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립국어원 20년사

성과

국어 정보화한글 문화유산 디지털화

국어 문화유산은 보존해야 하는 것이지만 직접 향유해야 할 문화적인 자산이기도 하다. 한글로 간행된 문헌을 현대어로 번역하고 해설하는 일은 유서 깊은 문화유산을 오늘날에 되살려 진정한 가치를 느낄 수 있도록 해 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에 2003년부터 ‘한글 100대 문화유산’을 선정하여 현대어로 번역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08년까지 모두 25권의 역주 및 현대어 번역 사업이 이루어져서 국어 문화유산을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다.

[표 5-2] 100대 한글 문화유산
[표 5-2] 100대 한글 문화유산
번호 문헌명 분류 출판
1 훈민정음(해례본, 언해본) 문자, 언어 2003년
2 동국정운 문자, 언어
3 홍무정운역훈 문자, 언어 2005년
4 사성통해 문자, 언어
5 천자문(광주판천자문, 석봉천자문) 문자, 언어
6 유합(신증유합, 유합) 문자, 언어
7 훈몽자회 문자, 언어
8 국문연구의정안 문자, 언어 2004년
9 이문대사 문자, 언어
10 국어문법(조선어문법) 문자, 언어
11 규장전운(전운옥편) 문자, 언어 2006년
12 국한회어 문자, 언어
13 재물보(물보, 물명고) 문자, 언어
14 소학언해(번역소학, 소학언해) 유학서(경서언해)
15 논어언해 유학서(경서언해)
16 맹자언해 유학서(경서언해)
17 시경언해 유학서(경서언해)
18 서전언해 유학서(경서언해)
19 주역언해 유학서(경서언해)
20 삼강행실도(삼강행실도언해, 속삼강행실도) 유학서(경서언해) 2003년
21 이륜행실도 유학서(경서언해) 2006년
22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유학서(경서언해)
23 오륜행실도 유학서(경서언해)
24 내훈(내훈, 어제내훈) 유학서(경서언해)
25 여씨향약언해 유학서(경서언해) 2004년
26 경민편 유학서(경서언해)
27 가례언해 유학서(경서언해)
28 석보상절 불가서(불경언해)
29 월인석보 불가서(불경언해)
30 능엄경언해(활자본, 목판본) 불가서(불경언해)
31 아미타경언해(활자본, 목판본) 불가서(불경언해)
32 몽산법어언해 불가서(불경언해) 2006년
33 법화경언해 불가서(불경언해)
34 금강경언해 불가서(불경언해) 2005년
35 원각경언해 불가서(불경언해)
36 금강경삼가해 불가서(불경언해)
37 남명집언해 불가서(불경언해)
38 육조법보단경언해 불가서(불경언해)
39 초발심자경문언해 불가서(불경언해) 2004년
40 오대진언(한글판 및 영험약초포함) 불가서(불경언해)
41 상원사중창권선문 불가서(불경언해)
42 은중경언해 불가서(불경언해) 2003년
43 성경직해 천주교, 기독교
44 예수성교전서 천주교, 기독교
45 번역노걸대(노걸대언해) 역학서 2005년
46 번역박통사(박통사언해) 역학서
47 역어유해 역학서
48 한청문감 역학서
49 몽어노걸대 역학서
50 삼역총해 역학서
51 몽어유해 역학서
52 청어노걸대 역학서
53 동문유해 역학서
54 첩해신어(개수본, 중간본) 역학서
55 오륜전비언해 역학서
56 구급방 기술서
57 구급간이방 기술서
58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기술서
59 구황촬요 기술서
60 무예도보통지언해 기술서
61 마경초집언해 기술서
62 병학지남 기술서
63 규합총서 기술서 2006년
64 증수무원록언해 기술서
65 용비어천가 문학서(운문)
66 월인천강지곡 문학서(운문)
67 두시언해(중간두시언해) 문학서(운문)
68 시용향약보 문학서(운문)
69 악학궤범 문학서(운문)
70 악장가사 문학서(운문)
71 청구영언 문학서(운문) 2006년
72 해동가요 문학서(운문)
73 가곡원류 문학서(운문)
74 송강가사 문학서(운문) 2005년
75 고산유고 문학서(운문)
76 연행가 문학서(운문) 2004년
77 일동장유가 문학서(운문)
78 한양가 문학서(운문) 2006년
79 용담유사 문학서(운문)
80 춘향전 문학서(산문) 2005년
81 흥부전 문학서(산문)
82 심청전 문학서(산문)
83 구운몽 문학서(산문) 2006년
84 홍길동전 문학서(산문)
85 한중록 문학서(산문)
86 의유당관북유람일기 문학서(산문) 2006년
87 혈의누 문학서(산문)
88 명주보월빙 문학서(산문)
89 낙성비룡 문학서(산문)
90 선조국문유서 생활사 자료
91 독립서고문 생활사 자료
92 윤음언해 생활사 자료
93 조선시대 한글편지 생활사 자료
94 정미가례시일기 생활사 자료
95 서유견문 신식 간행물
96 독립신문 신식 간행물
97 관보 신식 간행물
98 월인석보판목(갑사 소장) 인쇄 자료
99 경서언해책판(서울대 규장각 소장) 인쇄 자료
100 역학서책판(고려대 소장) 인쇄 자료

한편, 이러한 문화유산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는 “훈민정음” 등 주요 문헌을 번역하여 보급하고 시대별 우리말 자료를 구축하는 사업도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훈민정음 해례본”을 영어, 중국어, 몽골어, 베트남어, 러시아어로 번역하여 출판하였으며, 15세기 목판본인 용비어천가를 판각 복원하여 여러 사람들이 원본에 가까운 옛 문헌을 볼 수 있게 하였다. 옛 문헌의 역주 역시 국어 문화유산 보전의 한 방법으로 “언문지”, “자학”, “마경초집언해”, “구황촬요”, “내훈” 등이 역주, 번역되었다.
이와 함께 ‘한글’의 디자인을 활용한 한글의 산업화에도 힘을 기울여 한글을 이용한 디자인의 문화 콘텐츠를 개발하여 생활화, 세계화하기 위한 사업을 전개하였다. 특히 한글을 이용한 디자인과 관련 전시회 등에 사회적인 관심이 적지 않았다.

훈민정음
[그림 5-6] 훈민정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