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한국어 전문가 파견 및 재외 동포 한국어 교사 초청 연수

■ 1992년 7~8월│한국어 전문가 파견 및 재외 동포 한국어 교사 초청 연수
    연구원과 한국어문진흥회에서는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국가 정통성 확립 및 문화적 동질성 회복을 위한 문화 사업 지원 계획의 일환으로 1992년도의 파견 연수와 초청 연수를 실시하였다.

1. 파견 연수
가. 파견 지역 및 파견된 사람
    연변 │이병근(서울대 교수), 이윤하(연구 1부 연구원)
    알마티│서정목(서강대 교수, 연구 2부장), 권인한(연구 2부 연구원)
나. 파견 기간
    연변 │1992년 7월 24일(금)~8월 8일(토)
    알마티│1992년 7월 10일(금)~7월 25일(토)
다. 연수 장소, 대상, 내용
    장소│ 연길시 교원진수학원 강의실, 알마티 한국교육원 강의실
    대상│ 중국 길림성 지역 한국어 교사 및 한국어 교육 관계자(57명)
    카자흐 공화국 18개 주 한국어 교사 및 알마티 시 한국어 교육 관계자(38명)

2. 초청 연수
가. 대상 지역 및 초청된 사람
    중국│김명준, 김영창, 방학철, 이용복, 최만복, 최상해(이상 연변)
    독립국가연합│명드미트리, 박미하일, 변영종, 서엘레오노라, 우경애(카자흐), 안릴리야, 최스베틀라나(우즈베크), 한성희(러시아)
나. 초청 기간 : 1992년 8월 18일(화) ~ 9월 4일(금)
다. 연수 장소, 내용 및 담당자
    장소│ 문예진흥원 무대예술 연수회관(8월 18일~8월 27일)
        통일원 통일연수원(8월 28일~9월 1일)
        서울대 호암생활관(9월 2일~9월 4일)
라. 연수 내용 및 담당자
        1. 우리말과 글의 역사│안병희(서울대 교수, 원장), 서정목(서강대 교수, 연구 2부장)
        2. 한국의 고전 시가│김완진(서울대 교수), 정연찬(서강대 교수)
        3. 남북한 어문 규범 비교 해설│이승욱(서강대 교수), 김세중(연구 1부 연구원), 권인한(연구 2부 연구원)
        4. 국어 문법의 기초│유목상(중앙대 교수), 임홍빈(서울대 교수, 연구 1부장), 윤용선(연구 1부 연구원)
        5. 우리말의 예절│이응백(서울대 명예 교수), 이윤하(연구 1부 연구원)
        6. 한국의 방언│최명옥(서울대 교수)
        7. 우리나라의 문화정책│윤희창(문화정책 기획관)
        8. 통일 교육│통일원
        9. 문화유적지 답사 및 산업 시설 견학(구미, 경주, 온양, 울산, 포항 일원)

■ 1993년 7~8월│한국어 전문가 파견 및 재외 동포 한국어 교사 초청 연수

1. 파견 연수
가. 파견 지역 및 파견된 사람
    심양 │장경희(한양대 교수), 김희진(연구 1부 연구원)
    타슈켄트│서정목(서강대 교수, 연구 2부장), 김세중(연구 2부 연구원)
나. 파견 기간
    심양 │1993년 7월 16일(금)~8월 1일(일)
    타슈켄트│1993년 7월 9일(금)~7월 26일(월)
다. 연구 장소, 대상
    장소│ 심양시 조선족사범학교 타슈켄트 한국교육원
    대상│ 중국 요령성, 길림성, 흑룡강성 한국어 교사 및 한국어 교육 관계자 47명,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한국어 교사 40명

2. 초청 연수
가. 초청 교사 명단 및 재직처
● 중국 7명
    池光哲│중국 길림성 연길시 중국조선어문잡지사
    朴 花│중국 길림성 연길시 중앙소학교
    金東奎│중국 흑룡강성 아성시 조선족중학교
    朴泰秀│중국 흑룡강성 하얼빈시 민족교육처
    姜伍錦│중국 심양시 교육위원회 민족교육처
    南長春│중국 심양시 조선족제1중교
    黃大華│중국 북경시 중앙민족학원 민족일계조선어교연실
● 독립국가연합 7명
    김인자│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시 260학교
    김이리나│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시 복음내학교
    전영희│러시아 사할린주 유주노사할린스크 시 제9중학교
    홍신숙│러시아 사할린주 돌린스크 시 제1중학교
    권리지야│러시아 모스크바 시 다민족학교
    유가이│카자흐스탄 알마티 시 아바이국립대학교 한국어과
    여영호│모스크바 한국학교
나. 초청 기간: 1993년 8월 15일(일)~9월 1일(수)
다. 연수 장소, 내용 및 담당자
    장소│ 서울대 호암교수회관(8월 15일~8월 29일)
        통일원 통일연구원(8월 30일~8월 31일)
라. 연수 내용 및 담당자
    1. 우리말과 글의 역사│이기문(서울대 교수), 안병희(서울대 교수, 원장)
    2. 한국의 고전 시가│정연찬(서강대 교수)
    3. 어문 규범│이익섭(서울대 교수), 이광호(정신문화연구원 교수), 송철의(단국대 교수), 윤용선(연구 1부 연구원), 김세중(연구 2부 연구원)
    4. 남북한 어문 규범 비교 해설│권인한(연구 2부 연구원), 허철구(연구 2부 연구원)
    5. 국어 문법의 기초│고영근(서울대 교수), 채완(동덕여대 교수), 박양규(성균관대 교수, 연구 1부장), 임홍빈(서울대 교수)
    6. 우리말의 예절│이응백(서울대 명예교수), 서정목(서강대 교수, 연구 2부장)
    7. 통일 교육│통일연수원
    8. 문화 유적지 답사 및 산업 시설 견학(구미, 포항, 경주, 대전, 천안)

■ 1994년 7~8월│한국어 전문가 파견 및 재외 동포 한국어 교사 초청 연수

1. 파견 연수
가. 파견 지역 및 파견자
    중국 연길 │이익섭(서울대 교수), 조남호(학예연구사)
    중국 하얼빈 │김동식(한신대 교수), 허철구(학예연구사)
    카자흐스탄 알마티 │곽충구(동덕여대 교수), 김정우(학예연구사)
    러시아 사할린 │서정목(서강대 교수, 어문실태연구부장),
    전수태(어문실태연구부 연구관)
나. 파견 기간
    중국 연길 │1994년 7월 8일~7월 24일
    중국 하얼빈 │1994년 7월 8일~7월 24일
    카자흐스탄 알마티 │1994년 7월 8일~7월 26일
    러시아 사할린 │1994년 7월 12일~7월 26일
다. 파견 연수 대상, 장소
    중국 연길 │연길시 한국어 교사 및 한국어 교육 관계자 33명(연길시 제2고급중학교)
    중국 하얼빈 │ 조선족소학교 조선어 교사 및 타과목 교사 87명(하얼빈시 省敎育學院)
        조선일중 교사 및 소학교 교사 70여 명(하얼빈시 조선일중)
        오상시 중학교 교사 80여 명(오상시 조선족 고급중학교)
        (현지 사정상 3차례의 강연을 함)
    카자흐스탄 알마티│동포 교사, 동포 대학생 등 39명(알마티 한국교육원 강의실)
    러시아 사할린 │동포 교사 및 한국어 교육 관계자 50명(사할린 한국교육원 강의실)

2. 초청 연수
가. 초청된 사람
● 중국 7명
    尹赫敎│동북삼성 조선어문판공실 주임
    李紅梅│연변전시대(TV) 문예부 기자
    崔英蘭│단동시 조선족중학소학부 교원
    徐盛敎│요령성 민족연구소 직원
    朴蓮玉│흑룡강성 민족연구소 자료실 주임
    鄭學文│흑룡강성 조선어 광파전대 파음부 부장
    金春仙│북경 중앙민족대학 민어일계 강사
● 독립국가연합 9명
    박갈리나│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한국교육원 교원
    장에밀리아│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주59학교 교사
    강영자│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266학교 교사
    김석호│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49학교 교사
    최미옥│카자흐스탄 알마티 한국교육원 교사
    한칠리타│카자흐스탄 우스토베 시 고리끼 중학교 교사
    신태예│러시아 사할린 네벨스크 4학교 교사
    남영자│러시아 사할린 유주노사할린스크 시 9중학교 교사
    전마이나│러시아 모스크바 1086학교 교사
나. 초청 기간: 1994년 8월 7일~8월 21일
다. 연수 장소, 내용 및 담당자
    장소│서울시 평창동 소재 북악파크호텔
라. 연수 내용 및 담당자
    1. 우리말과 글의 역사│안병희(서울대 교수, 원장), 정연찬(서강대 교수), 강신항(성균관대 교수)
    2. 어문 규범│이익섭(서울대 교수), 임홍빈(서울대 교수), 이현희(서울대 교수), 김세중(어문실태연구부)
    3. 국어 문법의 기초│박양규(성균관대 교수, 부장), 한재영(울산대 교수), 윤용선(어문규범연구부), 정호성(어문실태연구부)
    4. 언어 예절│서정목(서강대 교수, 부장), 장소원(방송통신대 교수)
    5. 남북한 어휘의 비교│허철구(어문실태연구부)
    6. 국어의 발음│송철의(단국대 교수)
    7. 국어의 방언│최명옥(서울대 교수)
    8. 문화 유적지 답사 및 산업체 견학 (구미, 포항, 경주, 울산, 부산)

■ 1994년 10월│안병희 원장 타슈켄트 및 북경 방문
    안병희 원장은 1994년 10일 13일부터 10월 23일까지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의 한국어 교육 실태 조사와 중국과의 한··일 한자 표준화 사업 추진 방향을 협의하기 위하여 타슈켄트와 북경을 방문하고 돌아 왔다.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한국어 교육 실태 조사
 -. 기간 │1994. 10. 13. (목)~10. 19. (수)
 -. 장소 │타슈켄트 일대
 -. 대상 │한국어 관련 기관(대사관, 교육원, 연수원, 학교 등) 방문·교민 접촉
 -. 조사자 │안병희(국립국어연구원장), 김장실(문화정책국 어문과장)
 -. 활동 내용
    1. 한국어 교육기관(한글학교) 현황 조사
        교육내용, 기간, 교재 등 파악
        학교수, 교원수, 학생수 조사
    2. 동족 집단거주지 방문, 동포사회의 한국어 사용 실태 조사 및 언어 채록
    3. 우즈베키스탄 교육부 차관 등 관계 기관 방문, 협조 당부

■ 1995년 7~8월│한국어 전문가 국외 파견 및 재외 동포 한국어 교사 초청 연수

1. 파견 연수
가. 파견 내역
    중국 길림성│1995년 7월 16일(일) - 7월 30일(일)
    홍윤표(단국대 교수), 허철구(학예연구사)
    중국 흑룡강성│1995년 7월 16일(일) - 7월 30일(일)
    최규일(부장, 제주대 교수), 김세중(학예연구관)
    중국 요령성│1995년 7월 16일(일) - 7월 30일(일)
    고영근(서울대 교수), 임동훈(학예연구사)
    러시아 사할린│1995년 7월 12일(수) - 7월 26일(수)
    채완(동덕여대 교수), 강인선(학예연구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1995년 6월 28일(수) - 7월 11일(화)
    이등룡(성균관대 교수), 정호성(학예연구사)
나. 파견 연수 대상, 장소
라. 연수 대상, 장소
    1. 중국 길림성│소학교 교원 60여명(용정시 용정실험소학교)
    2. 중국 흑룡강성│동포 교원 60여명(목단강시 조선족중학교) 동포 교원 60여명(海林시 조선족소학교) 동포 교원 70여명(尙志 조선족중학교) 동포 교원 40여명(河東 조선족향)
    3. 중국 요령성│랴오닝(遼寧)성 시골 출신 동포 교원 약 30명(瀋陽市 省少數民族干部培訓中心)
    4. 러시아 사할린│동포 교사 약 30명(사할린 한국교육원)
    5.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동포 교사, 한국교육원 수강생 약 60여명 (타슈켄트 한국교육원)

2. 초청 연수
가. 초청된 사람
● 중국 7명
    金現宇(남)│延邊 敎育學院 敎員
    金京岩(남)│東北三省 朝鮮文敎材製作辦公室 主任
    朴泰衡(남)│延邊大學 朝文系 副敎授
    金正烈(남)│黑龍江省 哈爾濱市 省敎育學院 民族敎硏部 敎員
    朴 一(남)│黑龍江 新聞社 駐佳木斯市 記者站 站長
    張賢煥(남)│遼寧省 民族事務委員會 主任
    白光律(남)│遼寧省 朝鮮語文工作指導小組 辦公室 主任
● 독립국가연합 7명
    윤류보비(여)│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한국어교사
    최지나이다(여)│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주 치르치크 시 교육처 부교육감
    강군자(여)│카자흐스탄 침켄트 시 한글학교 교사
    김게라(여)│카자흐스탄 과학아카데미 연구원
    김순희(여)│사할린 사범대 한국어과 교수
    이순자(여)│유주노사할린스크 시 제9학교 교사
    김류드밀라(여)│모스크바 러시아 한인학교 교사(제1,086학교)
나. 초청 기간│1995년 8월 9일~8월 23일
다. 연수 장소, 내용 및 담당자
    장소│서울시 평창동 북악파크호텔
라. 연수 내용 및 담당자
    중국 동포들이 독립국가연합 동포들보다 한국어 구사능력이 뛰어나고, 또한 한국어 강의 내용에 대한 관심사도 서로 다르기 때문에 양 지역의 동포들을 분반해서 수업을 진행하였음. 그러나 공통 과목에 대하여는 합반하였음(중국 동포: 어문 규범 중심, 독립국가연합 동포: 문법 중심).
    1. 우리말과 글의 역사│송민(원장, 국민대 교수), 정연찬(서강대 교수), 안병희(서울대 교수)
    2. 어문 규범│서종학(부장, 영남대 교수), 이현희(서울대 교수), 김세중(어문실태연구부)
    3. 남북한 어문 규범과 어휘의 비교│권인한(어문실태연구부), 허철구(어문실태연구부)
    4. 국어 문법│박양규(성균관대 교수), 윤용선(어문규범연구부), 정호성(어문실태연구부)
    5. 언어 예절│서정목(서강대 교수), 장소원(방송통신대 교수)
    6. 국어의 방언│최명옥(서울대 교수)
    7. 한국어의 이해│최규일(부장, 제주대 교수)
    8. 문화 유적지 답사 산업체 견학│경주 일원, 현충사, 세종대왕릉, 포항제철, 울산 현대자동차, 기흥 삼성전자

■ 1996년 6~8월│한국어 전문가 국외 파견과 재외 동포 한국어 교사 초청 연수

1. 파견 연수
가. 파견 내역
    러시아 모스크바│1996년 6월 26일~7월 7일
    송민(원장, 국민대 교수), 정희원(학예연구사)
    카자흐스탄 알마티│1996년 7월 4일~7월 17일
    김광해(서울대 교수), 전수태(학예연구관)
    중국 길림성│1996년 7월 14일~7월 27일
    권재일(서울대 교수), 최용기(연구관)
    중국 흑룡강성│1996년 7월 14일~7월 27일
    박창원(이화여대 교수), 조남호(학예연구사)
    중국 요령성│1996년 7월 14일~7월 27일
    한재영(한신대 교수), 정호성(학예연구사)
나. 파견 연수 대상, 장소
    러시아 모스크바│30명(모스크바 한국 공보원)
    카자흐스탄 알마티│60명(알마티 한국교육원)
    중국 길림성│73명(길림시 조선족 중학교)
    중국 흑룡강성│21명(하얼빈시 조선족 중학교), 45명(하얼빈시 도리소학교)
    중국 요령성│40명(요령성 조선족 사범학교), 60명(가목사시 교육학원)

2. 초청 연수
가. 초청된 사람
● 중국 6명
    이학수(남)│동북삼성 조선어문공작협작소조판공실 주임
    최명룡(남)│길림성 민위 소어판공실 조조원
    전용화(남)│길림성 민위 연변대학 조문계 교사
    김기주(남)│흑룡강성 민위 소어판공실 부주임
    이봉집(남)│흑룡강성 하얼빈 시 교육학원 민족교연 진수부 교연실주임
    문옥녀(여)│요령성 민위 조선어문판공실 주임
● 독립국가연합 7명
    백소야(여)│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시 제257학교 교원
    김루드밀라(여)│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시 제44학교 교원
    윤알라(여)│카자흐스탄 침켄트 시 제52호 유치원 교사
    전넬리(여)│카자흐스탄 탈디구르간 시 제14중학교 교사
    김순자(여)│러시아 사할린 유주노사할린스크 시 제9학교 교사
    박승의(남)│러시아 사할린 유주노사할린스크 시 국립사범대학 교수
    이선자(여)│러시아 모스크바대학교 교수
나. 초청 기간│1996년 8월 13일-8월 27일
다. 연수 장소, 내용, 담당자
    장소│서울 북악파크호텔
라. 연수 내용, 담당자
    1. 우리말과 글의 역사│송민(원장, 국민대 교수), 안병희(서울대 교수), 이광호(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교수)
    2. 어문 규범│전수태(학예연구관), 허철구(학예연구사)
    3. 남북한 어문 규범과 어휘의 비교│서종학(부장, 영남대 교수), 김세중(학예연구관), 정희원(학예연구사)
    4. 국어 문법│박양규(성균관대 교수), 정호성(학예연구사)
    5. 언어 예절│서정목(서강대 교수), 채완(동덕여대 교수)
    6. 한국어의 이해│최규일(부장, 제주대 교수)
    7. 언어와 문학│김성규(경기대 교수)
    8. 문화 유적지 답사·산업 시설 견학│경주 일원, 포항제철, 울산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 1997년 7~8월│한국어 전문가 국외 파견과 재외 동포 한국어 교사 초청 연수

1. 파견 연수
가. 파견 내역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1997년 7월 1일 ~ 7월 15일
    서태룡(동국대 교수), 임동훈(학예연구사)
    러시아 사할린│1997년 7월 2일 ~ 7월 16일
    강정희(한남대 교수), 김옥순(학예연구관)
    카자흐스탄 알마티│1997년 7월 17일 ~ 7월 30일
    김창섭(이화여대 교수), 양명희(학예연구사)
    중국 길림성 장춘│1997년 7월 14일 ~ 7월 28일
    이승재(어문실태연구부장, 가톨릭대 교수), 김세중(학예연구관)
    중국 요령성 심양│1997년 7월 13일 ~1997년 7월 28일
    송철의(서울대 교수), 이승재(학예연구사)
나. 파견 연수 대상, 장소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타슈켄트 한국교육원(59명)
    러시아 사할린│사할린 한국교육원(40명)
    카자흐스탄 알마티│알마티 한국교육원(50명)
    중국 길림성 장춘│홍기소학(紅旗小學)(50명)
    중국 요령성 심양│조선족 제1중학교(35명)

2. 초청 연수
가. 초청된 사람
● 중국 6명
    김영수(남)│길림성 연변대학 인문학원 조선어계 교사
    양선옥(여)│길림성 영길현 교육국 부국장
    김성춘(남)│길림성 동북삼성조선어문공작협작소조판공실 부주임과원
    김해란(여)│흑룡강성 흑룡강신문사 시사부 주임
    최순자(여)│흑룡강성 목단강시 조선족소학 조선어 교사
    김도원(남)│요령성 심양시 교육연구실 민족교연부 주임
● 독립국가연합 7명
    문경자(여)│사할린 유주노사할린스크 시 제9학교 교사
    복장녀(여)│사할린 유주노사할린스크 시 국립사범대학교 교수
    이발렌친(남)│모스크바 국제대학교 한국어학부 부학장, 교수
    김넬리(여)│타슈켄트 주 폴리토젤 집단농장 제19학교 한국어 교사
    강안겔리나(여)│타슈켄트 시 센타 14, 돔-33 한국교육원 한국어 교사
    하알라(여)│카라간다 81번 슈콜라(교사), 고려문화중앙 교사
    이스베틀라나(여)│잠불 제13학교 한국어 교사
나. 초청 기간: 1997년 8월 13일(수) ~ 8월 27일(수)
다. 연수 장소, 내용, 담당자
    장소│북악파크호텔
라. 연수 내용, 담당자
    1. 우리말과 글의 역사│이익섭(원장, 서울대 교수), 이승재(부장, 가톨릭대 교수), 안병희(서울대 교수)
    2. 한국 문학│권영민 (서울대 교수), 김현자(이화여대 교수)
    3. 국어 문법│민현식(부장, 숙명여대 교수), 강정희(한남대 교수), 송철의(서울대 교수), 채완(동덕여대 교수)
    4. 남북한 어문 규범과 어휘의 비교│전수태(학예연구관), 정희원(학예연구사)
    5. 어문 규범│한재영(한신대 교수), 김창섭(이화여대 교수), 김희진(국립국어연구원 학예연구관), 임동훈(국립국어연구원 학예연구사)
    6. 언어 예절과 외래어│서정목(서강대 교수), 김세중(국립국어연구원 학예연구관)
    7. 문화유적지 답사·산업 시설 견학│경주 일원, 포항제철, 울산 현대자동차.

■ 1997년 8월│이익섭 원장, 미주 지역 초청 강의
    이익섭 원장은 1997년 8월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재미 한인학교 협의회(The National Association for Korean Schools) 제15차 정기 총회 및 학술대회에 초청을 받아 한국어 강의를 하고 돌아왔다.
 -. 파견 일정 │1997. 8. 6. ~1997. 8. 12.
 -. 장소 │미국 시카고의 O'Hare Marriott 호텔
 -. 파견자 │이익섭(원장, 서울대 교수), 채완(동덕여대 교수), 양명희(학예연구사), 임동훈(학예연구사)
 -. 대상 │미국 전역의 한글학교 교사 (400~500명)
 -. 강의 내용, 담당자
    한국의 언어- 이익섭(원장, 서울대 교수), 한국어 문법(조사, 어미)- 채완(동덕여대 교수)
    한국어의 경어법- 임동훈(학예연구사), 한국어 어문 규정(맞춤법)- 양명희(학예연구사)

■ 1998년 7~9월│한국어 전문가 국외 파견 및 동포 한국어 교사 초청 연수

1. 파견 연수
가. 파견 지역 및 파견된 사람
    러시아 모스크바 │이익섭(서울대 교수, 원장), 박민규(연구관)
    러시아 사할린 │민현식(숙명여대 교수, 부장), 김희진(학예연구관)
    카자흐스탄 알마티│임홍빈(서울대 교수), 이현우(학예연구관)
나. 기간
    러시아 모스크바 │1998년 7월 5일(일)~12일(일)
    러시아 사할린 │1998년 7월 8일(수)~15일(수)
    카자흐스탄 알마티│1998년 7월 10일(금)~18일(토)

2. 초청 연수
가. 초청 지역 및 초청된 사람
    중국 요령성 │이성직(단동시 민족사무위원회), 이송자(심양시 조선족 제6중학 조선어문 교원)
    러시아 모스크바 │김엘리자베타(모스크바 제1086학교 한국어 교사)
    러시아 사할린 │김기자(동양리쩨이 한국어 교사), 이선자(유주노사할린스크 사범대 한국어과 교수)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최훌로리다(극동대학교 한국어과 강사), 송지나(극동대학교 한국어과 교수)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김엘사(제6학교 한국어 교사), 안넬라(제209학교 한국어 교사)
    카자흐스탄 알마티 │서가이미샤(레니고르스크음악학교 교장 및 한글학교 교사), 안마리나(아티라우석유대학 강사)
나. 연수 기간│1998년 8월 26일(수)~9월 9일(수)
다. 연수 장소│북악파크호텔(평창동 소재)
라. 연수 활동
  -. 강의
    1. 우리말과 우리글│이익섭(원장)
    2. 국어의 역사│이승재(어문실태연구부장)
    3. 국어의 문법│임홍빈(서울대 교수)
    4. 국어의 발음│송철의(서울대 교수)
    5. 한글 맞춤법│임동훈(학예연구사)
    6. 국어의 외래어│김세중(학예연구관)
    7. 한국의 시가│김현자(이화여대 교수)
    8. 한국문학의 발달│권영민(서울대 교수)
    9. 국어의 교수법│민현식(어문규범연구부장)
    10. 언어 예절│허철구(학예연구관)
 -. 학교 방문
    상명대부속초등학교 5학년 국어 수업 참관 및 교사들과의 좌담회
 -. 산업 연수 및 문화재 답사
    포항제철, 독립기념관, 한국민속촌 방문 및 경주 답사

■ 1998년 8월│재미 한인학교협의회 학술 대회 강의
    김세중 학예연구관은 1998년 8월 13일부터 15일까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된 재미 한인학교협의회 제 16차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에 참가하여 한국어 강의를 하고 돌아왔다.
    장소 │미국 애틀랜타 에어포트매리엇 호텔
    강의 대상│미국 전역의 한글학교 교사(300명)
    강의 내용│한글 맞춤법, 국어 문법(국어의 조사와 어미)

■ 1998년 12월│한국어 전문가 국외 파견
    파견 지역│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파견자 │이광호(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교수), 전수태(국립국어연구원 학예연구관)
    기간 │1998년 12월 2일(수)~12월 9일(수)
    활동 내용│현지의 동포 한국어 교사들을 비롯한 한국어 교육 및 보급 관련 종사자 100여 명을 대상으로 어문 규범, 국어 문법, 경어법, 언어 예절, 남북한의 언어 차이 등을 교육하고 현지의 한국어 사용 실태를 조사함.

■ 1999년 7월│심재기 원장, 재미 한인학교 협의회 초청 강의
    심재기 원장은 1999년 7월 미국 댈러스 시에서 개최된 재미 한인학교 협의회(NAKS:the National Association for Korean Schools, 회장: 방정웅)의 제17차 학술 대회 및 정기 총회에 참가하여, 현지 한국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국어 관련 내용을 강의하였다.
    파견 일정│1999년 7월 29일~7월 31일
    장소 │미국 텍사스 주 댈러스 시 하비 호텔
    파견자 │심재기(원장, 서울대 교수), 허철구(학예연구관), 정희원(학예연구사)
    대상 │미국 전역의 한글학교 교사(500여 명)
    주제 │"한국 고유의 창조성 재발견"
 -. 강의 내용, 담당자
    1. 주제 강연│한글 창제의 민족문화사적 의미(심재기 원장)
    2. 분반 강의│한국어 문법(허철구 학예연구관, 2회), 한글 맞춤법 및 외래어 표기법(정희원 학예연구사, 2회)

■ 1999년 6~7월│재외 동포 한국어 교사 초청 연수

1. 파견 연수
가. 파견 지역 및 파견된 사람
    러시아 하바로프스크 │유동석(부산대 교수), 정희창(학예연구사)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강인선(성공회대 교수), 최혜원(학예연구사)
    중국 흑룡강성 하얼빈 │이남순(홍익대 교수), 최용기(연구관)
    중국 요령성 심양 │조항범(충북대 교수, 어문실태연구부장), 박용찬(학예연구사)
나. 기간
    러시아 하바로프스크 │1999년 6월 29일(화)~7월 6일(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1999년 6월 29일(화)~7월 6일(화)
    중국 흑룡강성 하얼빈 │1999년 7월 1일(목)~7월 8일(목)
    중국 요령성 심양 │1999년 7월 18일(일)~7월 25일(일)

2. 초청 연수
가. 초청 지역 및 초청된 사람(5개국 14명)
    중국 요령성 │김은식(요령성 안산시 민족사무위원회 처장), 장문철(요령성 봉성시 조선족중학 조선어 교원)
    중국 흑룡강성 │성광철(목단강시 민족사무위원회 문교과장), 김봉자(목단강시 교육학원 민족교연부 조선어문교학 연구원)
    러시아 모스크바 │인알렉산드르(모스크바 국립대 교수)
    러시아 사할린 │허남훈(토마리 제2학교 한국어 교사)
    러시아 하바로프스크 │안복자(하바로프스크 4호학교 한국어 교사), 윤영주(캄차카 국립대 교수)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고이리나(한국교육원 한국어 강사), 이영옥(극동대학교 한국어 강사)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이옥산나(나망간 주 제14학교 한국어 교사), 차스베틀라나(치르치크 시 제11학교 한국어 교사)
    카자흐스탄 알마티 │윤알렉산드라(비슈케크 한글학교 한국어 교사)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김타치야나(카라발다 한글학교 한국어 교사)
나. 연수 기간│1999년 8월 25일(수)~9월 8일(수)
다. 연수 장소│북악파크호텔(평창동 소재)
라. 연수 활동
 -. 강의
    1. 우리말과 우리글│심재기(원장)
    2. 국어의 역사│조항범(어문실태연구부장)
    3. 국어의 어휘│김광해(어문규범연구부장)
    4. 국어 문법 1│박용찬(학예연구사)
    5. 국어 문법 2│정희창(학예연구사)
    6. 한글 맞춤법│정희원(학예연구사)
    7. 표준 발음법│최혜원(학예연구사)
    8. 서울말의 발음│이계진(방송인)
    9. 한국의 문학│조남현(서울대 교수)
    10. 국어의 외래어│김세중(어문자료연구부장)
    11. 언어 예절│김희진(학예연구관)
 -. 현장 학습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의 초··고급반 수업 참관 및 교사들과 토론
 -. 연수 및 문화재 답사
    독립기념관, 한국민속촌, 현대자동차 견학 및 경주 답사

■ 2000년 6~9월│한국어 전문가 파견 및 동포 한국어 교사 초청 연수

1. 한국어 전문가 파견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신현숙(상명대 교수)
(2000. 6. 16.~6. 23.) 김옥순(학예연구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서종학(영남대 교수)
(2000. 7. 1.~7. 8.) 이승재(학예연구사)
카자흐스탄 알마티 조항범(충북대 교수, 부장)
(2000. 7. 4.~7. 17.) 허철구(학예연구관)
러시아 사할린 김광해(서울대 교수, 부장), 이준석(학예연구사)
(2000. 7. 5.~7. 12.) 맹영재(문화관광부 국어정책과 행정사무관)
중국 요령성 단동 장소원(방송대 교수)
(2000. 7. 18.~7. 25.) 정희원(학예연구관)
러시아 모스크바 심재기(서울대 교수, 원장)
(2000. 11. 20.~11. 27.) 김세중(부장)

2. 동포 한국어 교사 초청 연수
가. 초청 지역 및 초청된 사람(5개국 14명)
● 중국
    문종철(남)│요령성 단동시 민족사무위원회 조선어문판공실
    한치민(남)│요령성 무순시 조선족 제일중학 조선어문 교사
    노귀자(여)│흑룡강성 민족간부학원 조선어문교사(부교수)
● 러시아
    최인나(여)│상트 페테르부르그대학 동양학부 한국어문학과 전임
    황은순(여)│사할린 크라스노고르스크 시 제2학교 한국어 교사
    이삼자(여)│사할린 노글리키시 21 김나지야 한국어 교사
    최이리나(여)│우수리스크 3번학교 한국어 교사
    이나제스타(여)│우수리스크사범대학 5학년, 공립학교 한글교사
    이잔나(여)│하바로프스크 동양상업대 한국어 강사
    이라리사(여)│하바로프스크 188호 유치원 한국어 교사
● 우즈베키스탄
    이류보비(여)│타슈켄트 제59학교 한국어 교사
    이스베틀라나(여)│타슈켄트 제16학교 한국어 교사
● 카자흐스탄
    황스베틀라나(여)│침켄트주 사리아가치 한글학교 교사
● 키르기스스탄
    최리타(여)│카라발다 제1학교 한국어 교사
나. 연수 기간│2000년 8월 23일(수)~9월 6일(수)
다. 연수 장소│북악 파크호텔(서울시 종로구 평창동 소재)
라. 연수 내용
 -. 강의
    1. 우리말과 우리글│심재기(원장)
    2. 국어의 역사│조항범(어문실태연구부장)
    3.국어의 어휘│김광해(어문규범연구부장)
    4. 국어 문법 1│박용찬(학예연구사)
    5. 국어 문법 2│정희창(학예연구사)
    6. 국어 문법 3│정호성(학예연구사)
    7. 표준 발음법│최혜원(학예연구사)
    8. 한국의 문학│조남현(서울대 교수)
    9. 서울말의 발음│이계진(KBS 아나운서)
    10. 한국어 어문 규정│정희원(학예연구관)
    11. 언어 예절│허철구(학예연구관)
    12. 국어의 외래어│김세중(어문자료연구부장)
 -. 현장 학습
    안산초등학교(서울시 서대문구 소재) 2~4학년 수업 참관 및 학교 시설 견학, 교장, 교감과 토론
    청주 충북대학교 국제교육센터 및 교육 시설, 박물관 등 견학
 -. 산업 연수 및 문화재 답사
    천안 독립기념관, 청주 고인쇄박물관, 울산 현대자동차 견학 및 서울 남산, 창덕궁, 경주 일원 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