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제25항의미가 똑같은 형태가 몇 가지 있을 경우, 그중 어느 하나가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면, 그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예시
비고
-게끔 -게시리  
겸사-겸사 겸지-겸지/겸두-겸두  
고구마 참-감자  
고치다 낫우다 병을 ~.
골목-쟁이 골목-자기  
광주리 광우리  
괴통 호구 자루를 박는 부분.
국-물 멀-국/말-국  
군-표 군용-어음  
길-잡이 길-앞잡이 ‘길라잡이’도 표준어임.
까치-발 까치-다리 선반 따위를 받치는 물건.
꼬창-모 말뚝-모 꼬챙이로 구멍을 뚫으면서 심는 모.
나룻-배 나루 ‘나루[津]’는 표준어임.
납-도리 민-도리  
농-지거리 기롱-지거리 다른 의미의 ‘기롱지거리’는 표준어임.
다사-스럽다 다사-하다 간섭을 잘하다.
다오 다구 이리 ~.
담배-꽁초 담배-꼬투리/담배-꽁치/담배-꽁추  
담배-설대 대-설대  
대장-일 성냥-일  
뒤져-내다 뒤어-내다  
뒤통수-치다 뒤꼭지-치다  
등-나무 등-칡  
등-때기 등-떠리 ‘등’의 낮은말.
등잔-걸이 등경-걸이  
떡-보 떡-충이  
똑딱-단추 딸꼭-단추  
매-만지다 우미다  
먼-발치 먼-발치기  
며느리-발톱 뒷-발톱  
명주-붙이 주-사니  
목-메다 목-맺히다  
밀짚-모자 보릿짚-모자  
바가지 열-바가지/열-박  
바람-꼭지 바람-고다리 튜브의 바람을 넣는 구멍에 붙은, 쇠로 만든 꼭지.
반-나절 나절-가웃  
반두 독대 그물의 한 가지.
버젓-이 뉘연-히  
본-받다 법-받다  
부각 다시마-자반  
부끄러워-하다 부끄리다  
부스러기 부스럭지  
부지깽이 부지팽이  
부항-단지 부항-항아리 부스럼에서 피고름을 빨아내기 위하여 부항을 붙이는 데 쓰는, 자그마한 단지.
붉으락-푸르락 푸르락-붉으락  
비켜-덩이 옆-사리미 김맬 때에 흙덩이를 옆으로 빼내는 일, 또는 그 흙덩이.
빙충-이 빙충-맞이 작은말은 ‘뱅충이’.
빠-뜨리다 빠-치다 ‘빠트리다’도 표준어임.
뻣뻣-하다 왜긋다  
뽐-내다 느물다  
사로-잠그다 사로-채우다 자물쇠나 빗장 따위를 반 정도만 걸어 놓다.
살-풀이 살-막이  
상투-쟁이 상투-꼬부랑이 상투 튼 이를 놀리는 말.
새앙-손이 생강-손이  
샛-별 새벽-별  
선-머슴 풋-머슴  
섭섭-하다 애운-하다  
속-말 속-소리 국악 용어 ‘속소리’는 표준어임.
손목-시계 팔목-시계/팔뚝-시계  
손-수레 손-구루마 ‘구루마’는 일본어임.
쇠-고랑 고랑-쇠  
수도-꼭지 수도-고동  
숙성-하다 숙-지다  
순대 골-집  
술-고래 술-꾸러기/술-부대/술-보/술-푸대  
식은-땀 찬-땀   
신기-롭다 신기-스럽다 ‘신기-하다’도 표준어임.
쌍동-밤 쪽-밤  
쏜살-같이 쏜살-로  
아주 영판  
안-걸이 안-낚시 씨름 용어.
안다미-씌우다 안다미-시키다 제가 담당할 책임을 남에게 넘기다.
안쓰럽다 안-슬프다  
안절부절-못하다 안절부절-하다  
앉은뱅이-저울 앉은-저울  
알-사탕 구슬-사탕  
암-내 곁땀-내  
앞-지르다 따라-먹다  
애-벌레 어린-벌레  
얕은-꾀 물탄-꾀  
언뜻 펀뜻  
언제나 노다지  
얼룩-말 워라-말  
열심-히 열심-으로  
입-담 말-담  
자배기 너벅지  
전봇-대 전선-대  
쥐락-펴락 펴락-쥐락  
-지만 -지만서도 ←-지마는.
짓고-땡 지어-땡/짓고-땡이  
짧은-작 짜른-작  
찹-쌀 이-찹쌀  
청대-콩 푸른-콩  
칡-범 갈-범  
해설 제17항에서와 같은 정신으로 단수 표준어를 규정한 것이다. 즉,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는 것이 국어를 풍부하게 하기보다는 혼란을 야기한다는 판단에서 어느 한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은 것이다. 가령 ‘참감자’를 ‘고구마’와 병용시키는 일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보아 버리고 ‘고구마’만 살린 것이 그 일례이다. 제17항은 발음상으로 기원을 같이하는 단어였음에 반해 여기에서 다루어진 단어들은 ‘고구마’와 ‘참감자’의 관계처럼 어원을 달리하는 단어들이다.
  1. ‘-게끔/-게시리’의 ‘-게시리’는 꽤 많이 쓰이는 편이나 역시 방언 냄새가 짙다고 판단되어 표준어에서 버렸다. 더구나 이들과 같은 의미의 어미로 ‘-도록’이 널리 쓰이고 있어 ‘-게끔’ 하나만 추가하는 것으로 족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2. ‘고치다/낫우다’의 ‘낫우다’는 일부 방언에서만 쓰이고 서울에서는 전혀 쓰이지 않아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았다.
  3. ‘다오/다구’는 어감의 차이를 동반하면서 다 쓰일 수도 있을 법하나 역시 ‘다오’가 정상적인 단어로 인정되어 ‘다구’는 버렸다.
  4. ‘등나무/등칡’의 ‘등칡’은 ‘등나무’의 뜻으로는 버리나 ‘쥐방울과에 속하는 갈잎덩굴나무’의 뜻으로 표준어다.
  5. ‘반나절/나절가웃’의 ‘나절가웃’은 ‘반나절’의 뜻으로는 버리나 ‘하루의 3/4’이라는 뜻으로는 표준어로 두었다.
  6. ‘붉으락푸르락/푸르락붉으락’은 두 개가 다 인정될 법도 하나 ‘오락가락’이나 ‘들락날락’이 ‘가락오락’이나 ‘날락들락’이 되지 못하듯이 이 종류의 합성어에는 일정한 어순(語順)이 있는 까닭에 더 널리 쓰이는 ‘붉으락푸르락’만 표준어로 삼은 것이다. ‘쥐락펴락/펴락쥐락’의 경우 전자만을 표준어로 삼은 것도 마찬가지다.
  7. ‘안절부절못하다/안절부절하다’의 ‘안절부절하다’는 부정사(不定辭)를 빼고 쓰면서도 의미는 반대가 되지 않고 부정사가 있는 ‘안절부절못하다’와 같은 의미로 쓰이는 특이한 용법인데, 오용(誤用)으로 판단되어 표준어로 인정하지 않은 것이다.

  8. ‘-지만/-지만서도’의 ‘-지만서도’도 ‘-게시리’와 마찬가지로 꽤 널리 쓰이는 편이나 방언 냄새가 짙다 하여 표준어에서 제거하였다.
  9. 참고로 앞에 예시된 단어의 뜻풀이를 몇 개 덧붙인다.
  • ㉠ ‘대장일’은 ‘대장간에서 쇠붙이를 다루어 기구(器具)를 만드는 일’이다.
  • ㉡ ‘며느리발톱’은 ‘사람의 새끼발톱 바깥쪽에 붙은 작은 발톱이나, 새 또는 길짐승의 뒷발톱’이다.
  • ㉢ ‘부각’은 ‘다시마를 기름에 튀긴 반찬’이다.
  • ㉣ ‘빙충이’는 ‘똑똑지 못하고 어리석게 수줍어하기만 하는 사람’이다.
  • ㉤ ‘살풀이’는 ‘타고난 살(煞)을 미리 막는 굿’이다.
  • ㉥ ‘새앙손이’는 ‘손가락의 모양이 새앙처럼 생긴 사람’으로 ‘생인손’(제24항)과는 다른 말이다.
  • ㉦ ‘안쓰럽다’는 ‘손아랫사람이나 형편이 넉넉지 못한 사람에게 폐를 끼치거나 도움을 받아 썩 미안하고 딱하다’의 뜻이다. ‘안’의 어원이 불분명하므로 ‘-스럽다’를 밝히지 아니하고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것이다.
  • ㉧ ‘입담’은 ‘말재주나 말솜씨’를 뜻한다.
  • ㉨ ‘자배기’는 ‘운두가 과히 높지 않고 아가리가 둥글넓적한 질그릇’이다.
  • ㉩ ‘짓고땡’은 ‘노름 방식의 하나’다.
  • ㉪ ‘짧은작’은 ‘길이가 짧은 화살’이다.