, "교육용 한자의 학교급별 구분-한문 교육의 학교급별 타당성 문제와 교육용 기초 한자 학교급별 문제-(1)", 한글새소식 335, 한글학회.
박붕배, "교육용 한자의 학교급별 구분-한문 교육의 학교급별 타당성 문제와 교육용 기초 한자 학교급별 문제-(2)", 한글새소식 336, 한글학회.
박붕배, "교육용 한자의 학교급별 구분-한문 교육의 학교급별 타당성 문제와 교육용 기초 한자 학교급별 문제-(3)", 한글새소식 337, 한글학회.
손원일, "수상한 「국어」 교과서-官主교육에서 民主교육으로-", 한글+한자문화 14,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송명호, "왜 어릴 때 한字를 배워야 할까?", 한글+한자문화 16,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신영식, "대학에 있어서 한자교육의 방향", 한글+한자문화 6,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안중경, "한국과 일본의 한자교육과정 비교", 한글+한자문화 10,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우리말 살리는 겨레모임, "초등학교에서 한문글자 가르치는 일은 옳지 않다", 한글새소식 336, 한글학회.
이기문, "한자교육은 왜 필요한가", 한글+한자문화 11,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이성미, "국제화 시대의 국어교육과 한자", 한글+한자문화 7,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이양우, "보다 활발한 한자교육운동 전개를 위해서", 한글+한자문화 16,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이응백, "교육용 한자 조정에 대한 의견", 한글+한자문화 12,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이응백, "초등학교 한자교육의 시급성", 한글+한자문화 16,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이응백, "한글 전용 교육기에 개발된 국한혼용 「한국어」 교과서", 한글+한자문화 14,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이응백, "한자교육 음의 장단", 한글+한자문화 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이재전, "한자는 초등학교부터 가르쳐야", 한글+한자문화 9,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장광군, "중국인의 위한 한국어 표준문법의 창립(1)", 한글새소식 338, 한글학회.
장광군, "중국인의 위한 한국어 표준문법의 창립(2)", 한글새소식 340, 한글학회.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초등학교 한자교육의 시급성에 대하여 각 정당에 보내는 건의문", 한글+한자문화 7,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한글학회, "초등학교에서의 한자 교육은 절대 안 된다", 한글새소식 335, 한글학회.
허 벽, "대학생들의 한자실력 부족으로 인한 문제점과 한자교육의 필요성", 한글+한자문화 6,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홍우흠, "한자교육과 사용에 대한 우리의 자각", 한글+한자문화 14,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홍우흠, "한자교육과 한국의 미래", 한글+한자문화 6,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